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태토 성분조합을 통한 도자기용 흙의 물성조절 및 특성변화

Control of physical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soil through combination of ingredients of clay

  • 김두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이해순 (국립광주박물관) ;
  • 김지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한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Kim, Duhye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Lee, Haesoon (Gwangju National Museum) ;
  • Kim, Jihye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Han, Minsu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21.03.31
  • 심사 : 2021.04.29
  • 발행 : 2021.05.31

초록

본 연구는 매곡토의 기본적인 특성과 점토물질 첨가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도자기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흙에 대한 과학적 특성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매곡토는 자갈과 굵은모래, 가는모래가 전체의 73%를 차지하여 수비과정을 거쳐야 태토로 사용이 가능하였으며, 수비 후에는 세사와 점토가 전체의 95%로 증가하였으나 가소성과 점력이 부족하여 분청토를 추가하여야 했다. 매곡토와 분청토를 7:3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는 점력이 증가하고, 소성 후에도 적당한 도자기 태토의 조직 특성을 보였으며, 흡수율이 0.40으로 감소하여 태토로써의 기능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주변 흙으로 도자기를 제작하고자 할 때에는 수비와 같은 물리적 전처리를 거친 후 소성 시 기물로써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특정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점토 물질을 추가한다면, 본래 흙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basic properties of soil material gathered around Maegok-dong in Gwangju, Gyeonggi-do Province (hereafter, "Maegok soil") and the physicochemical changes in the Maegok soil resulting from the addition of other clay materials in order to present scientific information about the properties of clay available for pottery production. Gravel, coarse sand, and fine sand account for 73% of the total mass of the Maegok soil. Therefore, it required refinement through sifting in order to serve in pottery clay. After sifting, the amount of silt and clay in the soil increased to 95% of the total mass. However, since it lacked plasticity and viscosity, buncheong soil was added. When it was mixed with bungcheong soil at a ratio of 7:3, Maegok soil improved as pottery clay as its viscosity increased, demonstrating compositional properties appropriate for ceramic clay even after firing. Further, its water-absorption rate was decreased to 0.40. This means that soil gathered from anywhere can be used for pottery-making by refining its original properties and through mixture with clay with specific components which help the pottery maintain its shape even after firing.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국립광주박물관의 『도자기 속 과학: 우리 동네 흙 이야기』 전시를 위한 컨텐츠 제작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내용 일부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도자기를 제작하신 이정용 교수님께도 감사드린다.

참고문헌

  1. 임혜빈, 삼국시대 중국제 도자기 연구 : 계수호와 반구호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과 고고학전공, 석사학위논문, p1, (2018).
  2. 강경숙, 한국도자사, p12, 예경, 서울, (2012).
  3. 배윤호, 도자기 교본-이론과 실제, p23-25, 정음서원, 서울, (2019).
  4. 김계훈, 토양학, p14, 향문사, 서울, (2009).
  5. 문종수, 도자기공학1-기초편, p49, 두양사, 서울, (2011).
  6. 이병훈.소명기, 원주 귀래2리 가마터 출토 백자의 화학조성과 소성온도 연구, 보존과학회지 30, p249-261, (2014). https://doi.org/10.12654/JCS.2014.30.3.01
  7. 이병훈, 강원 영서지역 춘천 고성리 가마터 출토 백자 및 태토 원료의 상관관계 연구, 보존과학회지 36, p152-161, (2020). https://doi.org/10.12654/JCS.2020.36.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