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재학생의 다중지능과 그 학부모가 인식하는 자녀에 대한 다중지능의 비교

Comparison of Multi-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perception of their children

  • Ryu, Hyunah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21.07.21
  • 심사 : 2021.08.18
  • 발행 : 2021.08.31

초록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multiple 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with the multiple intelligence of their children recognized by their par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18 students and their parents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First of all,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and the multiple intelligence recognized by their parents. Parents are highly regarded their children in all multiple intelligence components.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multiple 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gender. The difference in multiple intelligence of children recognized by parents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student was similar to the student's results. Third, there are not much difference in multiple intellig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group compared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since multi-intelligence can be developed by individual experience and environment throughout one's lif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reflects objective evaluation and student needs rather than parental subjective judgment should be created.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2017년도 진주교육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 작성됨

참고문헌

  1. 권오남, 박경미, 임형, 허라금(1996). 공간능력에서의 성별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5(2), 125-141.
  2. 김경철(2013). 고등학교 영재의 자발적 영재교육 중도포기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정민(2015). 전문가 인식을 통한 과학영재의 진로에 관한 탐색.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주현(2004).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지선 유미현, 윤여홍(2012), 초등 과학영재의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에 관한 학생 자신과 부모의 인식관점 비교. 과학영재교육, 4(2), 140-156.
  6. 김현진(1999). 다중지능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류성림(2010). 초등 수학영재와 학부모의 다중지능에 관한 비교 분석. 한국수학 교육학회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4(3), 807-830.
  8. 류숙희(1996). 지각된 다중지능의 집단 차와 IQ 및 성적과의 관계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류숙희(2004). 백범 김구의 잠재능력 계발과정 연구-다중지능이론의 관점에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문용린(2010). 지력혁명, 서울: 비즈니스북스.
  11. 문용린, 김주현(2005). 아동 및 청소년의 다중지능과 진로의식 발달연구. 인간발달연구, 12(2), 1-22.
  12. 문용린, 류숙희, 김현진, 김성봉(2001).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중고생을 위한 다중지능 검사 개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13. 성태제(2011).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기술통계에서 구조방정식모형까지. 서울: 학지사.
  14. 안광식, 최완식(2006).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과 기술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2), 64-82.
  15. 우윤진, 이동원(2021).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발명에 대한 태도의 관계, 실과교육연구, 27(2), 65-84.
  16. 이수현(2009). 초등학교 영재 아동의 다중지능과 과흥분성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영(2009). 다중지능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의 매개에 대한 탐색.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재무, 이경현, 이지항(2006). 체육영재, 학업영재, 일반 초등학생의 다중지능, 정서지능 특징비교. 한국체육화학회지, 19(4), 609-622.
  19. 장영숙, 강경석, 송경희(2006).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247-269.
  20. 정대현(2003). 유아동 다중지능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지원(2004). 예술계 중.고등학생의 다중지능 발달 경향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조미경(2003).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다중지능에 대한 차이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진정환(2014).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다중지능과 사회적 적응행동의 관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최기란, 최인수(2003). 유아 다중지능에 대한 부모평가 척도의 타당화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119-145.
  25.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New York: Basic Books. 이경희 역(1993). 마음의 틀, 서울: 문음사.
  26.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Basic Books. 김명희, 이경희 역(1998).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27. Gardner, H. (1997). Extraordinary minds. New York: Borckman. 문용린 역(1999). 비범성의 발견. 서울: 해냄.
  28. Hyde, J. S. (1981). How large are cognitive gender differences? A meta-analysis using ω2 and #. American Psychologist, 36, 892-901. https://doi.org/10.1037/0003-066X.36.8.892
  29. Miller, J. V. (1981). Overview of career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Journal of Career Education, 7. 430-436.
  30. Perrone, P. A., & Van Den Heuvel, D. H. (1981). Career development of the gifted: Horizons unlimited. Journal of Career Education, 7, 299-304.
  31. Post_Krammer, P. & Perrone, P. (1983). Career perception of talented individuals: A follow-up study.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31, 203-211. https://doi.org/10.1002/j.2164-585X.1983.tb02219.x
  32. Shearer, C. B. (1995). An investigation into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clinical utility of the Hillside Assessment of Perceived Intelligences. Ph. D. Dissertation, The Union Institute.
  33. Van Hiele, P. M. (1986). Structure and Insight. Orland: Academic Press.
  34. Walter, M. (1981). Geometry for Young Students in the 80'. Teacher, 98(6), pp115-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