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Career Barriers and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Youth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 김지민 (명지전문대학 청소년교육복지과) ;
  • 이은경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 Received : 2021.05.11
  • Accepted : 2021.06.22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career disorders and depression. In the process that social stigma of adolescents outside of school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barriers and depression was verifi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8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5th year survey of out-of-school youth panel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For data analysis, the correlations and mediating effects between major variables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ll of the major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the social stigma of out-of-school adolescent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career disorders and depression, confirming a double mediation. In addition, in the process in which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disorder and depression were respectively mediated, but social stigma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intervention methods and implications for youth coaching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교 밖 청소년패널 5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31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진로장애, 우울, 스마트폰중독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진로장애와 우울을 거쳐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가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 각각 매개를 확인하였으나 사회적 낙인감은 스마트폰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중독을 예방하고 청소년 코칭에서의 개입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남주, 구자경 (2015). 중학생의 가족스트레스와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3), 289-302. https://doi.org/10.15703/KJC.16.3.201506.289
  2. 고은정, 김병년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7(12), 105-131.
  3. 고은정, 김병년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진로장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31(4), 33-63.
  4.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20). 2020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 유.초.중등교육통계편. 통계자료 SM 2020.
  5. 권선중, 엄나래 (2016).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개편 최종보고서. 2016년 정보문화포럼 정책연구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6. 김교헌 (2007). 중독, 그 미궁을 헤쳐나가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677-693.
  7. 김동일, 이윤희, 정여주, 강민철 (2013). 정신건강 문제와 인터넷 중독: 다층메타분석을 통한 효과크기 검증. 상담학연구, 14(1), 285-303 https://doi.org/10.15703/KJC.14.1.201302.285
  8. 김민선 (2019). 학교 밖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관계: 진로장벽과 진로낙관성을 매개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1), 1029-1056.
  9. 김범구, 조아미 (2013).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교 밖 청소년의 유형과 특성. 한국청소년연구, 24(3), 5-31.
  10. 김병년, 김상용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충동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11(6), 3397-3410.
  11. 김소영 (2016).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우울, 공격성의 종단적 관계 검증: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 적용. 중등교육연구, 64(2), 315-336. https://doi.org/10.25152/SER.2016.64.2.315
  12. 김소현 (2010). 다층성장모형(HLM)을 통한 청소년의 비공식적 낙인 변화 추정.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7, 7-31.
  13. 김영희 (2015). 검정고시를 선택한 일반 고등학교 학교 밖 청소년의 적응경험: 학교 밖에서 진로를 결정하고 고군분투하는 청소년. 청소년복지연구. 17(2), 131-157.
  14. 김정숙 (2003). 휴대전화 과다사용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충동성.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종운, 정보현(2012). 학습코칭프로그램이 방과후아카데미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24(2), 146-165 https://doi.org/10.13000/JFMSE.2012.24.2.146
  16. 김태량, 김경화 (2020).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1(6), 607-619.
  17. 김태량, 최용민 (2016).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32(3), 185-210.
  18. 김하나, 김혜연(2015).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 제주도 지역아동센터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0(1), 159-169
  19. 노지혜, 문성호 (2019).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특성 및 진로성숙 예측요인, 청소년문화포럼, 58, 61-85
  20. 박봉선 2019.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62, 81-106.
  21. 박지원, 문성호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문화포럼, 63, 5-30.
  22. 손은령 (2001).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상담학연구, 2(2),251-262.
  23. 손은령 (2002). 대학생의 개인적 변인과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15(2), 1-14.
  24. 양미진, 허자영, 채민정, 김경민 (2010). 고등학생이 경험하는 진로장벽 연구: 사이버상담 게시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1(4), 45-73. https://doi.org/10.15753/AJE.2010.11.4.003003
  25. 양은륜, 정문경 (2020).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1(6), 1781-1796.
