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Basic Pension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Living Alone and Couple Households

기초연금 시행이 노인의 우울에 미친 영향: 남녀 독거 가구 및 부부가구 비교

  • Received : 2020.12.24
  • Accepted : 2021.01.12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increased Basic Pension amount in 2014 affect the level of depression of recipients and whether the effect differs according to three groups by household type(living-alone male, living-alone female, and couple households). Data from two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in 2012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Basic Pension) and 2016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Basic Pension), the elderly aged 65 years or older as of 2012 and the recipients of the basic pension in 2016 (N=2,277)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5, mean comparis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in female elderly living alone and married couple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Basic Pensi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level of depression in male elderly living alone. As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n the whole sample, the increased Basic Pension amount had an effect on the depression level of recipients in 2016, the higher the Basic Pension increase,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Also, the regression analyses among the three groups by household type found that the significant effect of raising the basic pension on depression was reported only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2014년 상향조정된 기초연금액이 수급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쳤는지, 그 영향이 가구유형별 3집단(남자독거, 여자독거, 부부가구)에 따라 다른지 조사하였다. 한국고령화패널 2012년(기초연금 도입 전)자료와 2016년(기초연금 도입 후)자료 중 2012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으로 2016년에 기초연금 수급자를 대상(N=2,277)으로 분석하였다. 통계패키지 SPSS 25를 활용하여 평균비교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가구유형별 기초연금 도입 전후 평균비교 결과, 여자 독거노인과 부부가구의 우울 수준은 기초연금 도입 후 유의미하게 낮아졌으나 남자 독거노인의 우울수준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기초노령연금에서 기초연금으로 변화 시행되면서 인상된 기초연금액이 2016년 수급 노인들의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쳤는지 전체 표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기초연금 인상이 클수록 우울수준이 낮았다. 또한 가구유형별 3집단 회귀분석 결과, 기초연금 인상이 우울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은 여자독거 노인에게서만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바탕으로 함의 및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호, 최옥금. (2010). 기초노령연금의 탈빈곤 효과 및 계층별 소득보장효과 분석. 한국사회정책, 17(2), 43-71.
  2. 고민석, 서인균. (2011). 노인의 건강상태가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한보건연구, 37(1), 1-14. https://doi.org/10.22900/KPHR.2011.37.1.001
  3. 금종예, 금현섭. (2018). 공적이전소득에 따른 사적이전소득의 변화: 기초노령연금 및 기초연금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2(4), 25-53.
  4. 김수린, 주경희, 정순둘. (2018). 소득이 고령층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65(2018.6), 103-136.
  5. 김재호, 정주연. (2012). 기초노령연금 도입에 따른 소득불평등과 양극화 변화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1(1), 421-446.
  6. 김주희, 유정원, 송인한. (2015).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보건사회연구, 35(3), 42-70. doi.org/10.15709/hswr.2015.35.3.42
  7. 김태완, 이주미, 정진욱. (2015). 노인의 빈곤과 우울에 관한 연구: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적용하여. 보건사회연구, 35(3), 71-102. doi.org/10.15709/hswr.2015.35.3.71
  8. 김혜연. (2020). 기초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40(1), 1-21. doi.org/10.31888/JKGS.2020.40.1.1
  9. 김혜연. (2017). 기초연금 도입이 성별 빈곤 및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 비판사회정책, 54, 120-159.
  10. 남기민, 박현주. (2010).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9, 405-428.
  11. 박소영. (2018). 노인의 건강특성과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 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8(1), 154-190. doi.org/10.15709/hswr.2018.38.1.154
  12.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 (2019). 2019 자살예방백서. 중앙자살예방센터.
  13. 서경현, 김영숙. (2003).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심리학회지, 9(1), 115-135.
  14. 석상훈. (2010). 기초노령연금의 노인빈곤감소 효과 분석. 노인복지연구, 50, 335-352.
  15. 석재은, 신동균, 이기주. (2015). 기초연금 도임의 정책효과와 젠더불평등 개선. 페미니즘 연구, 15(2):205-236.
  16. 성준모. (2010). 소득수준별 가구 경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 62(1), 109-132.
  17. 신종각, 안준기, 김경희, 김은영, 권윤섭. (2017). 2016 고령화연구패널(KLoSA) 기초분석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18. 심문숙. (2007). 저소득 독거노인의 생활경험.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1(2), 171-181.
  19. 여유진. (2020). 물질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생애주기별.박탈영역별 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0(2), 60-84. doi.org/10.15709/hswr.2020.40.2.60
  20. 오진주, 고현민, 김선희, 장경, 김영선. (2016). 노년기 우울변화의 영향요인: 한국고령화 연구패널을 이용하여. 대한보건연구, 42(2), 1-15. https://doi.org/10.22900/KPHR.2016.42.2.001
  21. 윤석명. (2019). 2018년 정부 노후소득보장 강화방안 평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보건복지포럼, 268, 56-70.
