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omestic Aggregate Production of Korea in 2019 (II) - by Local Governments

2019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II) - 시군구단위 분석 -

  • Hong, Sei Sun (Geologic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Lee, Jin Young (Geologic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 Received : 2021.07.24
  • Accepted : 2021.08.20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On the base of the aggregate extraction statistics, this study tried to analyse the demand and supply of aggregate resources of each local government and provide directions for the stable and sustainable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resources in the future. In 2019, aggregates were produced in 148 cities, about 65% of the 229 cities of Korea, but in 7 metropolitan cities with 74 local governments, only 19 cities developed the aggregate. It means that aggregate extraction is taking place in almost all regions in Korea. Sand and gravel were produced in 110 districts and 132 districts, respectively. By aggregate source, river aggregates were extracted in 4 local governments, land aggregates in 42 local governments, forest aggregates in 75 local governments, crushed aggregates in 105 local governments, and washing aggregates in 15 local governments. In other words, 81 district in Korea have not extracted land-based aggregate at all. 71 local governments produced only one type of aggregate, and 55 local governments developed two types of aggregate, and 22 local governments developed more that three types of aggregate. In 2019, the leading producing local government were, in descending order of volume, Ulju-gun, followed by Hwaseong-si, Cheongju-si, Pocheon-si, Paju-si, Yongin-si, Gimhae-si, Gwangju-si in Gyeonggi-do. 41 local governments have developed aggregates of more than 1 million m3, and the combined production of the 41 cities accounted for about 70% of national total. This shows that the aggregate extraction trend of local governments is becoming larger and more concentrated.

이번 연구에서는 골재채취통계를 기초로 하여 골재의 채취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골재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급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2019년에는 전국 229개 시군구 중 약 65%인 148개 시군구에서 한 종류 이상의 골재를 개발하였다. 7대 광역시에서는 19개 시군구에서 골재를 개발되었다. 광역시를 제외하면 8개도의 155개 시군 중 83%인 129개 시군에서 골재개발이 이루어져 우리나라의 대부분 시군에서 골재를 개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모래는 110개 시군구에서, 자갈은 132개 시군구에서 개발되었다. 골재원별로 볼 때 하천골재는 4개 시군구, 육상골재는 42개 시군구, 산림골재는 75개 시군구, 선별파쇄골재는 105개 시군구, 선별세척골재는 15개 시군구에서 개발되었다. 또한 육지원 골재의 채취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시군구는 81개 지역이다. 골재원별로 볼 때 한 종류의 골재만 개발하는 시군구는 71개, 두 종류의 골재를 개발하는 시군구는 55개, 3종류 이상은 22개 시군구이다. 2019년에 골재의 개발이 가장 많은 지역은 울주군이며, 그 다음으로 화성시, 청주시, 포천시, 파주시, 용인시, 김해시, 광주시의 순이다. 100만m3 이상의 골재를 개발한 지역은 41개 시군구로 시군구은 골재채취 시군구의 약 28%이지만 골재개발량은 2019년도 총 개발량의 약 70%를 점유한다. 이는 각 시군의 골재채취가 대형화, 집중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국토교통부 "2021년 골재자원조사 및 관리사업(IP2021-006)"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또한 논문에 대한 세심한 검토와 제안을 해주신 심사위원 분들게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Hong, S.S. and Lee, J.Y. (2020) Analysis of 2019 domestic aggregate production in Korea(I), Korea Econ. Environ. Geol., v.53, p.755-769.
  2. Hong, S.S., Kim, J.Y., and Lee, J.Y. (2015) Trends of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Korea(I), Jour. Petro. Soc. Korea, v.24, p.253-272. doi: 10.7854/JPSK.2015.24.3.253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9, Annual aggregate statistics, www.agris.go.kr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The 5th Basic plan for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358p.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The 6th Basic plan for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36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