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llage Museum Establishment Process, Characteristics and Tasks in Jeonju Urban Regeneration Projects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에서 마을박물관 설립운영과 과제 : 전주노송늬우스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1.08.24
  • Accepted : 2021.09.23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Nosong-dong is used to be center of the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transportation in Jeonju. It has ironically been the location of the city's prostitution quarter 'called Seonmichon'. This place is recently selected as an area of urban regeneration by Jeonju. The project has involved numerous programs which gradually transfer this place for the women's rights and arts. This paper focuses on exploring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a community museum, an archive for gender equality, and an exhibition site for local artists. The Seonmichon quarter has long been stigmatized as an area of ill repute and regarded with contempt by the surrounding neighborhood. It is space where polarized interests are entangled. City authority has tried to reflect this by presenting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the Seonmichon district. An initiative of the community museum has been its hosting of several exhibitions around the themes of women's rights and community arts. The most remarkable aspect of the exhibitions that have taken place in the heart of the Seonmichon district has bee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y residents as a catalyst for progressive social change. The paper's overall purpose is to provide an introduction and analyz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 initiative, and further examine the social role and meaning of the community museum in Nosong-dong, as well as its future tasks and directions.

성매매집결지 '선미촌'이 위치해있는 노송동은 전주시 구도심 중 한곳으로 현재 도시재생 대상지로 선정되어 민관이 주도하는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이다. 선미촌 한 가운데에는 본 연구의 대상인 노송늬우스박물관이 위치해있다. 이 지역은 낙후된 집창촌으로 낙인되어 외부인의 접근도 뜸한데다 인근에 사는 노송동 주민들에게도 드러내고 싶지 않은 곳이지만 한편으로 성매매여성들과 관련 상인들은 삶을 이어가고 있는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힌 공간이다. 전주시는 문화예술과 인권마을이라는 키워드를 앞세워 노송동의 다양한 관점들을 엮어내고자 다양한 테마의 전시관과 마을박물관을 개관했다. 주목할 점은 그 과정에서 주민참여를 시도하여 노송동 일대의 물리적·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노송동에서 진행되는 일련의 도시재생 사업 가운데 노송늬우스박물관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박물관 전시에 참여한 지역주민과 지역예술가, 문화활동가, 시청 담당 공무원 등을 인터뷰하였고 이를 토대로 노송늬우스박물관의 형성배경과 절차,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마을박물관으로서 해당 전시가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기창(2016), 도시재생을 위한 철도폐선 부지의 효율적 활용 방안, 지역과문화 3(2), 75-94.
  2. 권순관(2017), 지역 자원을 활용한 마을박물관의 운영형태 분석, 조형미디어학 20(2), 1-9.
  3. 김새미(2018), 도시재생에서 나타난 문화접근법의 대안-시민성 회복으로서의 문화 공간, 문화와 정치 5(2), 61-96.
  4. 박상욱(2010), 도시재생을 위한 어메니티 활성화 방안 연구-'한강르네상스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17, 173-199.
  5. 박소정.권지연(2019), 아부다비의 도시재생 프로젝트와 구겐하임분관 건립 계획-쟁점과 과제, 예술경영연구 49, 117-147.
  6. 박은실(2005), 도시 재생과 문화정책의 전개와 방향, 문화정책논총 17, 11-39.
  7. 변지혜(2020), ICOM의 박물관 정의 개정 논의 연구-박물관경영의 예측과 제안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54, 133-153.
  8. 성진석(2016), 주민 주도형 마을박물관의 현황과 지속적 운영을 위한 제언-거창군 임불고품전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31, 25-49.
  9. 신자은(2019), 미국 윙루크 뮤지엄-21세기 커뮤니티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 박물관학보 36, 93-117.
  10. 양지연.김혜인(2012), 공동체와 커뮤니티 박물관-사회적 역할과 조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7(4), 107-130.
  11. 우승하.김희정.진춘일(2019), 인천지역 근.현대 산업유산의 자원화와 활용-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개막전시를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37, 81-103.
  12. 조명래(2011), 문화적 도시재생과 공공성의 회복-한국적 도시재생에 관한 비판, 공간과사회 21(3), 39-65.
  13. 조성실(2015), 구술사를 활용한 민속전시 연구-'촌로의 한평생'에서부터 '나의 출산이야기'까지,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시를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6(2), 147-175.
  14. 천진기(2015), '마을박물관 만들기'의 여정, 박물관학보 28, 199-206.
  15. 한유석(2012), 도시재생 시범지역의 공간구성과 공간적 특징-전주시 노송동 사례, 인천연구 6, 119-139.
  16. 부산광역시 영도구(2019), 깡깡이예술마을성과보고서
  17. 전주시 도시재생과(2014), 전주, 도시재생을 말하다
  18. 문화체육관광부(2018),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해 문체부와 국토부 손잡다-문화사업과 뉴딜사업 상호 연계 등을 위해 업무 협약 체결, 8월 13일
  19. 울산광역시 동구(2021), '방어진 박물관' 개관 및 시범 운영, 4월 8일
  20. 전주시(2016), 성매매집결지 '선미촌' 문화재생 '스타트', 2월 18일
  21. 전주시(2020), 선미촌 한복판에 마을사박물관 문 열어, 1월 31일
  22. 김관웅(2011), 도시재생R&D사업 창원.전주와 시범적용 협약 체결, 파이낸셜뉴스 3월 22일
  23. 김진만(2020), 전주 선미촌, 문화.예술.인권의 복합공간 자리매김, 전북일보 6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