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The purpose was to identify the ingredients that are usually surveyed for assessing real prices and to present the demand for such surveys by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for ingredients used by school foodservic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rom December 2019 to January 2020.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158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and 439 (37.9% return rate) of the 1,158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ingredients which were investigated for price realities directly by schools were industrial products in 228 schools (51.8%), fruits in 169 schools (38.4%), and specialty crops in 166 schools (37.7%). Moreover,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earched in different ways for the real prices of ingredi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re was a high demand for price information about grains, vegetables or root and tuber crops, special crops, fruits, eggs, fishes, and organic and locally grown ingredients by the School Foodservice Support Centers. Real price information about meats, industrial products, and pickled processed products were sought from the external specialized institutions. In addition,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anted to obtain prices of all of the ingredients from the Offices of Education or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Conclusions: Schools want to efficiently use the time or money spent on research for the real prices of ingredients through reputable organizations or to co-work with other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survey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al price information for ingredients used by the school foodservice.
본 연구는 현재 영양교사·영양사들의 식재료 가격 조사방법에 대한 실태 및 향후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모집단인 전국 11,818개교에서 비례층화 표본방법으로 약 10%의 학교를 추출하였다. 총 1,158개교에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중 회수된 439부(회수율 37.9%)는 SPSS(ver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현재 시장가격 조사 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식재료는 공산품(3.26점), 지역산 식재료(3.33점), 수산물(3.34점), 과일류(3.37점), 채소 및 서류(3.38점)로 나타났고, 이 중 공산품을 제외하고는 지역산 식재료를 포함하여 농산물로 대부분 구성되어있다. 식재료 시장가격 조사 시 공산품 7.94시간, 채소 및 서류 6.94시간, 친환경 식재료 6.25시간, 지역산 식재료 6.24시간, 과일류 6.16시간, 수산물 5.75시간 순으로 시간이 소요되며, 이는 식재료 시장가격 조사에 만족도가 낮은 식재료 종류와 중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학교에서 직접 가격 조사를 시행하는 빈도가 높은 식재료의 경우 공산품 227개교(52.9%), 과일류 168개교(38.5%), 특용작물 165개교(37.8%), 수산물 164개교(38.1%), 채소 및 서류 160개교(36.8%), 난류 144개교(33.3%), 절임가공품 150개교(37.9%)로 나타났다. 더불어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로 구분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는 식재료 시장가격 조사 방법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는 식량작물, 채소 및 서류, 친환경 식재료, 지역산 식재료의 경우 학교급식지원센터에서 구성한 TFT에서 조사한 자료 사용에 대해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중·고등학교의 경우 인근 학교와 공동조사하거나 학교에서 직접 조사하여 활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원하는 식재료 시장가격 조사 방법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의 경우 식량작물, 채소 및 서류, 특용작물, 과일류, 난류, 수산물, 친환경 식재료, 지역산 식재료의 경우 학교급식지원센터에서 구성한 TFT에서 조사한 자료 사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물, 공산품, 절임가공품은 교육청에서 외부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제공하는 조사자료 사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중·고등학교의 경우 모든 식재료 품목에서 교육(지원)청에서 구성한 TFT에서 조사한 자료 사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교에서는 직접 식재료 시장가격을 조사하기보다는 공신력 있는 외부 기관이나 같은 교육(지원)청 내의 영양교사·영양사와의 협력을 통해 식재료 시장가격 조사에 투입되는 시간이나 비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도 교육청이나 교육지원청에서 구성하여 일괄 조사하거나 공인된 자료를 바탕으로 식재료 시장가격을 조사 및 분석,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 등의 방법 개선이 필요하며, 각 지역의 학교급식지원센터와 같이 일괄적으로 식재료를 공급하는 곳에서 외부와 가격 비교가 어려운 식재료 품목만이라도 시장가격 공개 혹은 공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실제 학교급식에 납품되는 규격, 식재료 납품 단가 등에 대한 비교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친환경 및 지역산 식재료의 경우 가격에 대한 평가가 불가능한 상황임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시·도교육청에서 조사한 결과 혹은 학교급식지역센터에서 제공하는 가격정보를 바탕으로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향후에는 홈페이지를 통해 학교급식에서 사용하는 식재료의 품목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더불어 정보의 질 유지를 위하여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주관하여 운영하거나 위탁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학교급식 식재료 시장조사수집에 대한 현주소를 보여줄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물이 될 것이며, 향후 학교급식 식재료 가격 수집 및 공개방법에 대한 정책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work was supported by grants from Korea Educational Environments Protection Agency(2019 TR-18).
