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성호, 최옥금. (2010). 기초노령연금의 탈빈곤 효과 및 계층별 소득보장효과 분석. 한국사회정책, 17(2), 43-71.
- 고민석, 서인균. (2011). 노인의 건강상태가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한보건연구, 37(1), 1-14. https://doi.org/10.22900/KPHR.2011.37.1.001
- 금종예, 금현섭. (2018). 공적이전소득에 따른 사적이전소득의 변화: 기초노령연금 및 기초연금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2(4), 25-53.
- 김수린, 주경희, 정순둘. (2018). 소득이 고령층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65(2018.6), 103-136.
- 김재호, 정주연. (2012). 기초노령연금 도입에 따른 소득불평등과 양극화 변화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1(1), 421-446.
- 김주희, 유정원, 송인한. (2015).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보건사회연구, 35(3), 42-70. doi.org/10.15709/hswr.2015.35.3.42
- 김태완, 이주미, 정진욱. (2015). 노인의 빈곤과 우울에 관한 연구: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적용하여. 보건사회연구, 35(3), 71-102. doi.org/10.15709/hswr.2015.35.3.71
- 김혜연. (2020). 기초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40(1), 1-21. doi.org/10.31888/JKGS.2020.40.1.1
- 김혜연. (2017). 기초연금 도입이 성별 빈곤 및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 비판사회정책, 54, 120-159.
- 남기민, 박현주. (2010).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9, 405-428.
- 박소영. (2018). 노인의 건강특성과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 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8(1), 154-190. doi.org/10.15709/hswr.2018.38.1.154
-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 (2019). 2019 자살예방백서. 중앙자살예방센터.
- 서경현, 김영숙. (2003).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심리학회지, 9(1), 115-135.
- 석상훈. (2010). 기초노령연금의 노인빈곤감소 효과 분석. 노인복지연구, 50, 335-352.
- 석재은, 신동균, 이기주. (2015). 기초연금 도임의 정책효과와 젠더불평등 개선. 페미니즘 연구, 15(2):205-236.
- 성준모. (2010). 소득수준별 가구 경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 62(1), 109-132.
- 신종각, 안준기, 김경희, 김은영, 권윤섭. (2017). 2016 고령화연구패널(KLoSA) 기초분석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 심문숙. (2007). 저소득 독거노인의 생활경험.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1(2), 171-181.
- 여유진. (2020). 물질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생애주기별.박탈영역별 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0(2), 60-84. doi.org/10.15709/hswr.2020.40.2.60
- 오진주, 고현민, 김선희, 장경, 김영선. (2016). 노년기 우울변화의 영향요인: 한국고령화 연구패널을 이용하여. 대한보건연구, 42(2), 1-15. https://doi.org/10.22900/KPHR.2016.42.2.001
- 윤석명. (2019). 2018년 정부 노후소득보장 강화방안 평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보건복지포럼, 268, 56-70.
- 이정화, 문상호. (2014). 기초연금이 고령자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PSM) 이중차이(DID)를 활용한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3(3), 411-449.
- 이주현, 이대웅, 권기헌. (2018). 기초연금제도의 정책효과분석: 가구균등화 소비지출 및 소득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8(3), 75-105. https://doi.org/10.23036/KAPAE.2018.28.3.004
- 이채정, 탁현우. (2018). 기초연금 도입이 노인가구의 빈곤격차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2(2), 25-52. doi.org/10.31553/kpsr.2018.06.22.2.25
- 이혜자, 성명옥, 신윤아. (2003). 대도시 여성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인구학적 관련변인: 심리적 복지감과 우울감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3, 127-150.
- 이현주. (2013).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 연령집단별 차이와 위험요인. 노인복지연구, 61, 291-318.
- 임완섭. (2016). 기초연금의 빈곤 감소효과 분석. 보건복지포럼, 236, 82-97.
- 장현주. (2013). 기초노령연금의 노인빈곤 감소효과: LIS 소득원천별 노인빈곤 비교. 현대사회와 행정, 23(2), 121-146.
-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오미애, 강은나, 김경래, 황남희, 김세진, 이선희, 이석구, 홍송이. (2017). 2017년도 노인실태 조사 정책보고서.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정은희. (2018). 한국사회 우울과 소득의 종단적 상호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6(2), 150-178. doi.org/10.24301/MHSW.2018.06.46.2.150
- 진정란, 김원섭. (2018). 기초연금이 노인세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금연구, 8(2), 1-27.
- 최영. (2005).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건강상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9, 123-149.
- 통계청. (2020). 2020 고령자 통계. 통계청.
- 한혜경, 이유리. (2009).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29(30), 805-822.
- 황인욱, 이태진. (2020). 기초연금 인상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40(3), 178-215. doi.org/10.15709/hswr.2020.40.3.178
- 기초연금 홈페이지, http://basicpension.mohw.go.kr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
- Cole, M. G., & Dendukuri, N. (2003).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mong elderly community subjec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tsi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0(6), 1147-1156. doi.org/10.1176/appi.ajp.160.6.1147
- Easterlin, R. A. (1974). Does economic growth improve the human lot? Some Emperical Evidence. In P.A. David & M. W. Reder (Eds.).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pp. 89-125). New York: Academic Press.
- Easterlin, R. A. (2001). Income and happiness: Toward a unified theory. The Economic Journal, 111(473), 465-484. doi.org/10.1111/1468-0297.00646
- Faris, R. E. L., & Dunham, W. W. (1939). Mental disorders in urban area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Geerlings, S. W., Beekman, A. T. F., Deeg, D. J. H., & van Tilburg, W. (2000). Physical health and the onset and persistence of depression in older adults: An eight-wave prospective community-based study. Psyhological Medicine, 30, 369-380. doi.org/10.1017/S0033291799001890
- Hudson, C. G. (2005). Socioeconomic status and mental illness: Tests of the social causation and selection hypothese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5(1), 3-18. doi.org/10.1037/0002-9432.75.1.3
- Mckenzie, S. K., Gunasekara, F. I., Richardson, K. & Carter, K. (2014). Do changes in socioeconomic factors lead to changes in mental health? Findings from three waves of a population based panel stud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8(3), 253-260. doi.org/10.1136/jech2013-203013
- OECD. (2019). Pensions at a glance 2019: OECD and G20 indicators. Paris: OECD Publishing. https://www.oecd.org/publications/oecd-pensions-at-a-glance-19991363.htm
- Phifer, J. F., & Murrell, S. A. (1986). Etiologic factors in the onset of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3), 282-291. doi.org/10.1037/0021-843X.95.3.282
- Prince, M. J., Harwood, R. H., Thomas, A., & Mann, A. H. (1998).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the effects of disablement band social millieu on the onset and maintenance of late-life depression: The Gospel Oak Project VII. Psychological Medicine, 30, 369-380. doi.org/10.1017/S0033291797006478
- Veenhoven, R. (1988). The unity of happiness.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 333-354. https://doi.org/10.1007/BF00302332
-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1-34. https://doi.org/10.1007/BF00292648
- Zimmerman, F. J. & Bell, J. F. (2006). Income inequality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Testing associations consistent with proposed causal pathway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0(6), 513-521. doi.org/10.1136/jech.2005.040154
- Zunzunegui, M. V., Minicuci, N., Blumstein, T., Noale, M., Deeg, D., Jylha, M., Pedersen, N. L., for the CLESA Working Group. (2007).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A cross-national comparison-The CLESA project.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nology, 42, 198-207. doi.org/10.1007/s00127-00701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