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ale and female motivation and justification for violence on perpetrators of dating violence: Application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남녀의 가해동기와 폭력 정당화가 데이트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APIM)의 적용

  • 이숙정 (전주대학교 카운슬링센터) ;
  • 권호인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21.07.27
  • Accepted : 2021.10.13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violence justification, including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in the process where the offense motive affects dating viol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5 unmarried male and female couples aged 19 and over who were dating for more than 3 months, and each couple was subjected to a self-report scale on motives, justification of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Based on these paraphras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h model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Men and women's motivations showed a direct effect on their dating violence, while women's motivations showed a significant partner effect on men's violence. The male's motivation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his dating violence and partner's abuse of dating violence as a mediator for justification of his violence.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ng effect of justifying violence in women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between the motives for violence and the paths for justifying violence in the sex violence of men and wome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녀의 가해동기가 데이트 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폭력 정당화의 매개효과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포함하여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3개월 이상 교제 중인 만 19세 이상 성인 미혼 남녀커플 총 135쌍으로, 커플 각자에게 가해동기, 폭력 정당화, 데이트 폭력에 대한 자기보고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사용하여 경로모형을 분석한 결과, 남녀의 가해동기는 자신의 데이트 폭력 가해에 유의한 직접 효과를 보였으며, 여성의 가해동기는 남성의 폭력 가해에 대한 유의한 파트너 효과도 보였다. 또한 남성의 가해동기는 자신의 폭력 정당화를 매개로 자신의 데이트 폭력 가해와 파트너의 데이트 폭력 가해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여성의 폭력 정당화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남녀의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에 있어서 가해동기와 폭력 정당화의 경로에 성차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순, 이은숙 (2014).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 예측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3(4), 288-298.
  2. 경찰청 브리핑 (2019). 데이트폭력 집중신고기간(7월~8월) 운영 결과. 경찰청, 2019.
  3. 경찰청 브리핑 (2020). 데이트폭력, 신고해야 할 '범죄'입니다. 경찰청, 2020.
  4. 권석만 (2004).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5. 김도연, 이기은, 이종현 (2017). 데이트폭력 피해 및 실태조사 결과. 한국데이트폭력연구소, 2017.
  6. 김동기 (2009). 가정폭력 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6(6), 135-159.
  7. 김수경 (2003). 대학생의 이성 친구에 대한 애착과 부모에 대한 애착표상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예정, 김득성 (1999). 데이팅관계에서 폭력집단의 특성과 신체적 폭력 발생의 맥락.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187-211.
  9. 김재엽 (1998). 가정폭력의 태도와 행동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0), 87-114.
  10. 김정란 (1999).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행동.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유재규, 이설 (2019. 08. 12.). 육군 중위, 여자친구 무차별 '데이트 폭력' 긴급체포.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3694162.
  12. 장현석 (2020. 05. 21.). '故 구하라 폭행' 최종범 2심 시작 동시에 구형...검찰 "모두 유죄". 뉴스핌. 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521001014.
  13. 문지혜 (2015). 대학생이 지각한 성장기 폭력 경험과 폭력허용도 및 데이팅 폭력의 관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사공은희 (2007).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서경현 (2002). 청소년들의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사회학습적 변인들과 분노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8(2), 1-15.
  16. 서경현 (2004).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가정폭력피해와 데이트 폭력간의 관계에 대한 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147-162.
  17. 서경현, 김봉진, 정구철, 김신섭 (2001). 대학생들의 연애폭력과 예측변인. 여성건강, 2(1), 75-97.
  18. 서경현, 김유정, 정구철, 양승애, 김보연 (2010). 데이트 폭력에 대한 가부장/비대칭 패러다임과 성-포괄적 모델의 타당성 제고.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781-799.
  19. 서경현, 안귀여루 (2007). 데이트 폭력의 공격적 피해여성들의 특성과 연인관계에 대한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3(2), 77-96.
  20. 서경현, 이영자 (2001). 고등학생들의 연애폭력에 대한 예측변인.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7(2), 91-106.
  21. 최상진 (2019. 12. 19.). 온라인 떠들썩하게 만든 '광주 데이트폭력' 항소심도 일부 유죄.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VS4V2SGYM.
  22. 손연우, 권호인 (2018).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파트너 통제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3), 549-566.
  23. 손혜진, 전귀연 (2003). 미혼 남녀의 개인적, 관계적, 상황적 변인이 데이팅 폭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43-63.
  24. 신혜섭 (2007). 데이트폭력 피해의 위험요인. 한국가족복지학, 12(2), 149-170.
  25. 안귀여루 (2006). 데이트 폭력과 관련된 심리사회적 위험요인들에 대한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706-726.
  26. 양난미 (2009). 대학생 문제음주와 데이트폭력의 관계에서 특성분노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0(4), 2539-2554.
  27. 연성진 (2000). 폭력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9-124.
  28. 오윤희 (2016). 대학생이 지각한 데이트폭력 가해동기와 데이트폭력의 관계: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오윤희, 임성문 (2018). 대학생이 지각한 가해동기와 데이트폭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2), 223-245. https://doi.org/10.18205/KPA.2018.23.2.005
  30. 오윤희, 임성문 (2019). 대학생이 지각하는 데이트폭력 가해동기: 성차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58(1), 49-77.
  31. 유선영 (2000). 여대생의 가정폭력 피해와 데이트폭력 피해간의 매개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윤 진, 양승연, 박병금 (2012). 가정폭력경험, 가부장적 성역할태도, 열등감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9(6), 79-107.
  33. 이정화 (2007). 데이트폭력의 심리적 후유증.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이지연, 오경자 (2007). 아동기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여향 - 폭력에 대한 태도와 분노 조절의 매개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433-450.
