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s in Latent Profile Analy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Loner Tendencies and Academic Burnout According to Gender, Ego-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중학생의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의 잠재 프로파일 분류: 성별, 자아탄력성, 학교적응 차이 분석

  • Nam, Suk Kyu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
  • Choi, Hyunju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Ulsan)
  • 남숙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 최현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Received : 2021.02.16
  • Accepted : 2021.04.22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files of loners and those likely to suffer academic burnou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files differed by gender, ego-resilience, ego-weakness, and school adapt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70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n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main profiles of students related to their likelihood of being loners and suffering academic burnout: the adaptive group, which had a low tendency towards both loneliness and academic burnout; the burnout group, which had a high tendency towards academic burnout but a low tendency towards loneliness; the lonely group, which had a high tendency towards loneliness but a low tendency towards academic burnout; and the loner-burnout group, which had high tendencies towards both loneliness and academic burnout. Cross-tabulation and one-way ANOVA analyses of the four groups showed that the loneliness-burnout group had a statistically lower level of ego-resilience, higher level of ego-weakness, and lower level of school adaptation than the other groups.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esen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중학생의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으로 구성되는 잠재프로파일을 규명하고 이러한 프로파일에 따라 성별, 자아탄력성(자아탄력 및 자아취약),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 중학생 3학년 2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의 잠재프로파일은 4개의 집단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이 모두 낮은 '적응 집단', 외톨이 성향은 낮으나 학업소진은 높은 '소진 집단', 외톨이 성향은 높으나 학업소진은 낮은 '외톨이 집단',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이 모두 높은 '외톨이-소진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4개 집단에 대해 교차 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톨이-소진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 자아탄력, 높은 자아취약, 낮은 학교적응 수준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 상담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형모, 황순택 (2001). CCQ 자아탄력척도와 자아통제척도의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2), 345-358.
  2. 김경애, 선혜연, 조은주, 임종헌, 양희준, 안해정, 한은정, 박철희, 이종아 (2017). 중학생의 성장과정 분석: 학교, 가정, 지역사회를 중심으로(II) (연구보고 PR 2017-14), 한국교육개발원.
  3. 김은정 (2001). 친구없는 청소년에 대한 평가: 외톨이 질문지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회지: 임상, 20(3), 535-549.
  4. 김민애, 이상민, 신효정, 박양민, 이자영 (2010).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과의 관계: 통제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1), 69-84.
  5. 김순복 (2010). 교우관계증진 집단상담이 외톨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심리행동연구, 3(2), 1-25.
  6. 김승희 (2013).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통제 유형에 따른 성격특성 및 안녕감의 차이.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영혜 (2009).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검증. 청소년학연구, 16(1), 25-42.
  8. 김정현, 마연연, 고민선 (2013). 중국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 양식이 학업소진 및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5(2), 129-146.
  9. 김홍희 한기순 (2015). 영재 청소년의 학업소진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탄력성의 매개 및 조절 효과. 영재교육연구, 25(3), p421-437. https://doi.org/10.9722/JGTE.2015.25.3.421
  10. 모상현, 김형주 (2014).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III: 2013 한국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조사. NYPI 청소년 통계 브리프, 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1. 문경숙 (2006).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 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27(5), 143-157.
  12. 박가화, 이지민 (2018). 과잉양육행동과 또래소외가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의 매개효과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6(2), 145-156. https://doi.org/10.6115/fer.2018.011
  13. 박선영, 김광웅 (2008). 아동의 외톨이 성향과 게임중독 위험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839-861.
  14. 박시연 (2016).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광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효정, 김보영, 이민영, 노현경, 김근화, 이상민 (2011). 중학생의 정신건강과 학업소진의 단기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8(2), 133-152. https://doi.org/10.16983/KJSP.2011.8.2.133
  16. 서미옥 (2018). 중고등학생의 학업소진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32(1), 53-78.
  17. 성진숙, 최현주 (2018). 교사소진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소진 간 관계에서 자아탼력성의 다층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5(1), 27-50.
  18. 손병덕 (2016).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애정과 또래소외경험, 종교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4), 131-148.
  19. 손정우 (2002). 외톨이 혹은 왕따 상태인 청소년 정신과 환자와 비외톨이 환자의 문제 행동 및 어머니의 양육 태도의 차이.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3(2), 177-188.
  20. 유지현 (2013).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27(3), 715-738.
  21. 유정이, 임지영 (2003). 외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특성 연구. 초등교육연구, 16(1), 365-378.
  22. 윤명숙, 손행숙 (2011). 청소년의 외톨이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정신보건사회 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41-164.
  23. 이규미 (2005).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383-398.
  24. 이규미, 구자경, 김은정, 이시형 (2001). 외톨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1), 147-162.
  25. 이명선 (201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일상에서 체험하는 외로움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질적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상민 (2012).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소진 진행과정 및 경로분석. 서울: 집문당.
  27. 이시형, 김은정, 김미영, 김진영 (2000). 외톨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부적응. 서울: 삼성생명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8. 이영복, 이상민, 이자영 (2009).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학연구, 15(3), 59-78.
  29. 이혜영, 손흥숙, 김일혁, 김미숙 (2012). 학생의 학교 부적응 진단과 대책(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0. 조주연, 김명소 (2013). 초등학생의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4), 477-497.
  31. 정문정, 이상민, 최현주 (2016).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4(1), 1-23
  32. 정선아, 이고운 (2016). 국내 아동청소년 자아 탄력성 중재의 효과 연구: 메타분석. 정신간호학회지, 25(3), 347-248.
