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n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of the Elderly based on the degree of chronic diseases

만성질환 유병상태에 따른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Seo, Daram (Department of Urban Society Research, The Seoul Institute) ;
  • Shon, Changwoo (Department of Urban Society Research, The Seoul Institute)
  • 서다람 (서울연구원 도시사회연구실) ;
  • 손창우 (서울연구원 도시사회연구실)
  • Received : 2021.01.22
  • Accepted : 2021.03.05
  • Published : 2021.05.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and to develop effective community care models by using the results of Seoul's outreach service which is the basis for Korean community car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he elderly aged 65 and 70 who participated in the Seoul's outreach community services 3rd stage (July 2017 - June 2018) and 4th stage (July 2018 to June 2019). 2,200 people were extracted by the proportional allocation method and home visit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m. Subject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based on chronic disease prevalence, and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lderly without chronic diseases were more satisfied when they received health educ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the elderly with one chronic disease were more satisfied when they received Community resource-linked services. 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with two or more chronic diseases,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is increased when health condition assessment and Community resource-linked services are provid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have chronic diseases, service delivery time was a factor that increased satisfaction in home visiting health care. And the degree of explanation understanding was a factor that increased satisfaction for both single and complex chronic patients.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ased on the community is a key component of the ongoing community care. In order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 care in the future, Community-oriented health care services based on the degree of chronic diseases of the elderly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provide more effective services, however, it is necessary (1) to establish a linkage system to share health information of the subject hel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o local governments and (2) to provide capacity-building education for visiting nurses to improve the quality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 ed as bas ic data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community care.

이 연구는 한국형 커뮤니티 케어의 기초가 되는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방문건강관리 사업을 중심으로, 만성질환 유병상태에 따른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향후 효과적인 커뮤니티 케어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3단계('17년 7월 ~ '18년 6월) 및 4단계('18년 7월 ~ '19년 6월)에 참여한 만 65세, 만 70세 노인을 모집단으로 하여, 자치구별 비례할당 방식으로 추출한 2,200명(3단계 24개구 1,100명, 4단계 25개구 1,100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문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불성실 응답 180건을 제외한 2,020명을 최종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만성질환 유병상태를 기준으로 하위집단을 나누었고,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만성질환이 없는 노인들은 건강교육 및 상담 서비스를, 만성질환을 1개 가지고 있는 단일 만성질환 노인은 지역사회자원 연계서비스를, 만성질환을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복합 만성질환 노인은 자신의 건강상태평가 및 지역사회자원 연계서비스를 제공받은 경우 서비스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만성질환 유병상태와 상관없이 노인이 인식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시간은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이었으며, 설명 이해도는 단일, 복합 만성질환자 모두에게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이었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커뮤니티 케어의 핵심 요소이므로 향후 커뮤니티 케어의 지속성과 효과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상태에 따른 지역사회 중심의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겠다. 다만,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첫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의 건강정보를 지자체로 공유하는 연계시스템 구축과 둘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의 질향상을 위한 방문간호사 역량강화 교육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와 제언이 향후 커뮤니티케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2기 발전을 위한 성과관리 학술용역'을 통하여 서울시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을 밝힙니다.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공단. (2020). 2019 건강보험통계연보. 서울: 국민건강보험공단.
  2. 김미라, 김경희, 곽연희, 김윤정. (2015). 재가노인의 지역 보건의료서비스 요구도, 만족도 및 이용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6(1), 5-18. doi.org/10.7856/kjcls.2015.26.1.5
  3. 김미정, 송은정, 손창우. (2020). 민간병원 간호사의 지역사회 간호사로의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방문간호사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21(1), 59-73.
  4. 김은만, 김정희, 김고은, 천병철. (1997). 노년기 요실금의 유병률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7(3), 70-96.
  5. 김창오, 홍종원, 조미희, 최은희, 장숙랑. (2020). 거동불편 대상자를 위한 방문진료의원 모형. 한국노년학, 40, 1403-1428. doi.org/10.31888/JKGS.2020.40.6.1403
  6. 박경민. (2004). 도시지역 취약가구의 방문간호서비스 평가.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5(1), 55-65.
