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e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과의존을 통한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Kim, Ji Yeon (A research institute for mental growth of youth) ;
  • Kim, Hyun Ha (YangJu Metropolitan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for Youth)
  • 김지연 (청소년마음성장연구소) ;
  • 김현하 (양주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Received : 2021.06.14
  • Accepted : 2021.07.30
  • Published : 2021.08.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e o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Surveys were conducted as part of the 13th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survey included academic stress, internet overdependence, depression and anxiety, and self-esteem scales. A total of 383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surveys.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There were three major results. First, internet overdependence partially mediatio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self-estee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self-esteem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esteem i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internet overdependence on mental health and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this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와 우울·불안의 관계를 인터넷 과의존이 매개하여 중학생의 우울·불안을 자존감이 조절하는지에 대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스트레스 척도, 인터넷 과의존 척도, 우울·불안 척도, 자존감 척도를 이용하여 2019년 공개된 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아동데이터 383명 자료(중학교 1학년 114명, 2학년 138명, 3학년 131명)에 대해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모델1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터넷 과의존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터넷 과의존이 이를 매개하며,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를 자존감이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인터넷에 과의존을 하게 되며, 우울·불안이 증가하여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자존감이 보호요인으로 중요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기, 한상훈, 박명신 (2013). 고등학생의 분노가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력: 자아 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34(1), 91-114.
  2. 강소희 (2013).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부적정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은영, 김은향 (2017). 불안과 우울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5), 419-429. https://doi.org/10.14400/JDC.2017.15.5.419
  4. 권석만. (1996). 우울과 불안의 관계: 유발 생활사 과 인지내용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심리과학, 5(1), 13-38.
  5. 권순영 (2015). 중학생의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이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금창민 (2013).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정신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대명, 조준수 (2015).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관계에서 불안과 우울의 매개 효과. 교육종합연구, 13(2), 151-169.
  8. 김도희, 박영준, 장재원 (2017).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아존중감, 부모지지, 친구지지의 매개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37, 67-89.
  9. 김민정 (2016). 자존감 2요인 모델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3), 411-434.
  10. 김빛나, 박주희 (2013).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반응양식의 조절효과. 아동학회지, 34(3), 113-128. https://doi.org/10.5723/KJCS.2013.34.3.113
  11. 김아영, 도승이, 신태섭, 이우걸, 이은주, 장형심 (2018). 동기와 정서의 이해 제 6판. 서울: 박학사.
  12. 김정희 (2017). 스마트폰, 인터넷, 게임 중독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및 인간관계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지연 (2021). 대학생의 외상 후 스트레스-성장 모형검증: 인지와 정서대처 과정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지연, 최승미 (2019).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불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6(3), 361-380. https://doi.org/10.16983/KJSP.2019.16.3.361
  15. 김지연, 최승미 (2021). 한국판 온라인 사회적 지지 척도(K-OSSS)의 타당화 연구. 청소년학연구, 28(4), 1-34.
  16. 김진아 (2015).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 상담학연구, 16(3), 359-377.
  17. 김현순 (201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1(3), 409-437.
  18. 민동욱 (2019).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의사소통의 조절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경원, 김경신 (2015).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성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1), 51-74.
  20. 박영남 (2003). 우울장애와 불안장애의 공유특성. 생물치료정신의학, 9(1), 118-128.
  21. 박재홍, 김성환 (2011). 청소년기 뇌발달과 인지, 행동특성. 생물치료정신의학, 17(1), 11-20.
  22. 박지선 (2014). 발달적 관점에서 본 아동.청소년의 정서조절.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1-21. https://doi.org/10.18205/KPA.2014.19.1.001
  23. 박진자 (2002). 청소년의 정서 및 행동 문제에 대한 K-CBCL과 K-YSR 실시결과의 비교 연구- 제주도내 청소년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서보준 (201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과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 Crisisonomy, 14(6), 77-90.
  25. 소수연, 주지선, 조은희, 손영민, 백정원 (2020). 고위기 청소년 정신건강 상담개입 매뉴얼 개발: 불안우울. 부산: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6. 신성철, 송희원 (2019).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공격성, 충동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아동교육, 28(4), 231-245.
  27. 여성가족부 (2021). 2021 청소년 통계.
