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Effect Integrating Writing Education and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글쓰기 교육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합한 수업 설계 및 효과

  • 최윤희 (한남대학교 탈메이지교양교육대학)
  • Received : 2021.03.30
  • Accepted : 2021.05.25
  • Published : 2021.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and possibility of instructional design conducted by integrating writing education and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based on service learning. Service learning is a teaching method that encourages students to improve learning and self-development through experience by applying the knowledge they have learned in college to the real life of the community. After the course was ope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method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he participating university students, beneficiaries of service, and staffs of service organiz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meaningful results in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aspects were presented for university students, and positive effects and high satisfaction were confirmed for beneficiaries of service and staffs. As a teaching methord that consider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from various angle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analysis and research of service learning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러닝 교수법에 기반한 글쓰기 교육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합하여 운영한 수업 설계 내용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교과 운영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서비스러닝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지역사회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봄으로써 경험을 통한 학습의 발전과 자기계발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교육 방법이다. 교과목을 운영한 후 참여한 대학생들, 봉사 대상자들, 봉사 기관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교수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에게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봉사 대상자들과 봉사 기관에서도 긍정적인 효과와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서비스러닝 교수법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와 가능성을 확인해볼 수 있었던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각도에서 학생의 성장과 발전을 고려한 교수법인 만큼 서비스러닝의 양적, 질적 성과분석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I. 서론

교육의 정체성과 이념의 변화로 1990년대 국내 대학에서 자원봉사활동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이래 대학생들의 사회봉사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그 활동 또한 다양해져 왔다. 대학의 교육, 연구, 사회봉사의 기능 중 사회봉사에 대한 기대와 중요성이 점차 부각됨에 따라 많은 대학들에서 봉사활동을 통한 전문지식과 기술 증진 및 함양이라는 목적 하에 본격적으로 대학의 사회봉사 기능을 활성화해 나갔으며, 이를 위해 사회봉사와 관련된 다양한 교과 운영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점차적으로 질적, 양적으로 확장되어왔다. 이는 대학이 지역사회의 복지향상을 위해 지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더욱 증대되었고, 사회봉사활동이 대학생들의 교육 ·훈련의 방법으로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발견했기 때문이기도 하다[1][2].

서비스러닝(Service Learning)은 경험 교육의 한 형태로 학교에서의 전문지식 교육과 현장에서의 실습 연계를 통합시켜 학생들의 학습과 지역사회의 성과 및 가치를 함께 추구하는 교육 방법이다. 이를 통해 대학에서는 단지 지역사회의 필요성을 충족시켜주기 위한 자원 분배나 자선의 차원이 아닌, 또한 학생들에게는 단순 노력 봉사의 차원이 아닌 분명하고 명확한 질적인 봉사와 함께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의 다양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3]. 대학에서는 이 교수법을 기반으로 학교에서 익힌 교과 지식을 지역사회에 봉사를 통한 체험 학습 교육모델을 창출할 수 있으며, 교수자, 학습자, 지역사회 연계 및 통합학습을 통한 지식의 심화와 지역사회 봉사를 가능케하는 선순환적 체계를 마련할 수 있다. 학생들은 봉사활동 과정을 통해 자신의 진로를 점검하고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계기가 되며 타인에 대한 이해력과 포용력을 갖추어 지역사회의 시민의식, 공동체 의식, 사회적 책임감을 함양할 수 있다[4].

