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Role Conflicts o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Job Crafting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정체성 혼란과 역할갈등이 소진 및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의미창조의 조절된 매개효과

  • Received : 2021.05.10
  • Accepted : 2021.08.11
  • Published : 2021.08.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 relationships between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burnout and between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job satisfaction are mediated by role conflict and whether job crafting moderates the medi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role conflict and burnout and betwee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 total of 150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ompleted a survey about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role conflict,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job crafting.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burnou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and that role conflict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burnout and between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se relationshi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paper discusses this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정체성 혼란이 소진 및 직무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았다.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정체성 혼란이 소진 및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설명하는 매개변인으로 역할갈등을,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직무의미창조를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전문상담교사 총 150명의 응답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역할정체성 혼란은 역할갈등 및 소진과 정적 상관, 직무 만족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할갈등이 역할정체성 혼란과 소진 및 직무 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역할정체성 혼란이 소진 및 직무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역할갈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변인들의 경로에서 직무의미창조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의 함의와 연구의 한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나율, 김민영, 박성민 (2019). 공무원의 직업 가치인식이 잡 크래프팅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29(1), 197-234.
  2. 강진령, 손현동, 조은문 (2005). 중학교 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요구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3(2), 61-74.
  3. 권순보, 유지은 (2019). Elastic Net을 통한 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변수 탐색. 열린교육연구, 27(3), 1-23.
  4. 금명자 (2007).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기대와 예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843-861.
  5. 금명자, 정경미, 이미숙 (2009). 전문상담교사의 상담활동과 직무 만족도. 중등교육연구, 57(3), 113-132.
  6. 김명소, 이민주 (2017). 상사에 대한 정서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의미창조(Job Crafting)의 조절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9), 167-176. https://doi.org/10.5762/KAIS.2017.18.9.167
  7. 김문숙, 김예실, 이순묵 (2014). 정서노동과 직무관련 변수들 간 관계: 메타분석(MetaAnalysis).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4), 683-720. https://doi.org/10.24230/KSIOP.27.4.201411.683
  8. 김민지, 박용호 (2019). 잡크래프팅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1), 234-246. https://doi.org/10.5392/JKCA.2019.19.11.234
  9. 김성아 (2009).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직무 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0. 김소라 (2019).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서비스지향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11. 김승아 (2016). 상담자 소진과 개인 및 환경변인간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보호 및 위험변인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신혜 (2019). 유아교사의 성인애착 및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아람 (2015).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역전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및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4. 김유경, 이혜진, 박형인 (2018). 직장인의 역할 과부하와 직무열의의 관계: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와 잡 크래프팅과 결혼 여부 및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1(1), 249-279. https://doi.org/10.24230/KSIOP.31.1.201802.249
  15. 김정숙, 유금란 (2010).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53-69. https://doi.org/10.24230/KSIOP.22.1.200902.53
  16. 김준환, 이 항 (2017). 영업사원의 잡크래프팅과 적응적 판매행동이 직무만족 및 영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31(2), 135-158. https://doi.org/10.34274/KRABE.2017.31.2.006
  17. 김지연, 김동일 (2015).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적응과정 연구. 상담학연구, 16(1), 73-93.
  18. 김지정, 이영순 (2014), 전문상담교사의 적응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223-246.
  19. 남현주, 이현지 (2016). 시설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슈퍼비전, 소진과의 관계: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1(3), 9-28.
  20. 박근영, 임은미 (2014). 전문상담교사의 소진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중등교육연구, 62(1), 171-198.
  21. 박승하, 김효미, 윤지인 (2014). 학생-운동선수 역할 정체성 혼란, 사회적지지 및 대처행동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3(1), 795-806.
  22. 박세영 (1993). 종업원의 분배원칙 선호와 직무만족.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6, 55-91.
  23. 박종우 (1994).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서아림, 정예슬, 손영우 (2018). 잡크래프팅과 과업정체성이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1(1), 149-173.
