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Grotesque Images in Dimitris Papaioannou's Work

디미트리스 파파이오아누 작품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이미지 연구

  • CHOI, Young-hyun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Arts, School of Performing Arts and Media)
  • 최영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
  • Received : 2021.06.18
  • Accepted : 2021.07.22
  • Published : 2021.07.29

Abstract

Grotesque, which has often emerged as a breakthrough in Western art to protest rational and classical pure beauty, is often seen in modern art. Grotesque, along with the concept of pendulum, appears in infinitely expanded forms across cultures, arts, and society. In particular, transformed body images through deformatization and deformatization of the body are interpreted as strong rejections that seek to break away from formalized beau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he body reproduced through body deformation, distortion, and bonding in Dimitris Papaioannou's work can be interpreted within the grotesque category. To this end, he examines the Grotesque discourse and modern meaning underly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and identifies how the fragmented and expanding body, which is currently actively discussed in the dance world, has an interaction with Grotesque. It selects , , , and , which are the main attributes of the grotesque, focus on conflicting familiarity, life, hatred, and beauty.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confirm that in contemporary dance, the reconstructed body reveals concealed things rather than expressing an unrealistic fictional world, and seeks new possibilities beyond boundaries as well as reconsider existing aesthetic views.

서양 예술에서 이성적이고 고전적인 순정미(純精美)에 반발하기 위한 돌파구의 일종으로 종종 등장하였던 그로테스크(Grotesque)는 현대 예술에서 자주 목격된다. 그리고 그로테스크는 추(醜)라는 개념과 더불어 문화, 예술 그리고 사회 전반적인 층위에서 무한히 확장된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신체의 탈형식화와 탈정형화를 통한 변용된 신체 이미지는 정형화된 미를 탈피하고자하는 강력한 거부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디미트리스 파파이오아누의 작품에 나타난 신체의 변형과 왜곡, 그리고 결합을 통해 재생산된 신체가 그로테스크 범주 안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에 주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작품 해석의 근거가 되는 그로테스크 담론과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고, 그의 작품에 적용함으로써 현재 무용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분열되고 확장되는 신체가 그로테스크와 어떻게 상호 관계를 갖는지 규명한다. 신체의 왜곡과 변형이 주요한 작동 요소로 나타난 , , , 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그로테스크의 주된 속성인 익숙함과 낯섦, 삶과 죽음, 미(美)와 추, 혐오와 매혹 등 서로 양립된 의미를 충돌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고 고찰한다. 이를 근거로 컨템포러리 무용에서 신체 부위의 해체와 임의적인 결합을 통해 재구성된 신체가 비현실적인 허구의 세계를 표현하는 것이 아닌 은폐된 것들을 드러내고, 기존의 미적 시각을 재고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경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볼프강 카이저, 「미술과 문학에 나타나 그로테스크」, 이지혜역, 아모르문디, 2011.
  2. 운평어문연구소,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1999
  3. 필립 톰슨, 「그로테스크」. 김영무역,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4. 최기숙, 「환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5. Chaouli, Michel, "Van Gogh's Ear", In Modern Art and the Grotesque, edited by Frances S. Connell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6. Langer, Susanne K., Feeling and Form: A Theory of Art developed from Philosophy in a New Key,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53.
  7. Heidsieck, Arnold, Das Groteske und das Absurde im modernen Drama, Stuttgart, Berlin, Koln, Mainz: Kohlhammer, 1969.
  8. Meindl, Dieter, American fiction and Metaphysics of the Grotesque, Columbia and London: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1996.
  9. Ruskin, John, The Works of John Ruskin II, London: Wentworth Press, 1996.
  10. Smith, Daniel W., Essays on Deleuze,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2.
  11. 공혜영, 컨템포러리 무용에 나타난 해체주의 경향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12. 김명찬, 「재현의 위기와 몸의 연극」, 「뷔히너와 현대문학」, 23권, 2004.
  13. 김범수, 현대미술에서 신체변형을 통한 타자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2017.
  14. 박슬기, 「그로테스크 미학의 존재론적 기반과 의의」, 「인문논총」, 58권, 2007.
  15. 백훈기, 그로테스크 연극 미학 연구: 모방(Mimesis) 개념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16. 이정인, 현대무용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적 성향에 관한 연구: Tanztheater와 舞誻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17. 이지선.이지원, 「드미트리 파파이오아누(Dimitris Papaioannou)의 작품 「2」에 나타난 남성성의 표현과 이미지」, 「대한무용학회」, 71권 6호, 2008.
  18. 이창우,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영화에서 나타난 그로테스크의 정치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19. 임일환, 「예술작품과 예술적 표현의 문제」, 「미학」 제0권 9호, 1982.
  20. 전영운.류신, 「그로테스크의 형식.내용.수용: Wolfgang Kayser와 Arnold Heidsieck의 이론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1권, 2001.
  21. 정윤희, 「경계 위반과 해체의 미학- 한스 벨머의 <인형> 시리즈를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제0권 40호, 2008.
  22. 조윤경, 「몸의 이미지와 일탈의 글쓰기」, 「불어불문학연구」 제55권 2호, 2003.
  23. 최영현, 「디미트리스 파파이오아누 작품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신체 조형성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제76권 4호, 2019.
  24. Nunning, Ansgar, Crossing borders and blurring genres: Towards a typology and poetics of postmodernist historical fiction in England since the 1960s, European Journal of English Studies Vol. 1 No. 2. Routledge, 1997.
  25. Culturalweekly 홈페이지 https://www.culturalweekly.com/
  26. Danses Avec La Plume 홈페이지 https://www.dansesaveclaplume.com/
  27. Dance Tabs 홈페이지 https://dancetabs.com/
  28. Danser Canal Historique 홈페이지 https://dansercanalhistorique.fr/
  29. Dimitris Papaioannou 트위터 https://twitter.com/
  30. Dimitris Papaioannou 홈페이지 http://www.dimitrispapaioannou.com/
  31. Japan Times 홈페이지 https://www.japantimes.co.jp/
  32. London Dance 홈페이지 http://londondance.com/
  33. Neos Kosmos 홈페이지 https://neoskosmos.com/
  34. Sanjoy Roy 홈페이지 https://sanjoyroy.net/
  35. The National Herald 홈페이지 https://www.thenationalherald.com/
  36. The Guardian 홈페이지 https://www.theguardian.com/
  37. Voir 홈페이지 https://voir.ca/
  38. Youtube 홈페이지 https://www.youtube.com/
  39. Zucker Artbooks 홈페이지 https://www.zuckerartbook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