본 연구는 글쓰기 교육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합한 수업 설계 내용 및 방안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 참여한 구성원들에게 미친 효과를 통해 서비스러닝에 기반한 교과 운영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학 교육에서 글쓰기를 기초로 한 의사소통 능력과 사고력의 중요성에 대해 오랜 기간 강조해왔지만, 교수·학습적인 측면에서 별다른 변화나 진전을 가져오지는 못했다. 서비스러닝에 기반한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태도를 이끌어내면서 교과 지식에 대한 동기부여와 학습 능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학습을 위한 실제적인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일부 대학들에서 전공 및 교양 교과목 운영에 서비스 러닝을 적용한 교육 및 연구들이 이루어져왔다. 사회복지, 의료, 교육, 공학, 외국어, 미술 영역 등에서 의미 있는 수업 사례들과 결과들이 제시되었다. 글쓰기교과목과 관련된 연구로는 2011년 4개의 전공과 교양 의사소통 교과목들에서 희망자 10명을 대상으로 교과수업과 연계된 봉사활동을 실시한 사례연구가 있다[5]. 이 연구에서는 일반 교과서비스러닝로 서비스러닝 봉사활동 방식을 적용한 경우를 소개하고 있어 서비스 러닝 교수법에 기반하여 글쓰기 교과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한 내용과 그 효과를 제시하고 있는 본 연구와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러닝 교수법이 학생들의 글쓰기 교과 학습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서비스러닝 교수법이 학생들의 봉사활동과 지역사회인으로서의 참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 셋째, 서비스러닝 교수법이 지역사회에 효과를 가져다 주는가?

Ⅱ. 이론적 고찰

1. 대학에서의 봉사활동

대학생의 사회봉사 교육은 봉사학습(service learning), 만남학습(encounter learning), 자원학습(volunteer learning)의 복합적 의미를 내포하고 캠퍼스 이외의 확대된 교육을 의미한다. 특히 강단교육의 차원을 벗어나 실천 교육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행함의 교육(learning in action)’이라 볼 수 있다[6]. 대학의 사회봉사 교육은 건전한 학문의 정착을 유도하는 역할과 봉사 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자기 계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회 전체로는 봉사 중심 사회 혹은 봉사적 사회정착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7].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학생들의 봉사활동들은 다양한 명칭만큼이나 개념과 활동 내용도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봉사활동과 관련된 정의로는 박애주의, 자원봉사, 사회봉사, 현장실습, 인턴쉽, 서비스 러닝 등을 들 수 있다. 박애주의는 후원, 지원, 그리고 조직이나 기업의 사회 공여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재정적 지원 등과 같은 형태이고, 자원봉사는 봉사를 하는 사람들이 선의에 의해 무료로 행해지는 활동이다. 이 두 유형은 학습과 반성적 고찰의 과정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 사회봉사는 학교와 관련된 동아리, 학생회 활동 등의 과외활동을 의미하는데, 학습의 과정에 초점을 두지 않으며, 반성적 고찰의 과정은 중요하게 여기지만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다.

현장실습과 인턴쉽은 학습에 있어 학생들이 그들의 전공영역에 대해 깊이 있게 배워 미래의 직업 분야의 실천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유용한 경험을 제공한다. 인턴쉽은 학업이나 성찰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지만, 현장실습은 학생들의 해당 전공 분야의 학습을 향상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기에 성찰은 부수적으로 제공된다. 두 형태 모두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하기도 하지만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서비스 러닝은 봉사활동의 수행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사회봉사나 자원봉사와 차이가 없으나 수행 원칙에 있어서 상호성, 반성적 고찰이 전제되어야 하며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에 통합되어 학점을 지닌다는 점에서 다른 봉사활동들과 구분된다. 또한 단순한 자선이 아닌 사회정의의 차원에서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해야 함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다른 활동들과 명확한 차이를 지닌다[8-10].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이 지니는 의의는 전문성을 지닌 학생들이 지역사회에 들어감으로서 자신들의 역할을 스스로 모색하고 자신의 지식을 필요한 곳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요구에 따른 지식 환원을 위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함으로 자기 발전과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고,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실질적인 과제에 전문적으로 대응하고 해결해 나감으로써 공동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이다[11].

