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강원혁신도시와 원주기업도시의 인구이동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in Gangwon Innovation City and Wonju Company Town

  • 홍길종 (G-지속가능전략연구원) ;
  • 배선학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Hong, Giljong (G-Institute of Sustainable Strategy) ;
  • Bae, Sunhak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1.09.28
  • 발행 : 2021.09.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목적, 장소, 시기, 규모가 유사하지만, 공공기관 이전과 민간기관 유치라는 서로 다른 접근방법으로 조성된 강원혁신도시와 원주기업도시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원혁신도시와 원주기업도시의 인구 특성인 인구변화, 인구구조, 인구이동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인구이동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강원혁신도시와 원주기업도시는 원주시 인구증가와 원주시 내부의 인구이동에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인구구조와 인구지표에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기업도시의 인구특성을 크게 변화시켰다. 원주시 내부 이동을 제외하면, 혁신도시와 기업도시는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에서 이주한 세대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해당 지역의 공동주택 건설은 원주시 내부 이동을 활성화시켰다. 강원혁신도시와 원주기업도시로 전입한 사유는 주택, 직업, 가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Gangwon Innovation City and Wonju Company Town. Both were created with similar purpose, place, time, and scale. However, they were created with different approaches: relocating public institutions and attracting private institutions. For research data, population micro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angwon Innovation City and the Wonju Company Town greatly influenced the population growth of Wonju and the movement of the population within Wonju. The influx of population into the study area brought positive changes in both demographic structure and population indices. Excluding relocation to Wonju-si, Innovation Cities and Company Town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hose who migrated from the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supply of apartment houses (apartments) in the Innovation City and the Company Town stimulated the transfer from the inside of Wonju to this area. For households that moved to Gangwon Innovation City and Wonju Company Town, the most common reasons for moving in were housing, occupation, and famil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 2017, "혁신도시 정주여건 만족도 조사," 국토교통부.
  2. 김리영, 2019, "지역 간 특성차이가 서울시 청년층 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지역연구 35(2), pp.49-57. https://doi.org/10.22669/KRSA.2019.35.2.049
  3. 김우영.김만규, 2021, "공공기관의 혁신도시 이전의 인구 및 고용효과: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7(2), pp.144-163.
  4. 박소현.이금숙, 2019, "이동요인별 시.공간적 인구이동 특성을 고려한 인구분포 예측: 마르코프 연쇄 모형을 활용하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351-365.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351
  5. 백경훈.전희정, 2019, "신도시형 혁신도시 조성에 따른 인구분포 변화 연구 - 전북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pp.511-521.
  6. 윤정란.김홍주.배진원.고지영, 2020, "혁신도시 입주민의 정주여건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7. 이상조.신상화.정재우, 2019, "경남혁신도시 건설이 진주시의 인구 및 산업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주거환경 17(1), pp.173-186.
  8. 이정록, 2007,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입지선정과 지역발전 효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2), pp.223-238.
  9. 이정록, 2016, "기업도시 인구이동과 인구구조의 변화: 광양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51(6), pp.837-851.
  10. 조대헌, 2020, "중소도시의 내부 인구이동과 주택시장 간의 연관성 분석: 강릉시 사례 연구," 한국지도학회지 20(2), pp.71-85.
  11. 한국도시지리학회(편), 2019, "도시지리학개론," 법문사.
  12. 혁신도시, https://innocity.molit.go.kr
  13.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https://mdis.kostat.go.kr
  14. R, https://www.r-project.org
  15. Sankey Diagram, https://www.r-graph-gallery.com/sankey-diagram.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