  22. 이정화, 문상호. (2014). 기초연금이 고령자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PSM) 이중차이(DID)를 활용한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3(3), 411-449.
  23. 이주현, 이대웅, 권기헌. (2018). 기초연금제도의 정책효과분석: 가구균등화 소비지출 및 소득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8(3), 75-105. https://doi.org/10.23036/KAPAE.2018.28.3.004
  24. 이채정, 탁현우. (2018). 기초연금 도입이 노인가구의 빈곤격차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2(2), 25-52. doi.org/10.31553/kpsr.2018.06.22.2.25
  25. 이혜자, 성명옥, 신윤아. (2003). 대도시 여성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인구학적 관련변인: 심리적 복지감과 우울감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3, 127-150.
  26. 이현주. (2013).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 연령집단별 차이와 위험요인. 노인복지연구, 61, 291-318.
  27. 임완섭. (2016). 기초연금의 빈곤 감소효과 분석. 보건복지포럼, 236, 82-97.
  28. 장현주. (2013). 기초노령연금의 노인빈곤 감소효과: LIS 소득원천별 노인빈곤 비교. 현대사회와 행정, 23(2), 121-146.
  29.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오미애, 강은나, 김경래, 황남희, 김세진, 이선희, 이석구, 홍송이. (2017). 2017년도 노인실태 조사 정책보고서.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정은희. (2018). 한국사회 우울과 소득의 종단적 상호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6(2), 150-178. doi.org/10.24301/MHSW.2018.06.46.2.150
  31. 진정란, 김원섭. (2018). 기초연금이 노인세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금연구, 8(2), 1-27.
  32. 최영. (2005).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건강상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9, 123-149.
  33. 통계청. (2020). 2020 고령자 통계. 통계청.
  34. 한혜경, 이유리. (2009).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29(30), 805-822.
  35. 황인욱, 이태진. (2020). 기초연금 인상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40(3), 178-215. doi.org/10.15709/hswr.2020.40.3.178
  36. 기초연금 홈페이지, http://basicpension.mohw.go.kr
  37.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
  38. Cole, M. G., & Dendukuri, N. (2003).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mong elderly community subjec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tsi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0(6), 1147-1156. doi.org/10.1176/appi.ajp.160.6.1147
  39. Easterlin, R. A. (1974). Does economic growth improve the human lot? Some Emperical Evidence. In P.A. David & M. W. Reder (Eds.).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pp. 89-125). New York: Academic Press.
  40. Easterlin, R. A. (2001). Income and happiness: Toward a unified theory. The Economic Journal, 111(473), 465-484. doi.org/10.1111/1468-0297.00646
  41. Faris, R. E. L., & Dunham, W. W. (1939). Mental disorders in urban area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2. Geerlings, S. W., Beekman, A. T. F., Deeg, D. J. H., & van Tilburg, W. (2000). Physical health and the onset and persistence of depression in older adults: An eight-wave prospective community-based study. Psyhological Medicine, 30, 369-380. doi.org/10.1017/S0033291799001890
  43. Hudson, C. G. (2005). Socioeconomic status and mental illness: Tests of the social causation and selection hypothese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5(1), 3-18. doi.org/10.1037/0002-9432.75.1.3
  44. Mckenzie, S. K., Gunasekara, F. I., Richardson, K. & Carter, K. (2014). Do changes in socioeconomic factors lead to changes in mental health? Findings from three waves of a population based panel stud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8(3), 253-260. doi.org/10.1136/jech2013-203013
  45. OECD. (2019). Pensions at a glance 2019: OECD and G20 indicators. Paris: OECD Publishing. https://www.oecd.org/publications/oecd-pensions-at-a-glance-19991363.htm
  46. Phifer, J. F., & Murrell, S. A. (1986). Etiologic factors in the onset of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3), 282-291. doi.org/10.1037/0021-843X.95.3.282
  47. Prince, M. J., Harwood, R. H., Thomas, A., & Mann, A. H. (1998).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the effects of disablement band social millieu on the onset and maintenance of late-life depression: The Gospel Oak Project VII. Psychological Medicine, 30, 369-380. doi.org/10.1017/S0033291797006478
  48. Veenhoven, R. (1988). The unity of happiness.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 333-354. https://doi.org/10.1007/BF00302332
  49.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1-34. https://doi.org/10.1007/BF00292648
  50. Zimmerman, F. J. & Bell, J. F. (2006). Income inequality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Testing associations consistent with proposed causal pathway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0(6), 513-521. doi.org/10.1136/jech.2005.040154
  51. Zunzunegui, M. V., Minicuci, N., Blumstein, T., Noale, M., Deeg, D., Jylha, M., Pedersen, N. L., for the CLESA Working Group. (2007).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A cross-national comparison-The CLESA project.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nology, 42, 198-207. doi.org/10.1007/s00127-00701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