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학부모 관계 및 교사소진 간의 관계: 가정연계효능감의 조절효과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nd Teacher Burnout: The Moderating Role of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 투고 : 2021.04.07
  • 심사 : 2021.04.27
  • 발행 : 2021.04.30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가정연계효능감이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과 교사소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그리고 공감능력과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학부모 관계 및 교사소진의 관계에서 가정연계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유의한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에 근무하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JAMOVI 1.6.23을 활용하여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가정연계효능감 모두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에 유의한 정적효과를 보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에서 가정연계효능감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치원 교사의 가정연계효능감이 높을 때(M+1SD)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이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가정연계효능감이 평균 수준이거나 낮을 때(M-1SD)는 공감능력이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가정연계효능감 모두 교사소진에 유의한 부적효과를 나타냈으며, 공감능력과 교사소진의 관계에서 가정연계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교사-학부모 관계와 교사소진에 있어 공감능력과 가정연계효능감의 역할을 확인하고, 특히 공감능력이 교사-학부모 관계 인식에 미치는 효과가 가정연계효능감 수준에 따라 조절됨을 확인함으로써 가정연계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and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predict perceive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nd teacher burnout.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perceive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nd teacher burnout. A total of 208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employed in the Chungbuk area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JAMOVI (version 1.6.23). There were three major findings. First, both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and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positively predicted perceive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acher empathy and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on perceive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Specifically, when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was high (M+1SD), teacher empathy significantly positively predicte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By contrast, when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was average or low (M-1SD), the effect of teacher empathy on the perceive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was not significant. Third, both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and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negatively predicted teacher burnou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acher empathy and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on teacher burnout. This study identified the role of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within the context of kindergarten teacher-parent relationships and teacher burnout. It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eacher empathy on parent-teacher relationships is moderated by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선아(2008).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가 학부모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과 보람에 관한 이야기.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 구은미(2016). 보육교사의 건강과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9, 1-17.
  3. 권나연, 이희영(2012). 유치원 교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역할.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199-218.
  4. 권미량, 하연희(2014). 유아교육기관의 부모와 교사의 관계성 탐색. 유아교육연구, 34(4), 281-302.
  5. 권성민(2011).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13-333.
  6. 권수현(2011).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육아지원연구, 6(1), 47-66.
  7. 김경미(2017). 유치원 교사의 수업화법능력과 공감능력 및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간 관계. 석사학위논문, 삼육대학교.
  8. 김명화(2008). 간호대학생의 자아 정체감, 대인관계 및 적응에 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7(1), 55-64.
  9. 김보영, 김현주(2013).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73-10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073
  10. 김병만, 김미진(2016).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5(4), 169-192.
  11. 김세루, 천혜경, 안상화, 홍혜경 (2009).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인식 및 의사소통능력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6), 5-25.
  12. 김신재(1987). 유치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변화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3. 김유정, 박지혜, 안선희(2012). 보육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가정연계 효능감이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3(5), 71-89.
  14. 김은숙, 오현경(2013).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전문성 인식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의 관계 연구. 한국한부모가정학, 6(1), 27-48.
  15. 김은진(2018).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 관계에서 교사 마음챙김의 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6(3), 208-214.
  16. 김연하, 김양은(2008).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분석. 유아교육연구, 28(2), 169-191.
  17. 김영주, 이경화(2015). 유아교사의 관점에서 본 교사와 학부모의 갈등과정: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5), 237-260.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37
  18. 김유정, 박지혜, 안선희(2012). 보육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그리고 가정연계 효능감이 부모-교사협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5), 71-89. https://doi.org/10.5723/KJCS.2012.33.5.71
  19. 김정미, 백진아(201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합연구, 16(3), 321-331.
  20. 노은호(2012). 보육환경의 질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2), 67-83.
  21. 류경희, 강상(2015).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동료교사 협력관계,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효능감간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19(2), 203-225.
  22. 마지순 (2019).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직윤리,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7), 325-331.