  7. 박경민, 고효정, 박영숙, 김정남, 김향동, 한정안. (2006). 지역주민의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만족도와 삶의 질의 관계. 계명간호과학, 10(1), 179-186.
  8. 박영숙, 이화연, 권윤희. (2011).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11), 5071-5078. doi.org/10.5762/KAIS.2011.12.11.5071
  9.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20).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조사문항지침서.
  10. 서울특별시. (2019).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업무매뉴얼: 건강.
  11. 손창우. (2018). 서울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건강관리와 의료이용 실태. 정책리포트, 253, 1-23.
  12. 손창우, 이승재, 황종남. (2019).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9(2), 213-229. doi.org/10.31888/JKGS.2019.39.2.213
  13. 오영희. (2011). 예방적 관점에서의 효과적인 노인건강관리서비스의 개발 연구 : M시 종적연구기반(1).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유승흠. (2007). 노인보건학. 계축 문화사.
  15. 이윤경. (2017). 제 2차 장기요양 기본계획 수립연구. 세종: 보건복지부.
  16. 이준영, 장익현, 손창우, 안현찬, 손정연. (2019).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4단계 사업 성과관리 학술용역. 서울연구원.
  17. 장숙랑. (2015). 한국 노인의 만성질환과 활동제한. 보건복지포럼, 2015(7), 6-17.
  18. 정경희. (2017).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세종: 보건복지부.
  19. 정영호. (2013).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정영호, 고숙자, 차미란. (2015). 2015년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현황 및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대국민 설문조사. 세종: 보건복지부.
  21. 정영훈. (2020). 지역사회 통합돌봄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 복지국가 정책토론회 커뮤니티 케어의 현황과 개선방향, 13-43.
  22. 정현진, 이기주, 김재윤. (2019). 커뮤니티케어 2026 비전 및 과제. 세종: 보건복지부.
  23. 정혜선, 최은희. (2017).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특성에 대한 질적 연구: 대상자의 특성, 서비스 과정 및 대상자의 변화를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4(5), 107-119. doi.org/10.14367/kjhep.2017.34.5.107
  24. 조비룡. (2018). 국외사례로 본 동네의원 중심 포괄적 만성질환관리 방안. HIRA 정책동향, 12(5), 7-17.
  25. 최연희. (2011). 일개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의 만족도. 경북간호과학지, 15(1), 65-78.
  26. 통계청. (2019a). 생명표 통계정보보고서.
  27. 통계청. (2019b).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 2017~2067.
  28. Berglund, A. L. (2007). Satisfaction with caring and living conditions in nursing homes: Views of elderly persons, next of kin and staff membe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3(1), 46-51. https://doi.org/10.1111/j.1440-172X.2006.00602.x
  29. Francis, J., & Netten, A. (2004). Raising the quality of home care: a study of service users' views.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38(3), 290-305. https://doi.org/10.1111/j.1467-9515.2004.00391.x
  30. Karlsson, S., Edberg, A. K., Jakobsson, U., & Hallberg, I. R. (2013). Care satisfaction among older people receiving public care and service at home or in special accommodat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2(3-4), 318-330. https://doi.org/10.1111/jocn.12115
  31. Kim, J., & Shon, C. (2018). The effects of health coverage schemes on length of stay and preventable hospitalization in Seoul.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5(4), 772. https://doi.org/10.3390/ijerph15040772
  32. Kwak, C., Lee, E., & Kim, H. (2017). Factors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long-term care services among low-income Korean elderly adults: A national cross-sectional surve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69, 97-104. https://doi.org/10.1016/j.archger.2016.11.013
  33. NHS. (2019). 2019/20 General Medical Services (GMS) contract Quality and Outcomes Framework (QOF).
  34. OECD. (2017). Health at a Glance 2017: OECD Indicators.
  35. Rowe, J. W., & Kahn, R. L.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36. Stewart, S. T., Cutler, D. M., & Rosen, A. B. (2009). Forecasting the effects of obesity and smoking on US life expectanc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1(23), 2252-2260. https://doi.org/10.1056/NEJMsa0900459
  37. WHO. (2008). Health systems, health and wealth. WHO European Ministerial Conference on Health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