  25. 안수경 (2003).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재교육 및 소진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 사회복지관의 근무자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안혜정, 이승연 (2020). 유치원 교사의 잡 크래프팅과 조직풍토, 수업 자율성 및 교수 몰입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7(3), 285-312. https://doi.org/10.24211/TJKTE.2020.37.3.285
  27. 연문희, 강진령 (2002). 학교상담: 21세기의 학생생활지도. 서울: 양서원.
  28. 유성경 (2002). 상담환경의 위험요소,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389-400.
  29. 유태용, 이채령 (2016). 성격이 과업수행과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직무가공(job crafting)의 매개효과와 리더 임파워링 행동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9(4), 607-634 https://doi.org/10.24230/KSIOP.29.4.201611.607
  30. 윤수진 (2018). 직무의미창조 척도의 타당도 비교연구: JCQ-K와 JCS-K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1. 윤은주 (9009). 상담자의 소진(burnout)에 대한 체험분석. 상담학연구, 10(4), 1855-1871.
  32. 이영만 (2016). 교사의 심리적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교사교육연구 55(4), 441-459.
  33. 이정훈 (2017). 학교상담자의 역할 갈등이 역량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종한 (2019). 전문상담교사: 과거, 현재, 그래고 미래.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10-110.
  35. 이지원, 오인수 (2016).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17(4), 351-372.
  36. 이항 (2016). IT기업 종사자의 감성지능과 잡 크래프팅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17(5), 117-135.
  37. 이현림, 윤경원 (2004). 산업체 상담원의 역할 갈등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309-325.
  38. 이현아, 이기학 (2009).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 만족도,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83-102. https://doi.org/10.16983/KJSP.2009.6.1.83
  39. 임신일 (2019). 전문상담교사의 소진관련 요인 메타연구. 교육종합연구, 17(1), 117-139.
  40. 장서영, 장원섭 (2008). 대졸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Andragogy Today, 11(3), 105-138. https://doi.org/10.22955/ACE.11.3.200808.105
  41. 정은미 (2017).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정진철, 양난미 (2018).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대한 개관연구. 상담학연구, 19(4), 47-70. https://doi.org/10.15703/KJC.19.4.201808.47
  43. 조주연, 김명소 (2014). 직무의미창조(Job Crafting)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4. 차명진, 제석봉 (2009). 노인생활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직무 및 조직특성과 직무 만족도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29(2), 669-682.
  45. 차시연, 김윤희 (2018). 학교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 관계에서 자기연민과 회복탄력성의 이중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5(2), 265-286. https://doi.org/10.16983/KJSP.2018.15.2.265
  46. 차진훈 (2016). 학교교사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채병영 (2005). 고등학교 교사의 역할갈등, 학교 조직풍토, 자아효능감과 직무 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채현순, 장유진 (2016).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3(4), 167-192.
  49. 최외선 (2003). 정신지체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0. 황경열, 소혜정 (2006). 재활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47(1), 107-124.
  51. 황문영, 김병직 (2021). 직무과부하가 번아웃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갈등의 매개효과와 잡크래프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리뷰, 12(2), 301-319.
  52.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Thousand Oaks, CA: Sage.
  53. Berg, J. M., Dutton, J. E., & Wrzesniewski, A. (2008). What is job crafting and why does it matter.? Retrieved from the website of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on October, 25, 2020.
  54. Bond, F. W., Flaxman, P. E., & Bunce, D. (2008).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on work redesign: Mediated moderation of a work reorganization interven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 645-654. https://doi.org/10.1037/0021-9010.93.3.645
  55. Boswell, W. R., Olson-Buchanan, J. B., LePine, M. A. (2004).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work outcomes: The role of felt challenge, job control, and psychological strai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4(1), 165-181. https://doi.org/10.1016/S0001-8791(03)00049-6
  56. Burke, P. J. (1991). Identity Process and Social Stress, American Socialogical Review, 56(6), 836-849. https://doi.org/10.2307/2096259
  57. Burke, P. J., T. J. Owens, R. T. Serpe., & P. A. Thoits (2003), Advances in identity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NY: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58. Butler, S. K., & Constantine, M. G. (2005). Collective self-esteem and burnout i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9, 55-62. https://doi.org/10.5330/prsc.9.1.17n4415l163720u5
  59. Champoux, J. E., & Peters, W. S. (1987). Form, effect size and power in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0, 243-255. https://doi.org/10.1111/j.2044-8325.1987.tb00257.x
  60. Cervoni, A., & DeLucia-Waack, J. (2011). Role conflict and ambiguity as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in high school counselors. Journal of School Counseling, 9(1), 30-60.
