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통계청. 2019 고령인구비율(시도/시/군/구)[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19[cited 2019 October 4].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20631
- 정택수. 관심과 사랑으로 한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internet]. 서울: 노년신문. 2018[cited 2018 February 07]. Available from: http://oldagenews.co.kr/news_view.jsp?pg=0&ncd=1018
- 통계청. 2019 국민의 삶의 질 지표[Internet]. 대전: 통계청 통계개발원. 2019 국민의 삶의 질 보고서. 발간등록번호: 11-1240245-000067-1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sri/srikor/srikor_pbl/6/3/index.board?bmode=read&aSeq=382522
- 보건복지부. 2018 자살사망자 전수조사 및 분석 중간보고회. 보도자료[Internet]. 세종: 자살예방정책과. 2018.12.21.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7090
- 국가통계포털, 주민등록인구현황-행정구역(읍면동)변/5세별 주민등록인구, 통계청,2019,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05N
- 박진경. 한국 노인의 허약 경험: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한국간호과학회지. 2017;47(4):562-574. https://doi.org/10.4040/jkan.2017.47.4.562
- 권상민.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2013;11(11):643-650.
- 이인숙, 이광옥. 포괄적 중재 프로그램이 취약계층 허약노인의 기능상태와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6;27(1);51-59.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1.51
- 2019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방문건강관리). 노인: 허약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및 연계. 한국건강증진개발원.[교육용 매뉴얼] 생애주기별(임산부신생아, 영유아, 허약노인) 교육책자, 허약노인 관리 교육 매뉴얼(소책자).
- 권상민, 박정숙. 허약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13;25(2):194-206. https://doi.org/10.7475/kjan.2013.25.2.194
- 구미옥, 은영, 김은심, 안황란, 권인수, 오현숙, 등. 노인 건강지도자 양성 전략을 적용한 경로당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 검증. 한국간호과학학회지. 2012;42(1):125-135. https://doi.org/10.4040/jkan.2012.42.1.125
- 보건복지부. 2019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방문건강관리). 노인 허약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및 연계. 방문건강관리. 건강면접조사표(만 65세 이상). 기초측정표; 2019. 94 p.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 황환식, 권인순, 박병주, 조비룡, 윤종률, 원장원. 한국형 노쇠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조사. 대한 노인병학회학술지. 2010;14(4):191-202.
- 강희경. 일부 농촌 지역 노인의 허약수준, 우울, 건강 관련 삶의 질. 한국농촌간호학회지. 2017;12(1):13-27.
- 박현석, 조주연, 등정영작, 이차임, 오정은, 홍성호. 노인환자에서 다양한 단축형 노인우울척도의 비교. 대한가정의학회. 2006;27:364-369.
- Sheikh, JI, Yesavage JA. A knowledge assessment test for geriatric psychiatry. Hosp Community Psychiatry 1985;36(11):1160-1166. https://doi.org/10.1176/ps.36.11.1160
-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aring for frail elderly people: Policies in evolution. Social Policy Studies. Paris: OECD. 1996;19:57-58.
-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너지와 다량 영양소. 2020. 274 p.
- 민춘기. 노인의 운동 프로그램이 건강 관련 체력에 미치는 효과. 체육과학연구지. 2003;21(1):95-104.
- 최종환, 김종성, 조경욱, 김태완, 김현주. 12주간의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과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평생체육연구소 논문집. 2000;12:27-36.
- 신주희, 박종성, 진영수, 김용권. 선무운동이 심신허약 노인의 신체기능과 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002;20(1):51-56.
- 이지현, 김상희. 전화코칭을 동반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이 방문건강관리 여성노인의 체력과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6;22(3):345-354.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3.345
- 권상민, 박정숙. 허약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13;25(2):194-206. https://doi.org/10.7475/kjan.2013.25.2.194
- Gin-Garriga M, Roqu-Fguls M, Coll-Planas L, Sitja-Rabert M, Salv A. Physical exercis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performance-based measures of physical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frail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14;95(4):753-769. https://doi.org/10.1016/j.apmr.2013.11.007
- 정순둘, 구미정. 우울 영향요인: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2011;52:305-324.
- Chen R, Wei L, Hu Z, Qin X, Copeland JR, Hemingway H. Depression in older people in rural China. Arch Intern Med. 2005;165(17):2019-2025. https://doi.org/10.1001/archinte.165.17.2019
- 김춘길. 운동 프로그램이 양로원 노인의 체력, 자기효능, 일상생활 활동 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논문집. 1995;48(4):1201-1214.
- 김이순, 정인숙, 정향미. 여성노인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과학회지. 2004;34(1):123-131. https://doi.org/10.4040/jkan.2004.34.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