  33. 정옥신, 이재용 (2017). 중학생의 또래관계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관계역동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상담학연구, 18(4), 317-341. https://doi.org/10.15703/KJC.18.4.201708.317
  34. 최 옥, 이우송 (2014). 청소년의 학업소진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2(9), 455-463. https://doi.org/10.14400/JDC.2014.12.9.455
  35. 최외선, 장영숙 (2000). 초등학생의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KFD에 의한 가족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6(1), 147-173.
  36. 최창용, 이주연, 신유미 (2015). 중학생의 또래 소외감과 이원적 자기존중감 간의 상호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6(3), 247-276.
  37. 한국심리학회[웹사이트] (2016. 12.). URL: http://www.koreanpsychology.or.kr/aboutkpa/article.asp?page=4
  38. Akaike, H. (1987). Factor analysis and AIC. Psychometrika, 52, 317-332. https://doi.org/10.1007/BF02294359
  39. Al Khatib, S. (2012).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lonelines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gender in United Arab Emirates college students. Europe's Journal of Psychology, 8(1), 159-181.
  40. Batigun, A. D. (2005). Suicide Probability: An Assessment Terms of Reasons for Living, Hopelessness and Loneliness. Turkish Journal of Psychiatry, 16(1), 29-39.
  41. Benner, A. D. (2011). Latino adolescents' loneliness,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buffering nature of friendship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0(5), 556-567. https://doi.org/10.1007/s10964-010-9561-2
  42. Berndt, T. J., & Keefe, J. (1995). Friends' influence on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Child Development, 66(5), 1312-1329.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5.tb00937.x
  43. Block, J. H., & Block, H.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Ed.),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4, 39-101. Hillsdale, NJ: Erlbaum.
  44. Dodeen, H., & Hassan, A. (2019). Assessing Loneliness in UAE Populations: the Relationship with Age, Gender, Marital Status, and Academic Performance.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Dec. 02. https://doi.org/10.1007/s11482-019-09783-4
  45.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 3(1), 159-165.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46. Kiuru, N., Aunola, K., Nurmi, J.-E., Leskinen, E., & Salmela-Aro, K. (2008). Expanding education and improving odds?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in Finland in the 1980s and 1990s". Act a Sosiologica, 44(1), 71-181.
  47. Knox, D. K., Vail-Smith, K., & Zusman, M. (2007). The lonely college male. International Journal of Men's Health, 6(3), 273-279. https://doi.org/10.3149/jmh.0603.273
  48. Lee, J. H., Nam, S. K., Kim, A. R., Kim, B. R., Lee, M. Y., & Lee, S. M. (2013). Resilience: a meta-analytic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91, 269-279. https://doi.org/10.1002/j.1556-6676.2013.00095.x
  49. Lin, S-H., & Huang, Y-C. (2012).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loneliness and learning burnout. Ac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13(3), 231-243. https://doi.org/10.1177/1469787412452983
  50. Lo, Y., Mendell, N., & Rubin, D. (2001).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8, 767-778.
  51. Mahon, N. E., Yarcheski, A., Yarcheski, T. J., Cannella, B. L., & Hanks, M. M. (2006). A meta-analytic study of predictors for loneliness during adolescence. Nursing Research, 55, 308-315. https://doi.org/10.1097/00006199-200609000-00003
  52. McCrae, J. S., Champman, M. V., & Christ, S. L. (2006) Profile of children investigated for sexual abuse: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symptoms and service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6(4), 468-481. https://doi.org/10.1037/0002-9432.76.4.468
  53. McLachlan, G., & Peel, D. (2000). Finite mixture models. New York: John Wiley.
  54. Meier, S. F., & Schmeck, R. R. (1985). The burnout collage student: A descriptive profile. Journal of Collage Student Personnel, 26(1), 63-69.
  55. Muthen, B. O. (2004). Latent variable analysis. In D. Kaplan (Ed.),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 (pp. 345-368). Thousand Oaks, CA: Sage.
  56. Muthen, L. K., & Muthen, B. O. (2006). Mplus, Los Angeles, CA: Muthen, & Muthen.
  57. Schaufeli, W. B., Martinez, I., Marques-Pinto, A., Salanova, M., & Baker, A. B., (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 A cross 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 https://doi.org/10.1177/0022022102033005003
  58. Schwarz, G (1978).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6(2), 461-464. https://doi.org/10.1214/aos/1176344136
  59. Sclove, S. L., (1987). Application of model-selection 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 analysis. Psychometrika 52(3), 333-343 https://doi.org/10.1007/BF02294360
  60. Simon-Morton, B., G., & Crump, A., D. (2003). Association of parental involvement and social competence with school adjustment and engagement among six graders. Journal of School Health, 73(3), 121-126.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3.tb03586.x
  61. Stoliker, B. E., & Lafreniere, K. D. (2015). The influence of perceived stress, loneliness, and learning burnout on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 College students Journal, 49(1), 146-160.
  62. Thomopoulou, I., Thomopoulou, D., & Koutsouki, D. (2010). The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nd loneliness between elderly people. Biology of Exercise, 6(2), 13-28. https://doi.org/10.4127/jbe.2010.0037
  63. von Eye A, Bergman LR (2003). Research strategies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imensional identity and the person-oriented approach.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5, 553-580. https://doi.org/10.1017/s0954579403000294
  64. Wiseman, H., Guttfreund, D. G., & Lurie, I. (1995). Gender differences in loneliness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seeking counselling.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23(2), 231-243. https://doi.org/10.1080/03069889508253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