A Study on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Play-Focused on Shin Myung-soon's

한국 전쟁에 대한 기억과 연극의 재현 양상 -신명순의 <증인>을 중심으로

  • Kim, Tae-hee (Research Institute of Converged Civilization in Korea University)
  • 김태희 (고려대학교 융합문명연구원)
  • Received : 2021.07.11
  • Accepted : 2021.08.15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Shin Myung-soon's is based on the taboo 'bombing of the Han River Bridge'. The reality of the bombing of the Han River Bridge in 1950 and the shooting of Colonel Choi Chang-sik was known only as a word of mouth. At that time, the ruling class did not want to reveal the painful mistakes of the unfavorable war situation in the early days of the war and the false broadcasting of the president. The truth of the case, which was kept completely secret even to the bereaved family, could only be revealed after the regime change. After that, the bereaved family of Colonel Choi Chang-sik confirmed the innocence of the deceased through a request for retrial, and then the was born. However, the fate of was not so smooth. At the time, the performance officials vividly remember the difficulties they had with the text. Despite passing the pre-screening of the script, the performance was canceled just before the performance. The fact that the National Theater, officials from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and even military generals visited the practice room to stop the performance, on the contrary, was a testimony to the dangers of . It can be summarized as a crack in official history and a move to stop it. was later adapted into a special TV drama in 1981 and was first released to the public. This was a very meaningful step in terms of dealing with politically sensitive subjects on television, but the inconsistency of in the first place has largely disappeared. After that, in 1988, only after democracy entered the phase of appeasement, could be performed in its full form. In short,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the history of the Korean War recorded from the standpoint of an established order and the counter-memory that crack it up are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media.

<증인>은 금기시되었던 소재로부터 출발한다. 1950년에 있었던 한강교 폭파 사건과 최창식 대령 총살의 실상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소문'으로만 알려졌을 뿐이다. 당시 집권층은 개전 초의 불리한 전황과 대통령의 거짓 방송이라는 뼈아픈 실책을 드러내고 싶어 하지 않았다. 유가족들에게마저 철저히 비밀로 부쳐졌던 사건의 진실은 정권이 바뀌고 난 뒤에야 폭로될 수 있었다. 이후 최창식 대령의 유가족이 재심청구를 통해 망자의 무죄를 확정짓고 난 뒤 <증인>이 탄생할 수 있었다. 하지만 <증인>의 운명은 그리 순탄치 못했다. 당시의 관계자들은 해당 텍스트로 인해 겪었던 곤란들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대본 사전 검열을 통과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연 직전에 취소될 수밖에 없었던 사정은 그리 단순하지 않다. 국립극장, 문교부의 관계자도 모자라 군 장성들까지 연습실을 찾아와 공연을 중단시키려 했다는 사실은 반대로 <증인>이 담고 있는 위험성을 증언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것은 공식적 역사의 균열과 이를 저지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요약될 수 있는 것이다. <증인>은 이후 1981년 텔레비전 특집극 <불타는 다리>로 각색되어 사람들 앞에 처음으로 공개될 수 있었다. 텔레비전에서 정치적으로 민감한 소재를 다루었다는 측면에서 이것은 매우 의미 있는 진일보였으나 애초에 <증인>이 가지고 있었던 불온성은 상당부분 사라져 버렸다. 이후 1988년, 민주주의가 보다 유화국면에 접어들고 나서야 <증인>은 온전한 형태로 공연될 수 있었다. 요컨대 <증인>은 기성질서의 입장에서 기록된 한국전쟁의 역사와 이에 균열을 내는 대항 기억이, 시대와 매체의 변화에 따라 변모하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