  23. 박상희, 문수경, 이무영(2006). 보육교사의 소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65-84.
  24. 박양조, 박희숙(1997). 어린이집 교사와 부모 및 영유아와의 인간관계. 교육논총, 16, 169-186.
  25. 박영신(2017). 정서적 지원과 직무 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경력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9(4), 309-325.
  26. 박은숙(2018).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 및 교사-부모 협력이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남서울대학교.
  27. 박지현(2019).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28. 서재경(2014). 학부모 및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보육교사-학부모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어려움과 보육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9. 서홍숙, 이희영, 최태진(2017).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집단자존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문화연구, 51, 187-202.
  30. 손환희, 정계숙 (2011).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213-232.
  31. 손은정(2016).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32. 신혜영(2004). 어린이집 교사의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33. 엄현옥(2013). 자녀를 근무기관에 취원시킨 보육교사의 경험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34. 양다경, 이연승(2016).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755-776
  35. 양연숙(2006). 장애전담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7, 175-195.
  36. 오선진(2016).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심리적소진 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80-181.
  37. 우수경, 서윤희(2016).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과 공감능력 및 의사소통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 21(1), 367-384.
  38. 유미나, 신나리(2013). 보육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만족도와 직장 내 사회적지지. 생애학회지, 3(2), 73-85.
  39. 유현숙(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40. 윤혜미, 노필순(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43, 157-184.
  41. 이미나, 김민정, 정미라(2016). 협동적 조직문화가 유치원교사의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일 가치감의 매개효과 및 공감의 조절효과. 아동교육, 25(2), 119-139.
  42. 이민영(2017). 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교사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43. 이병임(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3), 129-152.
  44. 이선미(2014).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공감능력, 정서상태, 직무만족도 차이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45. 장해순(2013). 대학생의 자아노출과 공감능력이 스트레스 지각정도 및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1(3), 5-28.
  46. 전병성(2003). 공감과 이타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47. 정송, 노언경(2020). 한국형 교사소진 척도(MBI-ES) 타당화. 교원교육,36(2), 271-292.
  48. 정순희(2013).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49. 정순희, 최영미, 이희영(2013).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193-215.
  50. 정진옥, 손혜경(2019). 민간어린이집 교육교사의 다차원적 공감능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 185-200.
  51. 최서영, 이대균(2011).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5(5), 77-102.
  52. 최윤아, 김낙홍(2015).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3), 21-43.
  53. 최자영(2018).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이 부모-교사 협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54. 최지현(2013). 유아, 어머니, 교사 특성이 어머니-교사 협력관계 및 인지 발달에 미치는 영향: 횡단 및 종단 연구. 박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55. 최현석(2011). (인간의 모든) 감정 : 우리는 왜 슬프고 기쁘고 사랑하고 분노하는가. 서해문집.
  56. 황인호, 장성화 (2012). 교사의 심리적안녕감, 공감능력, 직무효율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2), 232-24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232
  57.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411-432.
  58. 황혜정, 김경희, 이혜경, 어주경, 나유미(2008). 아동과 환경. 서울: 학지사.
  59.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Publications, Inc.
  60.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1.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62. Elicker, J., & Noppe, I. C. & Fortner-Wood, C. (1997). The parent-caregiver relationship scale: rounding out the relationship system in infant child car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8(1), 83-100.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0801_7
  63.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 30(1), 159-165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64. Guerney, E. G., Jr. (1977). Relationship enhancement:Skill training programs for therapy, problem, prevention, and enrichment. San Fransisco; Jossey-Bass.
  65. Horvath, A. O., & Greenberg, L, S. (1989). Develipment and validation of WAI.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 223-233. https://doi.org/10.1037/0022-0167.36.2.223
  66. Maslach, C., Jackson, S. E., Leiter, M. P., Schaufeli, W. B., & Schwab, R. L. (1986). Maslach burnout inventory (Vol. 21, pp. 3463-3464).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67. Swap, S. M. (1993). Developing home-schoolpartnerships:From concepts to practi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