  28.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 (1998).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29. 오동균, 권순용 (2019). 청소년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 불안, 충동성, 우울, 자살 생각의 인과적 관계. 미래청소년학회지, 16(4), 29-45.
  30. 오미숙, 심우찬 (2014). 학업스트레스가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9, 237-261.
  31. 오미향, 천성문 (199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인간이해, 15, 63-95.
  32. 오윤선 (2008).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이 우울, 공격성,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6(4), 3-15.
  33. 원경림, 이희종 (2019). 청소년기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끼치는 영향에서 학교유대감, 우울.불안의 매개효과: 교사유대감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6(9), 79-104.
  34. 윤명숙, 조혜정, 이희정, (2009).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과 음주행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5(4), 347-370.
  35. 윤신예, 채규만 (2016).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12), 1-24.
  36. 이봉주, 손선옥, 김윤지 (2015). 아동청소년 학교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학교사회복지, 31, 37-58.
  37. 이상주, 배경희 (2004). 인터넷 과잉이용 학생과 보통이용 학생간의 자존감, 공격성, 우울비교. 청소년학연구, 11(3), 299-319.
  38. 이상준 (2017).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 33(4), 75-95.
  39. 이상준 (2018).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정신 건강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20(3), 47-67.
  40. 이순희, 허만세 (2014). 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학교사회복지, 27, 253-274.
  41. 이종춘, 신성철 (2012). 중학생의 인테넛 중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청소년보호지도연구, 18, 33-54.
  42. 이지혜 (2003). 중학생의 인터넷중독, 우울과 자기통제력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향종 (2017).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295-314.
  44. 장영수 (2010). 마음챙김에 기초한 스트레스감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우울, 불안에 미치는 효과. 동서정신과학, 13(2), 21-32.
  45. 전혜숙, 전종설 (2019). 청소년 친구 및 학교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21(1), 1-28.
  46. 전호선, 장승옥 (2014)..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8), 103-129.
  4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9). 2018 한국미래패널조사
  48. 정옥분 (2013). 발달심리학 전생에 인간발달. 서울: 학지사.
  49. 중앙일보 (2016.11.04). 중고생 81% "학업스트레스 받아"...'성적'이유가 1위. https://news.joins.com/article/20822313
  50. 최봉암 (2015). 여자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 33(3), 393-416.
  51. 통계청 (2019).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
  52. 통계청 (2021). 2021 청소년 통계.
  53. 하은혜, 이수정, 오경자, 홍강의 (1998). 문제행동에 대한 청소년 자신과 부모 평가간의 관계: K-CBCL과 YSR의 하위요인 구조비교. 소아.청소년정신의학, 9(1), 3-12.
  5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한국복지패널조사 유저가이드.
  55. 한국인터넷진흥원 (2019). 2018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5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간략형 청소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설문지. www.iapc.or.kr/info/lib
  57. 한상규, 김동태 (2019).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중독원인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5), 287-296. https://doi.org/10.15207/JKCS.2019.10.5.287
  58. 허준경, 이기학 (2013).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수준과 공격성향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조절효과 검증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3), 429-448.
  59.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4-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60. Agnew, R. (1992). Foundation f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 Criminology, 30(1), 47-88. https://doi.org/10.1111/j.1745-9125.1992.tb01093.x
  61.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62. Alloy L. B., & Abramson L. Y. (1988). Depressive realism: Four theoretical perspectives. In Alloy L. (Ed.), Cognitive process in depression.(pp. 223-265). New York: Guilford Press.
  63.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64. Baker, R., Holloway, J., Thomas, P. W., Thomas, S., & Ownes, M. (2004). Emotional processing and panic. Behavior Research & Therapy, 42(11), 1271-1287. https://doi.org/10.1016/j.brat.2003.09.002
  6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66. Bivin, J. B., Mathew, P., Thulasi, P. C., & Philip, J. (2013). Nomophobia-do we really need to worry about? Reviews of Progress, 1, 1-5.
  67. Brown, J. D., & Marshall, M. A. (2001). Selfesteem and emotion: Some thoughts about feeling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 575-584. https://doi.org/10.1177/0146167201275006
  68. Cantwell & Baker (1991). Cantwell, D. P., & Baker, L. (1991). Manifestations of depressive affect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2), 121-133. https://doi.org/10.1007/BF01537604
  69. Casey, B. M. (2012). Linking Psychological Attributes to Smart Phone Addiction, Face-to-Face Communication, Present Absence and Social Capital. Masters Thesis,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Hong Kong, China.
