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용노동부. (2019). 직접일자리사업 중앙부처-자치단체 합동지침. 세종: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 (2020).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시행지침. 세종: 고용노동부.
- 국토교통부. (2017). 주거복지 로드맵. 세종: 국토교통부.
- 김경대, & 이규환. (2015). 지방의회 의원의 의정활동에 대한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4), 155-178. https://doi.org/10.21026/jlgs.2015.27.4.155
- 김기용, 석영미, 김국현, & 이상민. (2019). 청년세대를 통한 농산어촌 활성화 방안.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용역보고서. 서울: 케이엠플러스컨설팅.
- 김기헌, 하형석, & 신인철. (2016). 청년 사회경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I.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김선기, 이주형, 박경국, 최효훈, & 임경지. (2017). 청년활동의 확장과 고민: 서울시 자치구 청년거버넌스 사례집. 서울시 청년허브 용역보고서. 서울: 서울시 청년허브.
- 김정섭, & 김종인. (2017). 귀농.귀촌 인구 전망과 정책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24(1), 33-48. https://doi.org/10.12653/jecd.2017.24.1.0033
- 김정섭, 신소희, & 구본경. (2018). 청년의 지방 이주 지원 정책 추진 실태와 개선 방안. 서울시 청년허브 용역보고서. 홍성: 마을학회 일소공도.
- 김정숙, & 강영배. (2017). 20대 청년들의 사회활동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김종인, & 김정섭. (2016). 일본의 청년 신규 취농 지원 정책과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23(2), 115-122. https://doi.org/10.12653/jecd.2016.23.2.0115
- 김필두, & 류영아. (2014). 지방자치에 대한 인식 분석. 원주: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남궁인철. (2010). 청년 일자리 지원사업의 성과와 개선과제.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 노용구. (2002). 청소년 여가의 현황 및 대안모색.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2(1), 65-75.
- 박수명. (2013). 청년계층의 사회적 배제에 관하여: 고용, 실업, 비정규직의 관점에서. 한국정책연구, 13(3), 113-131.
- 박재완. (2018). 사회이동성에 대한 진단과 대안모색, '수저계층론'의 진단과 정책방향(pp.1-82). 서울: 한국경제연구원.
- 양영철, 소순창, 김성호, 김찬동, 이광원, 최미옹, et al. (2016). 경기도 지방분권 정책과제 종합계획 수립 및 추진방안. 경기도 연구용역보고서. 서울: 한국지방자치학회.
- 엄창옥, 노광욱, 나주몽, 이기원, 손연주, 백경호, et al. (2019). 청년의 지역정착 제고를 위한 실태분석과 정책방안에 대한 연구.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용역보고서. 대구: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덕로, 노대명, & 이지호. (2014). 근로빈곤층 정책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평가. OUGHTOPIA, 29(2), 179-214.
- 이수욱, 김태환, 황관석, 변세일, & 이형찬. (2015). 저성장시대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 이수현. (2017). 청년 여가정책의 필요성 연구: 청년세대의 여가자원 분포 특성 검토를 통하여. 여가학연구, 15(3), 71-93.
- 이태진, 김태완, 정의철, 최은영, 임덕영, 윤여선, et al. (2016). 청년 빈곤 해소를 위한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방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현서. (2016). 청년 고실업률 시대, 청년 여가권 성찰. 문화정책논총, 30(2), 236-262. https://doi.org/10.16937/jcp.30.2.201608.236
- 정성지. (2020). 청년 농업인 정착을 위한 사회적 농업의 역할 탐색. 농촌지도와 개발, 27(2), 89-110. https://doi.org/10.12653/jecd.2020.27.2.0089
- 조민구. (2015). 여가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여가활동 영향요인의 실증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차재빈. (2018). 국민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에 관한 연구: 수정된 IPA를 활용하여. 관광레저연구, 30(5), 209-223. https://doi.org/10.31336/jtlr.2018.05.30.5.209
- 최영출, & 이지혜. (2014). IPA매트릭스를 활용한 행복도 증진 요인 분석: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8(2), 401-423. https://doi.org/10.18398/kjlgas.2014.28.2.401
- 충청남도. (2018). 2018 충남사회지표 시군편. 예산: 충청남도청.
