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ss Arbitration Act, freedom of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false and manipulated information

언론중재법과 표현의 자유 그리고 허위·조작 정보의 규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김재영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Received : 2021.11.01
  • Accepted : 2021.11.30
  • Published : 2021.12.01

Abstract

The meaning of the amendment to the Media Arbitration Act in our society is not limited to media companies. And it's not just a problem for a specific group. It expresses public value because it is an issue that can affect members of society as a whole and furthermore, it becomes a bill that can infringe or strengthen individual freedom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but makes different arguments. Freedom of speech is not achieved in a day and should not be easily lost by someone. Although it is not a frequent problem, fatal threats arising from wrong media reports take away an individual's present and future. It is because of this problem that the responsibility is important. Freedom of speech and control are heading in different directions, but they are the same as the front and back of the coin. The freedom pursued is different, but it consists of one body. If freedom and responsibility of speech made up of one body criticize or ignore each other, the results are scattered into a distorted On the other hand, the flexion of responsibility without freedom serves as a speaker that conveys the ideology of some classes or represents the interests of a particular group. The fact that the media should act as the air of society means that it should represent the interests of the majority, make them aware of the rights of unfair or marginalized members, and be their strength.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인 외 44인, 「언론학 원론」, 한국언론학회, 2003.
  2. 강명원, "프랑스에서 표현의 자유에 관한 연구 : 표현의 자유 제한을 중심으로", 「공법연구」, 제49권 제3호, 한국공법학회, 2021.
  3.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9.
  4. 김윤정,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서 신설된 정정보도청구권에 관한 논의", 「언론중재」, 통권 100호, 언론중재위원회, 2006.
  5. 김재영, "소비자의 분쟁 유발 가능성을 촉진하는 기사형 광고의 설득 영향", 「중재연구」, 제31권 제2호, 한국중재학회, 2021.
  6. 김재협, "새 법률상 정정보도청구권의 법적 성격과 의의", 「언론중재」, 통권 94호, 언론중재위회, 2005.
  7. 김재협, "정정보도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의 의미와 파장". 「언론중재」, 통권 104호, 언론중재위원회, 2017.
  8. 김하열, 「헌법 강의」, 박영사, 2020.
  9. 뉴데일리, "이낙연 가짜뉴스 엄정 처벌 - 우파 SNS정조준?, 2018.20.2
  10. 박아란, "'가짜뉴스'와 온라인 허위정보(disinformation) 규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언론정보연구, 제56권 제2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19.
  11. 박주현, 「인터넷저널리즘에서의 제외문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2. 배태준, "가짜뉴스(허위조작정보)에 대한 현재의 규제와 향후 규제방향에 대한 소고", 「LAW & TECHNOLOGY」, 제17권 제4호, 서울대학교 기술과 법센터, 2021.
  13. 성낙인, "디지털 시대 헌법상 표현의 자유 개념", 「미디어와 인격권」, 제4권 제2호, 2018.
  14. 성준호, "'중재연구' 30년간의 연구동향 분석 : 한국중재학회 창립30주년에 즈음한 학술연구 동향분석", 「중재연구」, 제31권 제2호, 한국중재학회, 2021.
  15. 양재규, "언론분쟁조정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검토와 전망 :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언론중재」, 제158권, 언론중재위원회, 2021.
  16. 양재규, "언론분쟁조정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검토와 전망 :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언론중재」, 제158권, 언론중재위원회, 2021.
  17.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시행 2005. 7. 28., 법률 제7370호, 2005. 1. 27. 제정).
  18. 언론중재위원회, "2020서울조정87/손해청구", 2020 언론조정중재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20.
  19. 오일석, 지성우, 정운갑, "가짜뉴스에 대한 규범적 고찰", 「미국헌법연구」, 제29권 제1호, 미국헌법학회, 2018.
  20. 윤성옥, "가짜뉴스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논의", 「언론과법」, 제17권 제1호, 한국언론법학회, 2018.
  21. 이문한,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 등 '공공의 이익'을 해하는 허위사실 표현에 대한 형사처벌과 헌법상 언론.출판의 자유", 「법학평론」, 제11권,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21.
  22. 이수종, "정정보도청구권의 법적 성격에 관한 연구", 「언론중재」, 통권 121호, 언론중재위원회, 2011.
  23. 이승선, "한국 언론중재제도 40년의 도전과 성과", 「미디어와 인격권」, 제7권 제1호, 언론중재위원회, 2021.
  24.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제12판,박영사, 2018.
  25. 이재학, 박철희, "인터넷 쇼핑몰 불만족 요인이 불평행동과 중재제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재연구」, 제30권 제2호, 한국중재학회, 2020.6.
  26. 정일영, "표현의 자유와 소셜 미디어의 콘텐츠 중재 행위 연구 : 페이스북 심의위원회(FOB)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법학」, 제29권 제1호, 2021.
  27. 조성흠, "한상혁 '코로나19 상황서 가짜뉴스 폐해 절감...대응체계 개선'", 연합뉴스, 2020.
  28. 조소영, "명예훼손에 기한 피해구제의 법제와 현실 : 언론중재법상의 내용을 중심으로", 「미디어와 인격권」, 제7권 제2호, 언론중재위원회, 2021.
  29. 조소영, "정정보도청구권의 이른바 새로운 권리성 여부에 대한 검토", 「세계헌법연구」, 제12권 제2호,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06.
  30. 조재현, "가짜뉴스와 공직선거법상 규제에 관한 고찰", 「공법학연구」, 제21권 제1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20.
  31. 한갑운, 윤종민, "가짜뉴스의 규율방법에 대한 법적 고찰", 「과학기술과 법」,, 제8권 제1호,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32. 한국학중앙연구원, "언론기본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33. 헌법재판소 1992.2.25. 89헌가104.
  34. 현대경제연구원, "가짜 뉴스(Fake News)의 경제적 비용 추정과 시사점", 2017.
  35. 홍숙영, "가짜뉴스에 대한 이해와 합리적 규제 방안 연구: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세미나자료, 2017.
  36. 황용석, 권오성,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인터넷서비스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언론과 법」, 제16권 제1호, 한국언론법학회, 2017.
  37. Douek, E., "Governing Online Speech: From 'Posts-As-Trumps' to Proportionality and Probability," SSRN Scholarly Paper, Rochester, NY: Social Science Research Network, 2020.
  38. Softness, N., "Terrorist Communications: Are Facebook, Twitter, and Google Responsible for the Islamic State's Act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Vol.70 No.1, 2016.
  39. https://blog.naver.com/pac3083/220873638131
  40. https://www.yna.co.kr/view/AKR20200720067100017?input=1195.
  41.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8/10/02/201810020009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