References
Gouk SY.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school foodservice ingredients [interne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2 [updated 2012 Jul 23; cited 2021 Apr 8]. Available from: https://bit.ly/3fSkMjz
Ministry of Education. 2019 Current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internet]. Ministry of Education; 2020 [updated 2020 Jul 8; cited 2021 Apr 8]. Available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6&lev=0&statusYN=W&s=moe&m=0302&opType=N&boardSeq=81172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7 Proposal for selection of research institute in charge of school foodservice safety management support project [internet].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7 [updated 2017 Jun 13; cited 2021 Apr 8]. Available from: https://bit.ly/2RjqVeA
Lee SH. Feasibility study on the price realities survey of food ingredients.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8 Jan. Report No. TR-2018-25.
Ryu K. Seafood ingredient pricing in school food-service in. Seoul School Health Promotion Center; 2010 [updated 2011 Aug 29; cited 2021 Apr 8]. Available from: https://www.schoolhealth.kr/web/bbs/selectBBSList.do?bbsTyCode=BBST01&bbsId=0201&lstnum1=1004&pageIndex=1&pageUnit=10&dataType=&searchCnd=&searchWrd=
Kim YD. An analysis on the appropriateness of market research price of ingredients of school food service: Focusing on the school food service in Seoul. J Eurasian Stud 2012; 9(3): 185-221.https://doi.org/10.31203/aepa.2012.9.3.010
Kim H. Price realities and their implication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or school food service: Focused on the Chungnam-Do case. Korean J Org Agric 2020; 28(4): 491-504.
Lee JH, Kim BR, Joo NM. Efficiency of purchase management as determined by the adoption of school meal service support center in Gyeonggi area. J Korean Diet Assoc 2020; 26(3): 196-207.https://doi.org/10.14373/JKDA.2020.26.3.196
Lee JS. Study on status and satisfaction of purchasing foodstuff for school meals in Kangwon area [master's thesis]. Kangwon University; 2008.
Kim YH. Survey on the purchase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ingredients in Jeonbuk area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09.
Cha MH, Seo SR, Moon MJ, Yang JH, Sung BM, Jung HS et al. School dieticians' perception of seafood ingredient pricing in school food-service in Seou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43(11): 1766-1773.https://doi.org/10.3746/JKFN.2014.43.11.1766
Cho HY, Kwon SY, Lee YM, Yoon JH. School dietitians' satisfaction with and needs for school meal service support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2): 194-204.https://doi.org/10.5720/kjcn.2012.17.2.194
Jeong MH, Chae IS. A survey of eco-foodservic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Jeju. J Nutr Health 2015; 48(1): 105-112.https://doi.org/10.4163/jnh.2015.48.1.105
Park YM, Cha JA, Ham SO. Effect of nutrition teachers' work load and job tention on job satisfaction. J Korean Diet Assoc 2017; 23(3): 300-315.https://doi.org/10.14373/JKDA.2017.23.3.300
Kim KA, Kwak TK, Lee KE. Food purchasing and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in school food service. J Korea Diet Assoc 2006; 12(4): 329-341.
Hwang YJ, Gouk SY. A study on improving the school foodservice system [Interne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1 [updated 2011 Nov 30; cited 2021 Apr 8]. Available from: https://www.krei.re.kr/krei/researchReportView.do?key=67&pageType=010101&biblioId=383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