그동안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에 대한 제반 사항들이 다양해지고 확장되었음에도 교과와 별개의 활동, 단순 노력 봉사, 단일 방향으로의 목표 추구 형태, 특히 지역사회 요구만 반영된 활동들로 운영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봉사활동은 상호간의 협력과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며 학생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사회 봉사활동에서 상호간에 가치있는 성과들을 기대해볼 수 있는 질적인 재고와 대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2. 서비스러닝(service learning)의 의의

서비스러닝은 강의실에서의 이론학습과 현장 실제를 통합한 구조화된 봉사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봉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반추적 사고 속에 성장하며, 봉사 기관이나 봉사 대상자도 함께 혜택을 받는 상호 호혜적 교육 방법이다. 1980년대 후반 미국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학문 영역으로 확장되었고, 국내에는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대학들에서 도입하면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12]. 서비스러닝에는 핵심 요소로 봉사, 학습과 함께 성찰(reflection)과 호혜성(reciprocity)을 포함한다. 학습이 경험 그 자체의 결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특정한 학습 결과를 얻기 위한 과정 속에서 발현되는 성찰의 결과로 보며, 교육기관과 지역사회는 파트너십 관계속에서 상호 간의 요구와 자산을 충분히 고려하여 호혜적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것이다. 즉, 서비스러닝은 타인에 대한 봉사, 지역사회 개발과 발전, 호혜적 학습의 가치를 의미하며, 이는 학습자와 그들이 봉사하는 사람들 간의 사회적·교육적·상호교환의 과정이자 목적으로 보는 것이다[9].

서비스러닝이 지향하는 교육적 목표는 학생 개인 의지적 발전을 도모하고 기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도덕과 윤리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시민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감을 갖도록 한다. 또한 사회진출을 앞둔 학생들에게 경력을 쌓기 위한 준비의 기회를 제공하며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내적 성장과 발전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7][13]. 효과적인 서비스 러닝이 되기 위한 실천 원칙으로 5가지 COOL(Campus Outreach Opportunity League) 원칙이 있다. 그것은 첫째, 지역사회의 요구와 목소리를 지역 사회봉사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 둘째, 봉사자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기관, 단체 등에 대한 정보 제공, 셋째, 지역사회에 필요하고 가치 있는 행동으로서의 봉사활동, 넷째, 봉사 경험을 반성할 수 있는 기회, 다섯째, 봉사와 학습의 평가이다[3].

성공적인 서비스러닝을 위해 갖추어야 할 주요 요소로 Kezar(1998)는 분명한 학업적 목표를 세우는 준비단계, 계획한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참여 단계, 학업적 내용과 관련해서 봉사 경험을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성찰 단계, 드러난 학습 성과를 점검하는 평가 단계를 제시했고, Duckenfield & Swanson(1992)은 봉사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세우고 설계하는 준비 단계,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실행 단계, 봉사활동 경험을 구조화하는 성찰 단계, 학생들의 공로를 인정해주고 마무리하는 축하의식 단계를 들었다[14]. 또한 Youth Community Service(2008)에서는 학습을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통합하는 연계 교육과정, 학습자들이 봉사뿐 아니라 봉사활동을 선택, 설계, 실행 및 평가를 할 수 있는 참여기회, 봉사 경험을 구조화하는 성찰,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 지역사회의 실제적 필요, 평가를 주장했다[12]. 이들의 견해를 종합해볼 때 서비스 러닝의 진행 과정에 준비, 실행, 성찰, 평가의 요소가 필수적으로 설계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최근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서비스러닝이 대학생들의 학습과 발달을 증진시키기 위한 유의미한 교육적, 사회적 활동임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서비스 러닝의 교육적 성과에 대해 대학생들의 사회성, 리더십, 민주시민의식, 사회적 책임감, 복지의식, 이타성 등의 향상과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 증진, 공동체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적, 공생적, 질적인 삶을 위한 본질적 인성 함양 등의 긍정적인 결과들이 있었다고 보고되었다[10][15-17]. 국내 서비스러닝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에서도 대학생들의 지역사회 참여의식, 자기 효능감과 학습 동기, 전공 및 교양 교과 학습 효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능력, 자기주도학습력 및 학업 성취도 향상 등 학생들의 다양한 발달 영역들인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들에서 의미있는 결과와 성과들이 제시되고 있다[18-21].

