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NRF-2018S1A5A8027174), 2021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P0008703, 2021년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
참고문헌
- 한국정보화진흥원, "데이터 경제의 부상과 사회경제적 영향", IT & Future Strategy, 제7호, 2018.
- 관계부처 합동,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 -I-Korea 4.0 데이터 분야 계획, I-DATA-", 4차산업혁명위원회, 2018.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IMF 데이터 경제학의 주요내용 및 시사점", 데이터산업 동향 이슈 브리프, 제1호, 2020.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산업 백서", 통권 제23호, 2020.
- 정현승, 박선호, 현대원,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추진 과제의 우선순위 분석 : AHP를 활용한 정책 중요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5권, 제1호, pp.283-313, 2021.
- 천지영, 노건태, "데이터 3법 시대의 익명화된 데이터 활용에 대한 제언",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30권 제3호, pp.503-512, 2020. https://doi.org/10.13089/JKIISC.2020.30.3.503
- 백한종, "금융분야에서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 배영임, 신혜리, "데이터 3법, 데이터경제의 시작", 이슈&진단, 제405호, pp.1-26, 2020.
- 김송옥, "가명정보의 안전한 처리와 합리적 이용을 위한 균형점 -데이터 3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를 겸하여-", 공법연구, 제49권, 제2호, pp.371-407, 2020.
- 정일영, 이관호, 목은지, "데이터 산업의 이해관계자 기반 규제 이슈 분석 및 대응방안", STEPI Insight, 제248호, 2020.
- 김영국, "개정 데이터 3법과 보험업의 과제 - 디지털 헬스케어서비스 활성화를 중심으로 -", 보험법연구, 제14권, 제1호, pp.495-524, 2020.
- 김정수, "지능정보사회의 입법과 기본권 보호의 상관관계에 대한 소고 -'데이터 3법' 관련 개인정보보호 논의를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제21권, 제4호, pp.339-367, 2020.
- 김혜진, "데이터 3법이 치매 조기 예측을 위한 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5호, pp.305-315, 2020. https://doi.org/10.14400/JDC.2020.18.5.305
- 김서안, "데이터 3 법 개정의 의미와 추후 과제", 융합보안논문지, 제20권, 제2호, pp.59-68, 2020. https://doi.org/10.33778/kcsa.2020.20.2.059
- 김정선, "가명 데이터 활용연구 - 기술적 처리방법 및 기업의 활용방향을 중심으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30권, 제2호, pp.253-261, 2020. https://doi.org/10.13089/JKIISC.2020.30.2.253
- 차건상, "가명정보 Life-Cycle에 대한 위험 분석을 통한 관리적/기술적 보호조치 방안에 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20권, 제5호, pp.53-63, 2020.
- 김동현, 김순석,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를 위한 데이터 상황 기반의 위험도 측정에 관한 새로운 방법",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30권, 제4호, pp.719-734, 2020. https://doi.org/10.13089/JKIISC.2020.30.4.719
- 최경진 "보건의료 공공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및 정보주체 보호를 위한 과제", 정책동향, 제14권, 제3호, pp.21-28, 2020.
- 이기호, 김계현,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의 내용과 한계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법연구, 제26권, 제4호, pp.89-118, 2020. https://doi.org/10.32430/ILST.2020.26.4.89
- 이양복, "데이터 3법의 분석과 향후과제", 비교사법 제27권, 제2호, pp.423-463, 2020. https://doi.org/10.22922/JCPL.27.2.202005.423
- 이성남, "데이터(DATA) 3법의 개정이 금융실무에 미치는 영향과 법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비교사법, 제28권, 제1호, pp.81-133, 2021. https://doi.org/10.22922/JCPL.28.1.202102.81
- 유주선, "데이터 3법 개정과 보험업에 관한 법적 연구", 상사판례연구, 제33권, 제3호, pp.157-189, 2020.
- 송인방, 나병민, "데이터 3법 개정 시행에 따른 창업 환경의 변화", 법학연구, 제20권, 제4호, pp.331-357, 2020.
- 김동성, 정해원, "데이터 3법 개정에 의한 광고계의 변화와 준비: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제20권, 제1호, pp.123-159, 2021.
- I. H. Witten, "Text Mining", 2004.
- V. Gupta and G. S. Lehal, "A Survey of Text Min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s",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ies in web intelligence, Vol. 1, No. 1, pp.60-76, 2009.
- JISC, "The Value and Benefits of Text Mining", 2012.
- 4차산업혁명위원회,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21차 회의", 2021.2.17.
- 손정연,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안 개정과정 분석: 정책네트워크 관점에서",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 김상윤, "마이데이터 시대의 개막과 기업의 경쟁력", 월간 SW 중심사회, 통권 제83호, 2021.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Data economy global news trends in korea", 제1권, 제7호, 2020.
- 황서이, 심지원, "국내 언론에 나타난 '스마트시티' 이슈의 의미연결망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5호, pp.941-950, 2020.
- 이송이, 김성원, 이환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프라이버시 인식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7권, 제10호, pp.49-58, 2019. https://doi.org/10.14400/jdc.2019.17.1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