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We perform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protocol to improve the curriculum literacy for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For this, protocol of Park et al (2018), which can be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was partially modified and applied to enhance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expertise of pre-teachers. The literacy protocol of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applied as Protocols 1 and 2, and Protocol 1 was focused on adaptation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literacy. Protocol 2 consisted of reorganizing the subject level centering on the five subjects presented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establishing an integrated theme setting and reorganization plan. We applied the research design during a total of 15 week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ubjects. The class format was flipped learning (e.g, pre-video lectures, theory lectures (E-Sheets), and learner-led activities (W-Sheets) for each topic was carried out. We found that pre-teachers' thought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uld be increased by adaptation the curriculum. Pre-teachers reported that the experience of reorganizing each subject/intersection helped improve their literacy but found it difficult.
이 연구는 특수교육과정 문해력 향상을 위한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교육현장에서 프코토콜이 예비특수교사들의 특수교육교육과정 문해력 향상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박윤경 등(2018)의 교육과정 문해력 프로토콜을 일부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특수교육교육과정 문해력 프로토콜은 프로토콜 1, 2로 적용되었으며, 프로토콜 1은 2015 특수교육교육과정 재구성과 문해력을 이해하는 것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프로토콜 2는 해당 특수교육교육과정에 제시된 5개 교과를 중심으로 교과수준을 재구성하고, 통합적 주제 설정 및 재구성 계획을 세우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프로토콜은 총 15주차 특수교육교육과정 교과목에 적용되었다. 수업 형태는 역진행수업을 통해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사전 동영상 강의가 제공되었으며, 학습자중심의 자기주도 활동지를 작성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장애학생의 학업성취와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교과별/간 재구성 경험이 문해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지만 어렵게 느껴짐을 보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