Ⅲ. 글쓰기 교양 과목에서의 서비스러닝 수업 설계 및 내용

1. 수업 운영 전략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서비스러닝 기반의 글쓰기 교과목의 목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인지적 측면에서는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 태도를 이끌어내어 글쓰기 지식 습득 및 능력 함양과 함께 글쓰기를 통하여 풍부한 사고력과 표현력을 기르고, 자기성찰, 타인과 세계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증진시킨다. 정의적 측면에서는 자신의 지식을 사회에 환원하면서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 의식을 고취하고 자기 내적 성장과 계발을 도모한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봉사를 통해 강의실에서 배운 글쓰기 이론과 지식을 사회화하는 과정을 학습하고 여러 구성원들과의 협력 속에 사회적 책임감, 대인관계 능력, 협동심을 기른다. 일반 글쓰기 과목에 비해 서비스러닝 기반 글쓰기 수업에서는 체험교육을 통한 교과 지식의 체득화와 학업 동기 강화 및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한 실력 함양이 증진되며, 더불어 내적 외적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다함께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수업 목표를 위해 교수자와 학생의 측면에서 각각 세 가지 교과목 운영 전략을 도출하였다. 교수자의 효과적인 서비스러닝 교과 운영을 위해서는 철저한 교과 설계 및 준비, 교내 서비스러닝 센터 및 지역사회 협력 기관과의 협력, 충실한 교과 및 봉사 지도가 필수 요소이며, 학생의 효과적인 서비스러닝 활동을 위해서는 성실한 교과 학습, 체계적인 봉사활동 준비 및 수행, 반성적 고찰의 성찰 활동을 핵심 요소로 삼았다. 이를 모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그림 1].

CCTHCV_2021_v21n7_500_f0001.png 이미지

그림 1. SL 기반 교과목 운영 전략 모형

2. 수업 설계 및 내용

수업 설계의 주요 단계 및 요소는 2장에서 학자들이 제시한 서비스러닝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의 내용을 바탕으로 교수자와 학생의 담당 및 수행 역할에 따라 과정을 분리하여 단계별로 설계하였다. 즉, 교수자는 준비 및 계획, 실행, 관리, 평가, 개선 단계로, 학생은 준비, 참여, 성찰, 평가 단계로 진행된다. 각 단계마다 중심 하위요소를 설정하여 명확한 목표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활동들을 구체화하였다. 이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면 [그림 2]와 같다.

CCTHCV_2021_v21n7_500_f0002.png 이미지

그림 2. SL 기반 글쓰기 수업 설계 모형

2.1 준비 및 계획 단계

이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활한 수업 운영을 위해 교수자의 철저한 사전 수업 준비와 봉사 가능한 협력 기관을 확보하는 것이다. 교수자는 글쓰기 교과목을 서비스러닝의 특징에 맞게 학업과 봉사 목표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지도 방법과 일정들을 세운 뒤 교과목과 연계하여 봉사할 수 있는 지역사회 봉사 기관들을 탐색하여 사전에 섭외하는 작업을 했다. 봉사 기관은 학기 초 교내 서비스러닝 센터의 협력을 받기도 하고 개별적으로 교수자가 섭외하기도 했다. 섭외 시 기관들에 봉사활동 취지 및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상호 봉사활동 목적, 가능한 인원 및 요구사항 파악, 일정 조율, 환경 등을 고려하여 최종 5곳을 선정하였다.

2.2 실행 단계

이 단계에서 중요한 요소는 학습 및 봉사활동에 대한동기부여, 교과 진행, 봉사팀 구성 및 팀 협력 강화, 체계적인 봉사활동 준비 지도라고 할 수 있다. 교수자는 설계한 글쓰기 교과 지식 전수와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집약적인 실력 함양을 위해 쓰기 실습과 과제 점검, 팀기반 활동들을 병행하였다. 일반 교과목에 비해 강의실에서 학생들이 배우는 기간도 짧고, 이를 적용한 봉사 실습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지식을 전달하려고 하기보다는 학생들의 지식 이해와 실력 증진, 응용력에 초점을 두었다. 봉사팀을 구성한 후 학생들에게 봉사 기관과 봉사 대상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학력 수준을 고려한 구체적인 봉사내용을 준비하도록 지도하였다.

