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논문은 2017년도 진주교육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 작성됨
참고문헌
- 권오남, 박경미, 임형, 허라금(1996). 공간능력에서의 성별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5(2), 125-141.
- 김경철(2013). 고등학교 영재의 자발적 영재교육 중도포기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민(2015). 전문가 인식을 통한 과학영재의 진로에 관한 탐색.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주현(2004).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지선 유미현, 윤여홍(2012), 초등 과학영재의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에 관한 학생 자신과 부모의 인식관점 비교. 과학영재교육, 4(2), 140-156.
- 김현진(1999). 다중지능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류성림(2010). 초등 수학영재와 학부모의 다중지능에 관한 비교 분석. 한국수학 교육학회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4(3), 807-830.
- 류숙희(1996). 지각된 다중지능의 집단 차와 IQ 및 성적과의 관계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류숙희(2004). 백범 김구의 잠재능력 계발과정 연구-다중지능이론의 관점에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문용린(2010). 지력혁명, 서울: 비즈니스북스.
- 문용린, 김주현(2005). 아동 및 청소년의 다중지능과 진로의식 발달연구. 인간발달연구, 12(2), 1-22.
- 문용린, 류숙희, 김현진, 김성봉(2001).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중고생을 위한 다중지능 검사 개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 성태제(2011).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기술통계에서 구조방정식모형까지. 서울: 학지사.
- 안광식, 최완식(2006).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과 기술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2), 64-82.
- 우윤진, 이동원(2021).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발명에 대한 태도의 관계, 실과교육연구, 27(2), 65-84.
- 이수현(2009). 초등학교 영재 아동의 다중지능과 과흥분성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영(2009). 다중지능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의 매개에 대한 탐색.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재무, 이경현, 이지항(2006). 체육영재, 학업영재, 일반 초등학생의 다중지능, 정서지능 특징비교. 한국체육화학회지, 19(4), 609-622.
- 장영숙, 강경석, 송경희(2006).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247-269.
- 정대현(2003). 유아동 다중지능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지원(2004). 예술계 중.고등학생의 다중지능 발달 경향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미경(2003).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다중지능에 대한 차이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진정환(2014).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다중지능과 사회적 적응행동의 관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기란, 최인수(2003). 유아 다중지능에 대한 부모평가 척도의 타당화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119-145.
-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New York: Basic Books. 이경희 역(1993). 마음의 틀, 서울: 문음사.
-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Basic Books. 김명희, 이경희 역(1998).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 Gardner, H. (1997). Extraordinary minds. New York: Borckman. 문용린 역(1999). 비범성의 발견. 서울: 해냄.
- Hyde, J. S. (1981). How large are cognitive gender differences? A meta-analysis using ω2 and #. American Psychologist, 36, 892-901. https://doi.org/10.1037/0003-066X.36.8.892
- Miller, J. V. (1981). Overview of career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Journal of Career Education, 7. 430-436.
- Perrone, P. A., & Van Den Heuvel, D. H. (1981). Career development of the gifted: Horizons unlimited. Journal of Career Education, 7, 299-304.
- Post_Krammer, P. & Perrone, P. (1983). Career perception of talented individuals: A follow-up study.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31, 203-211. https://doi.org/10.1002/j.2164-585X.1983.tb02219.x
- Shearer, C. B. (1995). An investigation into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clinical utility of the Hillside Assessment of Perceived Intelligences. Ph. D. Dissertation, The Union Institute.
- Van Hiele, P. M. (1986). Structure and Insight. Orland: Academic Press.
- Walter, M. (1981). Geometry for Young Students in the 80'. Teacher, 98(6), pp115-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