  61. Corey, M. S., & Corey, G. (2002). Becoming a helper. Pacific Grove, CA: Brooks/Cole
  62.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63. Erikson, E. H. (1956). The problem of ego identity. JAPA. 4, 56-121.
  64. Eric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s.) NY: Norton.
  65. Fye, J. (2016). The impact of implementing the American School Counselor Association(ASCA) National Model and related factors on school counselors' level of burnout. Doctoral dissertation, Kent State University.
  66. Garcia Vargas J. F.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burnou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job involvement and growth need strength.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67. George, J. M. (1991). State or trait: Effects of positive mood on prosocial behaviors at wor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299-307. https://doi.org/10.1037/0021-9010.76.2.299
  68.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69. Heuvel, M., Demerouti, E., & Peeters, M. C. (2015). The job crafting intervention: effects on jb resources, self efficacy, and affective well being.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8(3), 511-532. https://doi.org/10.1111/joop.12128
  70. Hobfoll, S. E. (1989). Conservation of resources: A new attempt at conceptualizing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4(3), 513-524. https://doi.org/10.1037/0003-066X.44.3.513
  71. Jun, J. H., & Kyle, H. T. (2011). The effect of identity conflict/facilitation on the experience of constraints to leisure and constraint negoti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3(2), 176-204. https://doi.org/10.1080/00222216.2011.11950232
  72. Lee, S. M., Baker, C. R., Cho, S. H., Heckathorn, D. E., Holland, M. W., Newgent, R. A., Ogle, N. T., Powell, M. L., Quinn, J. J. & Wallace, S. L. (2007). Development and initial psychometrics of the counselor bornout inventor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0(3), 142-154. https://doi.org/10.1080/07481756.2007.11909811
  73.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74. Maslach, C. (1982). Burnout: The cost of caring. New York: Prentice Hall.
  75. Pareek, U. (1994). Making organizational roles effective. New Delhi: Tata McGraw Hill.
  76. Rizzo, J. R., House, R. J., & Lirtzman, S. I. (1970).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5, 150-163. https://doi.org/10.2307/2391486
  77. Scarpello, V., & Campbell, J. P. (1983). Job satisfaction: Are all the parts here? Personnel Psychology, 36, 577-600.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3.tb02236.x
  78. Sluss, D. M. & B. E. Ashforth (2007), Relational identity and identification: Defining ourselves through work relationship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2(1), 9-32. https://doi.org/10.5465/AMR.2007.23463672
  79. Stryker, S., & Burke, P. J. (2000),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n Identity Theory,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3(4), 284-297. https://doi.org/10.2307/2695840
  80. Tims, M., & Bakker, A. B. (2010). Job crafting: Towards a new model of individual job redesign. South Africa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36, 1-9.
  81. Tims, M., Bakker, A. B., & Derks, D.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crafting scal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1), 173-186. https://doi.org/10.1016/j.jvb.2011.05.009
  82. Tompson, H. B., & Werner, J. M. (1997). The impact of role conflict/facilitaion on core and discretionary behaviors: Testing a mediated model. Journal of Management, 23(4), 583-601. https://doi.org/10.1016/S0149-2063(97)90049-0
  83. Weiss, D. J., Dawis, R. V., England, G. W., & Lofquist, L. H. (1967). Manual for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inneapolis Industrial Center, Univ. of Minnesota.
  84. Wilkerson, K., & Bellini, J. (2006). Intra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Among School counselor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4, 440-450. https://doi.org/10.1002/j.1556-6678.2006.tb00428.x
  85. Wrzesniewski, A., & Dutton, J. E. (2001).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2), 179-201. https://doi.org/10.2307/259118
  86. Yu, K. (2007). Development of a culturally valid counselor burnout inventory in Korean counsel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