교수자의 실행 단계 속에 학생들의 준비 단계가 이루어진다. 학생들이 먼저 자신의 지식 생성 및 실력 함양을 위해 학업을 성실히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동기부여와 함께 학업 증진에 주의를 기울렸다. 봉사대상자들과 사전 만남을 통해 요구사항들을 직접 파악하여 팀별로 주도적으로 봉사의 목표, 내용, 방향, 역할 등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효과적인 팀워크가 이루어지도록 전반적인 사항들을 교수자에게 점검을 받으며 준비하도록 하였다.

2.3 관리 단계

이 단계에서 학생들의 서비스러닝 활동 파악 및 점검, 피드백과 격려, 문제해결이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매주 봉사한 경험을 바탕으로 반성적 사고의 결과물인 성찰일지를 제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자는 학생들의 봉사 및 학습 내용들을 파악하고 점검하여 적절한 피드백과 함께 격려 및 지지를 해주고, 사안에 따라 기관을 방문하여 문제해결을 돕기도 하였다.

관리 단계에서 학생들의 참여 단계, 성찰 단계가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체계적으로 준비한 봉사활동 계획에 따라 적극적으로 현장실습에 참여하면서 효과적인 팀워크 속에 서로 협력하는 모습을 잘 보여주었다. 상황에 따라 팀별, 개별로 봉사 과정을 이끌어나가면서 학생들은 마주하게 되는 문제들을 주도적으로 해결해나갔다. 학생들은 봉사활동에서 경험되는 일체의 사항들에 대해 비판적, 반성적으로 사고하고 이를 정리한 성찰일지를 제출하였다. 봉사활동 전반에 대해 인지적, 정의적, 실천적 관점에서 배우고 느낀 점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교수자와 봉사활동 현황을 공유하며 동력을 얻거나 문제해결을 함께 하기도 했다.

2.4 평가 단계

이 단계에서는 서비스러닝 전 활동에 대해 교수자와 학생들이 스스로 지각하는 교수-학습 성과들을 점검하고 분석한다. 서비스러닝의 모든 과정이 끝난 뒤 최종활동 보고서 및 발표와 토의, 토론 등의 활동들을 통해본 교과목이 추구하고 지향했던 교육 목표들에 대한 성과 및 결과들을 평가해보고 개선 사항들을 고찰하였다. 이때 교수자, 봉사자뿐 아니라 봉사 대상자, 봉사 기관, 교내 지원 센터까지 각자 역할과 성과에 대해 성찰 및 평가해보는 시간을 가졌으며, 그 내용 및 결과들을 바탕으로 추후 운영을 위해 서비스러닝 활동 전반에 대해 개선할 점들을 도출하였다.

2.5 개선 단계

이 단계에서는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모든 구성원들의 평가 내용과 도출한 개선 사항들을 최종적으로 정리하고 추후 과정에 반영한다. 교수자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얻은 서비스러닝 교과 운영에 대한 목소리를 정리하여 향후 교과 운영에 반영하고, 학교 및 기관 차원에서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한 부분들은 해당 기관에 전달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Ⅳ.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H대학의 2019년 2학기 서비스 러닝 과목인 <글쓰기와 소통(SL)>을 수강한 20명의 학생들(남 7명, 여 13명)과 이 학생들에게서 글쓰기 교육 및 지도를 받은 봉사 대상자 44명 중 효과성 검사를 실시한 23명과 봉사 기관 5곳 중 설문 조사를 한 4곳의 담당자 4명이다. 연구 대상에 초등학교 저학년생과 본교 국제교류팀 담당자는 제외하였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구성원 및 봉사 기관은 다음과 같다.