  26. 오경화, 탁진국 (2020). 그릿향상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태도성숙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4(1), 21-46. https://doi.org/10.51457/KJCP.2020.06.4.1.21
  27. 오은경 (2014). 학교 밖 청소년 유형별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 사회적 배제 및 우울간의 차이. 청소년시설환경, 12(2), 65-80.
  28. 육성필, 남옥남, 박지란, 박성혜, 김은영 (2017).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 과정 탐색 및 학업 중단 인식 연구- 강북 지역 학교 밖 청소년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0), 535-561.
  29. 윤예인. 김주일 (2019). 청소년의 우울과 스마트폰 의존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분석. 학교사회복지, 48, 219-241.
  30. 윤철경, 서정아, 유성렬, 조아미 (2014). 학교 밖 청소년의 특성과 중단 후 경로: 학교 밖 청소년 패널조사 I 데이터 분석 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윤철경, 유성렬, 김신영, 임지연, 엄아람, 최은희 (2014). 학교 밖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I.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2. 윤철경, 최인재, 김강호, 유성렬, 김태화, 손희정 (2015).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2, 1-484.
  33. 윤철경, 최인재, 김승경, 김성은 (2018). 2018 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연구보고 2018-19). 서울: 여성가족부.
  34. 이상준(2018).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정신건강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20(3), 47-67.
  35. 이연희, 탁진국(2017).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잠재적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1(2), 69-87. https://doi.org/10.51457/KJCP.2017.12.1.2.69
  36. 이인옥, 이은옥 (2006). 낙인(stigma) 개념분석. 근관절건강학회지, 13(1), 53-66.
  37. 이종남, 한상미, 김가희 (2020).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7(4), 97-117.
  38. 이하나, 양승목 (2018).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영향 변인의 관계에 대한 학령 및 성별 비교 분석. 한국언론학보, 62(5), 175-214.
  39. 이현주, 정현희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38(4), 115-136
  40. 이화명, 김영미 (2016).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9), 127-153.
  41. 이화명, 김영미 (2017).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9), 549-562.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549
  42. 최현아 (2017). 학교 밖 청소년 진로설정 및 사회적응 프로그램 연구: 꿈드림 프로그램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최홍일, 정윤미 (2020). 학교 밖 청소년들이 체감하는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60(4), 31-58.
  44. 한국지능정보화진흥원 (2021).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5.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7). 후기청소년 지원정책과 상담복지적 접근. 2017년 청소년포럼 발표자료집.
  46. 한상규 (2019).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심리교육복지, 6(1), 7-22.
  47.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2012).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365-375.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65
  48. 황선미, 신현숙 (2007). 고등학생과 진로적응훈련 중인 중퇴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진로장애 및 진로결정의 관계모형 검증. 상담학연구, 8(1), 229-245. https://doi.org/10.15703/KJC.8.1.200703.229
  49. 황소희, 이영애. (2018). 중학생의 우울증상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21(3), 343-363.
  50. Alhassan, A. A., Alqadhib, E. M., Taha, N. W. Alahmari, R. A., Salam, M., and Almutairi, A. F.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addiction to smartphone usage and depression among adults: a cross sectional study. BMC Psychiatry 18, 1-8.(DOI:https://doi.org/10.1186/s12888-018-1745-4)
  51. Corrigan, P. (2004). How Stigma Interferes With Mental Health Care. American Psychologist 59(7): 614-625.(DOI:https://doi.org/10.1037/0003-066X.59.7.614)
  52. Hargrove (1995). 마스터풀코칭. 박재원 외 역 (2006). 서울: 김앤김북스.
  53. Mohamed, S. M. and Mostafa, M. H. (2020). Impa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Nursing Open 19;7(5), 1346-1353. (DOI: https://doi.org/10.1002/nop2.506)
  5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55. Hayes, A.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The Guilford Press, New York.
  56. Ybarra, M. L., Alexander, C., & Mitchell, K. J. (2005). Depressive symptomatology, youth Internet use, and online interactions: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6, 9-18.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3.10.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