- 충청남도. (2018). 2018 충남사회지표 도민의 삶과 정책연구. 예산: 충청남도청.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용역보고서.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홍성군청. (2019). 2030년 홍성군 도시재생전략계획. 홍성: 홍성군청.
- 홍성민, & 박진희. (2012). 청년층 희망 일자리와 실제취업 일자리 격차 분석: 고학력 청년 실업 원인에 대한 고찰. 입법과 정책, 4(1), 131-146.
- 홍순구, 이현미, & 김나랑. (2015). 일자리창출 관련 정부정책참여 요인: 부산지역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2), 177-197. https://doi.org/10.21026/JLGS.2015.27.2.177
- Alston, A. J., & Cruchfield, C. M. (2009).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North Carolina 4-H agents toward minority youth participation in agricultural-related activities. Journal of Extension, 47(5), 1-10. Article No. 5RIB5. http://www.joe.org/joe/2009october/rb5.php
- Barnett, R. V., & Brennan, M. A. (2006). Integrating youth into community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policy planning and program evaluation. Journal of Youth Development, 1(2), 29-39. https://doi.org/10.5195/jyd.2006.382
- Barrett, M. S. (2012). An introduction to community-based learning. Donelan Office of Community-Based Learning. College of the Holy Cross Conference papers.
- Blessinger, P., Sengupta, E., & Yamin, T. S. (2019). Improving academic success through service- learning. University World News, 01, June 2019. https://www.universityworldnews.com/post.php?story=20190526153905418
- Christens, B. D., & Dolan, T. (2011). Interweaving youth development, community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through youth organizing. SAGE Journals, 43(2), 528-548. https://doi.org/10.1177/0044118X10383647
- Deng, W. (2007). Using a revi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pproach: The case of Taiwanese hot springs tourism. Tourism Management, 28(5), 1274-1284. https://doi.org/10.1016/j.tourman.2006.07.010
- Denis, F., Francis, K., & Thierry, M. (2000). Youth employment policies in France. European Economic Review, 44(4-6), 928-942. https://doi.org/10.1016/S0014-2921(99)00051-3
- Ludeman, R. B., Osfield, K. J., Hidaldo, E. I., Oster, D., & Wang, H. (2009). Student Affairs and Services in Higher Education: Global Foundations, Issues and Best Practices. Pari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183221
- Martilla, J. A., & James, J. 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https://doi.org/10.1177/002224297704100112
- Panday, S., & Richter, L. (2008). Shifting priorities: Changes in youth development practice post first generation youth policy. Gauteng: National Youth Work Policy Conference papers. 20. February 2008. http://hdl.handle.net/20.500.11910/5299
- Sathar, Z., Kamran, I., Sadiq, M., & Hussain, S. (2016). Youth in Pakistan: Priorities, realities and policy responses. New York: The Population Council. http://www.popcouncil.org/uploads/pdfs/2013_CapturingDemoDivPak.pdf
- Slack, N. (1994). The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as a determinant of improvement prio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anagement, 14(5), 59-75. https://doi.org/10.1108/01443579410056803
- Yang, H. C., & Tasnuva, T. (2013). Issues of workplace in Korea: How to inspire temporary workers?. Journal of Business Economics and Environmental Studies, 3(1), 23-27.
- Zeldin, S. (2004). Preventing youth violence through the promotion of community engagement and membership.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2(5), 623-641. https://doi.org/10.1002/jcop.20023
- Zeldin, S., Camino, L., & Calvert, M. (2003). Toward an understanding of youth in community governance: Policy priorities and research directions. Social Policy Report, 17(3), 1-20. https://doi.org/10.1002/j.2379-3988.2003.tb0002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