표 1. SL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구성원 및 기관

CCTHCV_2021_v21n7_500_t0001.png 이미지

2. 연구 도구

서비스러닝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는 글쓰기 학습 효과, 봉사활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 지역사회 참여 의식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봉사 대상자와 봉사 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는 교육 봉사활동에 대한 효과와 만족도 검사를 하였다. 봉사활동 자기 효능감 및 지역사회 참여의식 검사는 원미순(2003)의 측정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활용한 것으로 학기초 사전, 학기말 사후 검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4.0을 사용하였고, 사전 사후 간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여 빈도 분석 및 대응표본 t검정을 하였다. 그 외 다른 검사지들은 교수자가 본 교수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제작한 것으로 학기말 모든 봉사활동이 마친 뒤 실시하였다. 모든 검사 설문지의 문항은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자료 결과는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3. 연구 절차 및 내용

수업 과정은 앞 장에서 제시한 수업 설계 단계대로 진행하였으며, 내용은 주차별로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주차에는 서비스러닝 교수법에 대한 사전 교육, 서비스러닝 기반 글쓰기 교과에 대한 간략 소개, 봉사활동 및 지역사회 시민으로서의 책무성 의미를 전달하는 시간으로 가졌다. 2주~9주차는 본격적인 글쓰기 교과 진행 및 봉사활동을 준비하는 시간이었고, 10~14 주차에는 팀별로 봉사활동을 수행하고, 15주차에는 봉사활동에 대한 발표 및 토론과 평가를 하였다. 일반 교과에 비해 부족한 강의실 내에서의 이론 수업 양을 보완하기 위해 동영상 강의 자료, 동료 및 교수자의 첨삭과 피드백, 팀기반 문제해결 방법들을 활용하였으며, 과제들을 통해 쓰기 실습을 보완했다. 글쓰기 수업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표 2. SL 기반 글쓰기 수업 내용

CCTHCV_2021_v21n7_500_t0002.png 이미지

학생들은 1학년때 글쓰기 필수 교과목을 통해 익힌 글쓰기의 기초 지식과 본 수업에서 배운 심화 내용을 바탕으로 각 팀별 봉사 대상자들의 학력 수준 및 요구사항에 따라 필요한 내용들을 선별하여 글쓰기 교육 및 지도를 하였다. 교육 봉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3. SL 기반 글쓰기 교육 봉사 내용

CCTHCV_2021_v21n7_500_t0003.png 이미지

Ⅴ. 연구 결과

1. 교과 수강생(봉사자) 대상

1.1 글쓰기 학습 효과

글쓰기 학습 효과 검사는 이 교수법을 통해 학생들이 지각하는 글쓰기 능력 향상 및 인식(1~3문항), 서비스 러닝 기반의 글쓰기 수업의 유익성(4~5문항)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표 4. 교과 수강생 대상 글쓰기 학습 효과

CCTHCV_2021_v21n7_500_t0004.png 이미지

조사에서 봉사자들의 높은 긍정적인 응답율을 볼 수 있다. 이 교수법 수업이 학생들에게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더 강화시켜주고 동기부여가 됐으며, 학습을 심화하고 실력을 증진하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본다.

1.2 봉사활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

봉사활동 자기 효능감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는 검정 통계량 t값이 2.750이며, 유의수준 0.013로 유의확률 0.05(P<0.05)에서 유의하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표 5. 교과 수강생 대상 봉사활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

CCTHCV_2021_v21n7_500_t0005.png 이미지

P<0.05

이는 서비스러닝을 기반으로 한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대한 자신감, 자기 조절 효능감 및 봉사업무에 임하는 자세에 있어 이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1.3 지역사회 참여의식

지역사회 참여의식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는 검정 통계량 t값이 2.343이며, 유의수준 0.030로 유의확률 0.05(P<0.05)에서 유의하다는 결과를 보였다.