  35. 이효인 (2013). 학교스트레스가 학교폭력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화영 (2014). 데이트 폭력을 경험한 여성의 관계 중단 과정에 대한 연구. 성공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임채영, 정소영, 이명신 (2010). 대학생의 폭력인식이 데이트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5(0), 147-179.
  38. 장희숙, 조현각 (2001). 대학생 이성교제폭력의 실태와 위험요인들. 한국가족복지학회지, 8(0), 179-200.
  39. 정소영, 임채영, 이명신 (2011).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편견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와 관계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7(4), 127-151.
  40. 정혜정 (2003).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데이팅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3), 73-91.
  41. 조은경 (2003).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9(1), 1-21.
  42. 조은주 (2012). 중학생의 학교폭력허용도와 동적학교생활화(KSD) 반응특성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하예지 (2014). 데이트 폭력 인식과 대처에 관한 연구 - 데이트폭력 비네트를 중심으로 -.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하예지, 서미경 (2014). 데이트 폭력 인식과 폭력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0(4), 79-103.
  45. 홍성열 (2000). 범죄심리학, 서울: 학지사.
  46. Bookwala, J., Frieze, I. H., Smith, C., & Ryan, K. (1992).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A multivariate analysis. Violence and victims, 7(4), 297-311. https://doi.org/10.1891/0886-6708.7.4.297
  47. Capezza, N. M., & Arriaga, X. B.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acceptance of psychological aggression against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14(6), 612-633. https://doi.org/10.1177/1077801208319004
  48. Cascardi, M., & Vivian, D. (1995). Context for specific episodes of marital violence: Gender and severity of violence differences. Journal of Family Violence, 10(3), 265-293. https://doi.org/10.1007/BF02110993
  49. Celeste Walley-Jean, J., & Swan, S. (2009). Motivations and justifications for partner aggression in a sample of African American college women.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18(7), 698-717. https://doi.org/10.1080/10926770903231759
  50. Collins, R. (2009). Violence: A micro-sociological the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51. Flynn, A., & Graham, K. (2010). "Why did it happen?" A review and conceptual framework for research on perpetrators' and victims' explanations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5(3), 239-251. https://doi.org/10.1016/j.avb.2010.01.002
  52. Follingstad, D. R., Wright, S., Lloyd, S., & Sebastian, J. A. (1991). Sex differences in motivations and effects in dating violence. Family Relation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pplied Family Studies, 40(1), 51-57. https://doi.org/10.2307/585658
  53. Foo, L., & Margolin, G. (1995). A multivariate investigation of dating aggression. Journal of Family Violence, 10(4), 351-377. https://doi.org/10.1007/BF02110711
  54. Kenny, D. A. (1996). Models of non-independence in dyadic research.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3(2), 279-294. https://doi.org/10.1177/0265407596132007
  55. Lanhinrichsen-Rohling, J., Misra, T. A., Selwyn, C., & Rohling, M. L. (2012). Rates of bidirectional versus undirectional intimate partner violence across samples, sexual orientations, and race/ethnicities: A comprehensive review. Partner Abuse, 3(2), 199-230. https://doi.org/10.1891/1946-6560.3.2.199
  56. Makepeace, J. (1981). Courtship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Family Relations, 30(1), 97-102. https://doi.org/10.2307/584242
  57. Malloy, K. A., McCloskey, K. A., Grigsby, N., & Gardner, D. (2003). Women's use of violence withi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6(2), 37-59. https://doi.org/10.1300/J146v06n02_03
  58. Molidor, C., & Tolman, R. M. (1998). Gender and contextual factors in adolescent dating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en, 4(2), 180-194. https://doi.org/10.1177/1077801298004002004
  59. Neal, A. M., & Edwards, K. M. (2015). Perpetrators' and victims' attributions for IPV: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Trauma, Violence, & Abuse, 18(3), 239-267. https://doi.org/10.1177/1524838015603551
  60. O'Keefe, M. (1997).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2(4), 546-568. https://doi.org/10.1177/088626097012004005
  61. O'Keefe, M. (1998). Factors mediating the link between witnessing interparental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13(1), 39-57. https://doi.org/10.1023/A:1022860700118
  62. Riggs, D. S., & O'Leary, K. D. (1989). A theoretical model of courtship aggression. In M. A. Pirog-Good & J. E. Stets (Eds.),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Emerging social issues (p. 53-71). Praeger Publishers.
  63. Riggs, D. S., & O'Leary, K. D. (1996). Aggression between heterosexual dating partners: An examination of a causal model of courtship aggressio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1(4), 519-540. https://doi.org/10.1177/088626096011004005
  64. Roscoe, B., & Benaske, N. (1985). Courtship violence experienced by abused wives: Similarities in patterns of abuse. Family Relation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pplied Family Studies, 34(3), 419-424. https://doi.org/10.2307/583582
  65. Shorey, R. C., Meltzer, C., & Cornelius, T. L. (2010). Motivations for self-defensive aggression in dating relationships. Violence and victims, 25(5), 662-676. https://doi.org/10.1891/0886-6708.25.5.662
  66. Stets, J. E., & Pirog-Good, M. A. (1987).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50(3), 237-246. https://doi.org/10.2307/2786824
  67. Straus, M. A. (1978). Norma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violence between spouses: Preliminary data o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USA sample. University of New Hampshire.
  68. Straus, M. A., Hamby, S. L., Boney-McCoy, S., & Sugarman, D. B. (1996).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 (CTS2)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data. Journal of family issues, 17(3), 283-316. https://doi.org/10.1177/019251396017003001
  69. Stuart, G. L., Moore, T. M., Gordon, K. C., Ramsey, S. E., & Kahler, C. W. (2006). Reasons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perpetration among arrested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12(7), 609-621. https://doi.org/10.1177/1077801206290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