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me Patterns of Confucian Literati's Daily Lives in the Joseon Dynasty Analyzed from a Perspective of Ritualization

조선시대 사족(士族) 일상생활의 유교적 의례화 양상

  • Received : 2021.08.31
  • Accepted : 2021.12.09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In the Joseon Dynasty, Confucian literati sacralized their daily lives through ritual practices across the three dimensions of time, place, and humanity. 1) In the dimension of time, they cultivated in their personal lives by accepting and thoroughly practicing the ethical principles of the Elementary Learning (『小學』). These practices of self-cultivation developed into ritualized practices of daily routine from the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2) In the spatial dimension, local public schools (鄕校), local private academies (書院), and village private schools (書塾) were constructed as the symbolic places for disseminating Confucian norms through intensive seminar activities and collective learning sessions (講會). These places were also used for the pious recitations of selected Confucian proverbs that had been ritualized by Confucian literati. 3) In the dimension of humanity, pious consciousness, reinforced by the ritualized practice of periodic sacrifices or intensive reading, was subconsciously deepened and projected onto dreams individuals reported of their deceased fathers or teachers. According to the Confucian ritualization process, people were seen as being able to sanctify their daily lives by thoroughly internalizing and effectively realizing Confucian values.

조선시대 사족(士族)들은 시간, 공간, 인간의 삼간(三間) 차원에서 일상생활을 유교적으로 의례화하는 실천을 통해 삶을 성화(聖化)했다. 일상생활의 성화는 1) 시간적 차원에서는 『소학(小學)』의 규범을 율신제행(律身制行)의 의례화된 실천으로 철저하게 구현했다. 특히 이러한 실천은 특히 성리학적 수양과 공부를 시간에 따라 구별해서 실천하는 일과(日課)의 시간적 의례화로 전개되었다. 2) 공간적 차원에서는 서원(書院)이나 서숙(書塾) 등에서 강회(講會)의 상징적 강학(講學) 공간을 구성했고, 그에 따라 강회의 의절(儀節)을 의례화했다. 이러한 양상은 특히 경독(敬讀)의 확대와 잠명(箴銘)의 독송(讀誦)을 통해 강학활동의 공간적 의례화로 발전했다. 3) 인간적 차원에서는 주기적인 제사나 집중적인 독서의 의례화된 실천이 강화한 경건한 의식[경(敬)]이 무의식적으로 심화해서 각각 가족 공동체의 상징적 중심인 선친(先親)과 유림 공동체의 상징적 중심인 선사(先師)에 대한 꿈으로 투사되었다. 이러한 유교적 의례화 양상은 유교적 가치를 철저하게 내면화하고 효과적으로 실현하여 조선시대 사족의 일상생활을 성화했다.

Keywords

References

  1. 「朝鮮王朝實錄」
  2. 金光繼, 「梅園日記」
  3. 金坽, 「溪巖日錄」
  4. 徐有榘, 「林園經濟志」
  5. 孫處訥, 「慕堂集」, 「慕堂日記」
  6. 尹最植, 「日用指訣」
  7.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
  8. 李毅敬, 「桐岡遺稿」
  9. 李珥, 「栗谷集」, 「擊蒙要訣」
  10. 李楨 編, 「景賢錄」
  11. 李滉, 「退溪集」
  12. 丁若鏞, 「與猶堂全書」
  13. 程羽文, 「淸閑供」
  14. 김자운, 「조선시대 소수서원 강학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15. 김자운, 「퇴계의 서원관과 조선후기 소수서원 강학(講學)의 변화」, 「퇴계학논집」 18, 2016. http://uci.or.kr/G704-SER000003090.2016..18.003
  16. 김자운,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와 교육적 의미」, 「민족문화논총」 76, 2020.
  17. 박종천, 「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 성남: 신구문화사, 2008.
  18. 박종천, 「「계암일록」에 나타난 17세기 예안현 사족의 의례생활」, 「국학연구」 24, 2014. https://doi.org/10.36093/ks.2014..24.009
  19. 박종천, 「일상의 성화(聖化)를 위한 유교적 의례화: 율곡 이이의 예학적 구상」, 「유학연구」 31, 2014. https://doi.org/10.18216/yuhak.2014.31..002
  20. 박종천, 「예교 문화의 관점에서 본 조선과 중국」, 「국학연구」 28, 2015. https://doi.org/10.36093/ks.2015..28.009
  21. 박종천, 「조선 후기 예교적 시선의 변주와 변화」, 「태동고전연구」 35, 2015. http://uci.or.kr/G704-SER000001293.2015.35..004
  22. 박종천, 「조선 중기 광산김씨 예안파의 의례 실천과 일상생활: 「계암일록」 과 「매원일기」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33, 2017. https://doi.org/10.36093/ks.2017..33.012
  23. 윤성호, 「선비의 일과(日課) 공부: 「일용지결」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 41-3, 2019. https://doi.org/10.15704/kjhe.41.3.201909.27
  24. 임근실, 「조선시대 서원의 향사의례에 대한 특징과 의미: 남인계.서인계 서원을 중심으로」, 「한국서원학보」 11, 2020. https://doi.org/10.30594/kss.2020.12.11.3
  25. 정경주, 「한훤당 김굉필 도학의 전승 양상」, 「영남학」 22, 2012. https://doi.org/10.36034/yncdoi.2012..22.7
  26. 정호훈, 「조선의 「소학」 : 주석과 번역」, 서울: 소명출판, 2014.
  27. 조헌철, 「「일용지결」에 나타난 조선 후기 선비의 일상」, 「횡단인문학」 7, 2021.
  28. 刘廷乾, 「《清闲供》: 明季文人的乡愿生活观及其保真意识」, 「贵州文史丛刊」 1期, 上海师范大学, 2007.
  29. Bell, Catherine, Ritual: Perspectives and Dimens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0. Bell, Catherine, Ritual Theory, Ritual Practi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31. Fingarette, Herbert, Confucius: the Secular as Sacred, New York: Harper & Row, 1972.
  32. Grimes Ronald L., Beginnings in Ritual Studies, revised edition, Columbia, S. C.: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95.
  33. Kreinath, Jens, Jan Snoek and Michael Stausberg eds., Theorizing Rituals: Classical Topics, Theoretical Approaches, Analytical Concepts, Leiden: Brill, 2006.
  34. Rappaport, Roy A., Ritual and Religion in the Making of Human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5. Smith, Jonathan Z., Relating Religion: Essays in the Study of Relig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4.
  36. Smith, Jonathan Z., To Take Place: Toward Theory in Ritual,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37. Tu, Weiming and Mary Evelyn Tucker eds., Confucian Spirituality, 2 vols., New York: Th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