표 6. 교과 수강생 대상 지역사회 참여의식

CCTHCV_2021_v21n7_500_t0006.png 이미지

P<0.05

이는 이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감 및 영향력, 지역사회와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이 이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 봉사 대상자 및 기관 대상

2.1 봉사 대상자

봉사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는 글쓰기 수업의 유익함(1~4문항), 수업 방식 및 지도 내용의 효과(5~6문항), 교수자의 준비도(7~8문항), 수업 만족도(9~10문항)로 구성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7. 봉사 대상자 대상 글쓰기 봉사활동 효과 및 만족도

CCTHCV_2021_v21n7_500_t0007.png 이미지

전반적으로 봉사 대상자들에게서 봉사활동의 효과와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봉사자들의 수업 방식과 준비도에서 높은 응답율을 보인 것은 사전에 파악한 이들의 요구와 필요도가 봉사활동 속에 효과적으로 잘 전달되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2.2 봉사 기관

기관에 대해서는 기관에 끼친 봉사활동의 유익성(1~3문항), 봉사활동 필요성(4~5문항), 봉사활동 만족도(6-8문항)로 구성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8. 봉사 기관 담당자 대상 글쓰기 봉사활동 효과 및 만족도

CCTHCV_2021_v21n7_500_t0008.png 이미지

봉사 기관 담당자들 또한 서비스러닝 봉사활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유익한 점이 많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봉사활동 전에 기관 담당자와 충분한 논의와 필요한 사항들을 파악함으로서 구체적으로 도움이 되었으며 이로인해 다른 봉사활동과의 차별성을 인식했고 만족도가 높았다고 여겨진다.

Ⅵ. 결론 및 논의

지금까지 살펴본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 문제에 대한 결론을 다음과 같이 내릴 수 있다. 첫째, 서비스 러닝 기반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교과 지식 심화와 실력 향상에 학생들이 스스로 지각할만한 학업 성취와 효과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일반 글쓰기 수업에 비해 강의실에서의 배움 시간은 짧지만, 서비스 러닝 교과의 특성인 자기주도학습, 능동적인 참여, 집약적이고 응용화된 교과 실습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동기부여와 실력 함양에 유익하게 작용했고 그 효과를 자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서비스러닝 수업이 학생들의 봉사활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지역사회 참여의식을 향상시키는 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봉사활동을 준비, 참여, 성찰, 평가하는 모든 과정들에서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들과 상호 협력하에 과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작업들이 내적 성장 및 성숙과 봉사활동에 임하는 태도와 자세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역사회의 환경과 문제점을 들여다보고 직접 참여해봄으로써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소속감 및 공동체 의식이 보다 더 증진되었을 것이다.

