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 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NRF-2018R1C1B6002021)
References
- 김나정. (2020). 전문상담교사의 성인지감수성이 인지공감능력을 매개로 상담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 김성현외 6명. (2019).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이 위력 성폭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연구, 18(4), 3-36.
- 김양희, 정경아. (1999). 한국형 남녀평등의식 검사 개발 (연구보고서 v.250-4).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 김지현. (2008). 여성성역할갈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여자대학생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9(4), 1-22. https://doi.org/10.15753/AJE.2008.9.4.001001
- 김지현. (2009). 여자대학생의 여성성역할, 여성성역할갈등과 진로결정 간 관계에서의 의사결정의존성의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0(3), 239-256.
- 대한간호협회. (2020.11.23.). 카드뉴스 - 숫자로 보는 간호사2. http://www.koreanurse.or.kr/board/board_read.php?board_id=cardnews&member_id=& no=11&find=& search= &position=2에서 인출.
- 리루이. (2019). 한.중 대학생 '젠더감수성' 비교[석사학위논문]. 대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 안은성, 추수경. (2011). 남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17(1), 14-21.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1.14
- 염은이, 서금숙. (2016).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간호전문직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794-804.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794
- 유주연. (2019). 성인 초기 남녀의 성차별 메타-인식 유형별 성역할 갈등, 이성과의 거리감, 성차별 논쟁에 대한 지지도의 차이[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유재원. (2019). 대학생의 젠더감수성과 데이트폭력 가해동기의 관계에서 스포츠 참여의 조절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 (2005). 간호전문직관측정도구 개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100. https://doi.org/10.4040/jkan.2005.35.6.1091
- 이수연, 김인순, 김지현. (2011). 한국형 남성 성역할 갈등 검사 개발 (연구보고서 v.11).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이시라. (2011). 남자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수원: 아주대학교 대학원.
- 이중근, 김중경. (2020). 남자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9), 170-177. https://doi.org/10.5762/KAIS.2020.21.9.170
- 이진영. (2011). 젠더감수성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장태경. (2014).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 조영미, 이주연. (2020). 간호대학생들의 성지식 및 피임태도와 성인지 감수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8(9), 221-228. https://doi.org/10.14400/JDC.2020.18.9.221
- 전연안. (2016). 성인 초기 여성 직장인의 성역할갈등과 관계적 공격성 간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홍익대학교 대학원.
- 전해옥, 염은이. (2014).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학업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12), 796-807.
- 정재원, 이은아. (2018). 대학생 성인지 감수성 향상을 위한 젠더 트레이닝:여성학 교양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2(5), 11-35.
- 정추영, 서영숙, 강복희, 조은하. (2019).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7(1), 1248-1256. https://doi.org/10.15205/KSCHS.2019.06.30.1248
- 주경숙, 김경미, 이진표. (2020). 대학생의 사회성, 자아존중감이 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6), 213-229.
- 황은희, 신수진. (2017).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1(1), 97-108. https://doi.org/10.5932/JKPHN.2017.31.1.97
- 황하만, 김명자. (2017).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3(1), 32-41.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1.32
- 허영미. (2017).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Betty, E. (2019, 2020 July 14). The male nurse: Benefits and percentages of men in nursing. https://www.snhu.edu/about-us/newsroom/2019/05/male-nurse에서 인출
- Chen GM, Starosta WJ. (200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Human Communication, 3, 1-15.
- Fisher MJ. (2009). 'Being a Chameleon': labour processes of male nurses performing body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12), 2668-2677.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9.05120.x
- Halime. CA, Toine. LM, Widdershoven. AM, Tineke. AA. (2011). Bringing gender sensitivity into healthcare practice: A systematic review.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4(2), 143-149. https://doi.org/10.1016/j.pec.2010.07.016
- O'Neil JM, Helms BJ, Gable RK, David L, Wrightsman LS. (1986). Gender-role conflict scale: college men's fear of femininity. Sex Roles, 14, 335-350. https://doi.org/10.1007/BF00287583
- O'Neil JM. (2013). Gender Role Conflict Research 30 Years Later: An Evidence-Based Diagnostic Schema to Assess Boys and Men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91(4), 490-498. https://doi.org/10.1002/j.1556-6676.2013.00122.x
- Wies D, Schank MJ. (2009).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Nurses Professional Values Scale-Revised.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7(3), 221-231. https://doi.org/10.1891/1061-3749.17.3.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