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전북대학교 연구기반 조성비 및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B8099507).
References
- 강원연구원 (2020). 강원기록원 설립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및 연구, 강원도.
- 경기연구원 (2019). 경기 천년 기록원 기본계획 수립보고서, 경기도.
- 광주전남연구원 (2019). 광주기록원 설립을 위한 연구, 광주시.
- 대구경북연구원 (2018). 대구기록원 설립을 위한 기초 연구, 대구시.
- 대전세종연구원 (2017).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 및 운영방안, 대전.
- 부산연구원 (2018). 부산기록원 설립 필요성 및 방향 설정 연구, 부산시.
- 아카이브웍스 (2020). 경상북도 기록원 걸립 추진을 위한 연구용역, 경상북도.
- 울산연구원 (2020).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 및 운영계획 연구, 울산시.
- 제주연구원 (2020). 제주기록원 설립 필요성 및 방향설정 연구, 제주도.
- 충북연구원 (2019). 충북기록원 설립을 위한 기초 연구, 충청북도.
- 충남연구원 (2018). 충청남도 기록원 건립 기초 연구, 충청남도.
- 한국지식산업연구원 (2020). 전라북도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 기본계획수립, 전라북도.
- 김영종, 이재호 (2009). 지방기록물 관리기관 설립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지방 기록물 생산량 및 보존량 추정과 인력수요량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1(2), 155-173.
- 김형국 (2004).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와 관련된 제도적 검토. 영남학, 6, 135-157.
- 설문원 (2015). 로컬리티와 지방기록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51-171.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4.151
- 손동유 (2011). 지방의 역사기록관리 활성화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8, 155-180. https://doi.org/10.20923/kjas.2011.28.155
- 안병우 (2004). 지방기록관 설립과 경기기록문화포럼의 활동. 영남학, 6, 159-190.
- 염수정 (2020). 지역기록화를 위한 지방기록물관리기관과 지역 공동체의 협력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 석사학위 논문, 1-81.
- 오항녕 (2004). 지방기록보존소의 기능과 조직. 대전.충남 기록문화 발전을 위한 포럼, 53-62.
- 이영학 (2010). 기록문화와 지방자치. 기록학연구, 26, 1-30.
- 이영남 (2000).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과 운영, 기록보존, 13, 19-47.
- 이재호 (2020). 지방기록물 관리기관 설립을 위한 공공기록물 보존 대상 추정량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467-484.
- 이해준 (2001). 지역 기록물 관리기관 설립과 운영방향. 역사와 담론, 30, 177-200.
- 지수걸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기록학연구, 21, 247-281. https://doi.org/10.20923/kjas.2009.21.247
- 홍성덕 (2004). 지방기록보존소와 지방사연구. 영남학, 6, 19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