셋째, 봉사 대상자들과 봉사 기관 담당자들에게서 서비스 러닝 활동에 대한 높은 효과와 만족도의 결과를 통해 서비스러닝의 핵심 요소인 호혜성이 충족되었음을, 즉 지역사회에도 유의미한 봉사활동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일 방향으로의 목적을 충족시켜주는 기존의 여타 봉사활동들에 비해 서비스러닝은 참여하는 구성원들 모두에게 공동의 유익성을 제공하는 것이 주안점인데, 이러한 목적과 기대가 효과적으로 잘 달성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봉사자, 봉사 대상자, 봉사 기관에서 나타난 유의미한 결과들을 통해 글쓰기 교과 과정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합한 서비스러닝 교수법이 대학 교육과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교육과 봉사의 질을 높이고 공동의 유익을 추구하는 보다 효과적인 교육 및 봉사활동의 모델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본다. 서비스러닝 활동에 참여한 학생은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인 영역에서 자기 성장과 발전, 역량을 계발할 수 있고, 봉사 대상자는 개인의 빈곤한 부분을 적절하게 채움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되며, 봉사 기관은 전문적인 봉사 기여로 봉사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서비스러닝 기반 교과목을 설계 및 운영할 때 고려하면 좋을 점으로 제안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는 다각도에서의 준비와 설계가 필요하다. 기존 수업에 비해 참여 구성원들의 폭이 확대되기 때문에 여러 구성원들의 관점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점검하고 절충하여 협력해야만 교과목의 목표를 달성하고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둘째, 병행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들을 함께 설계하여 활용할 것을 추천한다. 기존 수업에 비해 강의실에서의 학습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정량의 교과 지식 학습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예를 들면, 플립드러닝, TBL, PBL 등을 일부 활용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교과목 연계 가능한 지역사회의 봉사 기관을 확보하고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교과와 연계된 봉사활동의 성격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협력 가능한 기관들을 섭외한 후 여러 상황으로 인해 계획된 일정에 변경이 생길 수도 있음을 고려하여지속적으로 관계 형성 및 상황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본 연구는 글쓰기 교과와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연계한 수업 사례로 참여한 모든 구성원들의 평가를 통해 이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들을 확인할 수 있었던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표집 대상과 척도에서 제한점을 지닌다. 추후 이 교수법의 효과 검증을 위해 표집 대상을 확장하고 객관적인 지표로 측정을 할 수 있다면 보다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아직까지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지 않은 교수법인 만큼 서비스러닝에 대한 객관적인 효과성을 검증할 만한 도구들의 개발이 시급하다. 또한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성장과 발전을 고려한 교수법인 만큼 서비스러닝의 양적, 질적 성과 분석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이대순, "대학의 사회봉사와 중.고교생 자원봉사 협력방안," 한국자원봉사, 제11회 포럼, 1997.
  2.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자원봉사활동의 조직과 운영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8.
  3. B. Jacoby & Associates & Thomas Ehrlich, 조용하 역, 대학교육과 봉사학습: 이론적 관점과 실제, 학지사, 2008.
  4. 조용개, 김혜경, "대학에서의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11호, pp.363-372, 2019.
  5. 이재성, "의사소통 관련 교과목과 연계한 서비스러닝 수업 모델 개발연구," 인문논총, 제24집, pp.89-109, 2012.
  6. 이현청, 한국의 대학생: 의식구조와 국제경쟁력, 원미사, 1999.
  7. 정진희,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8. B. Jacoby(ed.), Servic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Concepts and Practices, Jossey-Bass Publishers, 1996.
  9. B. Jacoby, 이현우외 역, 서비스-러닝의 본질 : 질문, 답, 그리고 깨달음, 박영사, 2018.
  10. 원미순, 대학생의 봉사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1. 류기형 외, 자원봉사론, 양서원, 2018.
  12. 장경원, "Service-Learning에 기반한 '교육봉사' 과목 운영 전략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pp.373-393, 2010. https://doi.org/10.24211/TJKTE.2010.27.3.373
  13. 주성수, 자원봉사 이론 제도 정책, 아르케, 2005.
  14. 김은경, 대학 교과과정과 연계한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5. J. Boss, "The effects of community service work on the moral development of college ethics students," Journal of Moral Education, No.23, pp.183-198, 1994.
  16. D. E. Jr Giles and J. Eyler, "The impact of a college community service laboratory on student's personal, social and cognitive outcomes," Journal of Adolescence, Vol.17, No.4, pp.327-339, 1994. https://doi.org/10.1006/jado.1994.1030
  17. R. T. Knee, "Service-Learning in Social Work Education: Building Democracy through Information Citizenship,"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Denver, 1999.
  18. 한인영 외, "전공교육과 연계한 봉사학습의 효과연구: 사회복지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3호, pp.251-276, 2005.
  19. 김은영, 유숙영, "봉사-학습이 여자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지역사회 참여의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제47권, 제3호, pp.1-22, 2009.
  20. 서은희, "봉사-학습이 예비여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업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 교육연구, 제26권, 제3호, pp.1-18, 2009.
  21. 안미리, "교양교육과 연계한 서비스러닝의 사례연구," 문화와 융합, 제40권, 제5호, pp.227-252,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