  70. Crocker, J., Thompson, L. L., McGraw, K. M., & Ingerman, C. (1987). Downward comparisons, prejudice, and evaluation of others: Effects of self-esteem and threa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5), 907-916. https://doi.org/10.1037/0022-3514.52.5.907
  71. Davies, N. (2018). Nomophobia: The Modern-Day Pathology. Psychiatry Adivisor.
  72. Downey, G., & Coyne, J. C. (1990).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 an integr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08(1), 50-76. https://doi.org/10.1037/0033-2909.108.1.50
  73. Durak, M., Senol D. E., & Gencoz, T. (2010).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mong turkish university students, correctional officers, and elderly adul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99(3), 413-429. https://doi.org/10.1007/s11205-010-9589-4
  74. Ferdinand, R. F., & Verhulst, F, C. (2003). Psychopathology from adolescence into young adulthood: An 8-year follow-up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biatry. 152(11), 1586-1594..
  75. Forgays, D. K., Hyman, I., & Schreiber, J. (2014). Texting everywhere for everything: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cell phone etiquette and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1, 314-321. https://doi.org/10.1016/j.chb.2013.10.053
  76. Gogtay, N., Giedd, J. N., Lusk, L., Hayashi, K. M., Greenstein, D., Vaituzis, A. C., et al. (2004). Dynamic mapping of human cortical development during childhood through early adulthood. Proc Natl Acad Sci U S A, 101 (21), 8174-8179. https://doi.org/10.1073/pnas.0402680101
  77. Greenberg, J., et al. (1992). Why do people need self-esteem? Converging evidence that self-esteem serves an anxiety-buffering fun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6), 913-922. https://doi.org/10.1037/0022-3514.63.6.913
  78. Gul., G. (2018). NOMOPHOBIA AND MENTAL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Applied, Natural and Social Sciences (IMPACT: IJRANSS) 6(9), 1-8.
  79. Hala, S., Salwa, A., & Safa. A. (2020). Nomophobia among medical residents. Menoufia Medical Journal, 33(3), 1094-1100.
  80. Lee, S., Kim, M., Mendoza, J. S.. & McDonough, I. M. (2018). Addicted to cellphones: explor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between the nomophobia questionnaire and obsessiveness in college students. Heliyon, 4(11), 1-5.
  81. Marmorstein, N. R. & Shiner, R. L. (March, 1996). The family environments of depressed adolescents. Poster presented at the Society for Research on Adolescence Biennial Meeting in Boston.
  82.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Psychology, 52, 397-422.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2.1.397
  83. Nelson, E. E., Leibenluft, E., McClure, E. B., & Pine, D. S. (2005). The social re-orientation of adolescence: a neuroscience perspective on the process and its relation to psychopathology. Psychol Med, 35(2), 163-174. https://doi.org/10.1017/S0033291704003915
  84.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4), 717-731. https://doi.org/10.3758/BF03206553
  85. Preacher, K. J., Rucker, D. D., &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185-227. https://doi.org/10.1080/00273170701341316
  86. Pyszczynski, T., Greenberg, J., Solomon, S., Arndt, J., & Schimel, J. (2004). Why do people need selfesteem? A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30, 435-468. https://doi.org/10.1037/0033-2909.130.3.435
  87.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esteem.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88.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89. Rude, S. S., & McCarthy, C. T. (2003). Emotional functioning in depressed and depression-vulnerable college students. Cognition and Emotion, 17(5), 799-806. https://doi.org/10.1080/02699930302283
  90. Thomee, S., Harenstam, A., & Hagberg, M. (2011). Mobile phone use and stress, sleep disturbanc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11(1), 66. https://doi.org/10.1186/1471-2458-11-66
  91. Twenge, J. M. (2017). iGen: Why today's super-connected kids are growing up less rebellious, more tolerant, less happy and completely unprepared for adulthood and what that means for the rest of us. New York, NY, US: Atria Books.
  92. Vernberg, E. M. (1990).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experiences with peers during early adolescence: Reciprocal, incidental, or unidirectional relationship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8, 187-198. https://doi.org/10.1007/BF00910730
  93. Young, K. S. (1998).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1(3), 237-244. https://doi.org/10.1089/cpb.1998.1.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