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소기업 '좋은 일자리'를 위한 자가평가 모형

A self-assessment model for 'good jobs' in SMEs

  • 이정환 (충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 김태성 (충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 백동욱 (중소기업중앙회 청년희망일자리부) ;
  • 노민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
  • 투고 : 2021.02.05
  • 심사 : 2021.03.03
  • 발행 : 2021.03.31

초록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청년 일자리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청년구직자가 일하고 싶은 우수한 중소기업을 쉽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는 '참 좋은 일자리 플랫폼'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청년 구직자의 선호 일자리를 파악하고 중소기업 스스로가 평가하는 '좋은 일자리' 자가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실제로 이 플랫폼에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구직자 관점의 좋은 일자리 특성을 연봉수준, 성과보상, 근무환경, 기업건전성, 조직문화 관점에서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산·학·연 전문가 대상으로 AHP 분석을 통해 세부 평가항목 13개의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자가평가 모형은 중소기업 환경을 청년구직자가 선호하는 일자리로 변화시키는 인식개선의 도구로 일자리 문제를 비용 중심적인 지원 중심에서 질적 체질을 개선하는 계기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The youth job problem is becoming more serious due to COVID-19. To solve this problem, a "good job platform" was proposed that allows young job seekers to easily and conveniently find excellent SMEs they want to work for. This study developed a "good job self-assessment model" that grasps the preferred jobs of young job seekers and evaluates SMEs and applied them in the platform. In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good jobs from the viewpoint of job seekers were identified through conjoint analysis from the viewpoint of salary level, performance compensation, working environment, corporate soundness, and organizational culture. Next, the importance of 13 detailed evaluation items was reflected through AHP for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experts. The self-assessment model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ool to improve awareness that changes the SME environment into a job favored by young job seekers. As a result, it c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job problem from providing cost-oriented support to a qualitative solu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규진(2011),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디자인지식저널」, 제20권, pp. 135-146.
  2. 곽배성.이재혁(2019), "국내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 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연구 방향 제언", 「전략경영연구」, 제22권, 제3호, pp. 21-50. https://doi.org/10.17786/JSM.2019.22.3.002
  3. 노민선.백철우.손병호(2012), "중소.중견기업 우수연구소 선정평가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15권, 제4호, pp. 815-836.
  4. 류옥현.이충석(2010), "중소기업 구인 해결을 위한 구직자 중심의 기업평가모형 개발", 「중소기업연구」, 제32권, 제1호, pp. 89-105.
  5. 류옥현.이충석(2015), "구직자 선호요인 기반 기업평가 지원시스템 구현: 퍼지 AHP 와 진로성숙도 활용",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38권, 제2호, pp. 63-71. https://doi.org/10.11627/jkise.2015.38.2.63
  6. 문선정(2017), "중소기업 취업에 관한 대학생들의 신념, 태도 및 취업의도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9권, 제3호, pp. 57-76.
  7. 문영만.김종호(2017), "청년층의 중소기업 정착요인 및 임금효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9권, 제2호, pp. 809-826. https://doi.org/10.37727/jkdas.2017.19.2.809
  8. 박성욱.김영훈.김영생(2015),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기 위한 세제지원제도의 한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7권, 제4호, pp. 279-299.
  9. 박호득.서희정.안영식(2012), "중소기업 근로자의 조직학습과 조직문화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제31권, 제3호, pp. 67-88.
  10. 방하남.이상호(2006), "좋은 일자리'(Good job)의 개념구성 및 결정요인의 분석", 「한국사회학」, 제40권, 제1호, pp. 93-126.
  11. 서울연구원(2014), "서울시의 괜찮은 일자리에 관한 실태분석과 정책방향", 정책리포트.
  12. 성필석.김영필.김양균(2018),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제8권, 제1호, pp. 91-114.
  13. 송진구(2016), "근로자 관점에서의 좋은 일자리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부패학회보」, 제21권, pp. 113-133.
  14. 오석영.배상현(2020), "중소기업 근로자의 핵심가치 내재화 유형과 학습지원 환경, 조직몰입간의 관계 탐색",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2권, 제2호, pp. 213-238.
  15. 이덕수.박노국(2017), "중소기업 현장 문제점 발굴과 개선방안을 모색을 위한 평가진단 체크시트 개발",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22권, 제6호, pp. 95-105. https://doi.org/10.9723/JKSIIS.2017.22.6.095
  16. 이병길.윤관호.김동관(2012), "우리나라 중소기업 자가진단 모형개발", 「경영교육저널」, 제23권, 제1.2호, pp. 13-32.
  17. 임진혁.박성희.권혁(2018), "노동자의 좋은 일자리 요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 제2018권, 제2호, pp. 49-76.
  18. 양영석.김명숙(2016), "성공적 기술창업 촉진을 위한 사전자가진단 (Self-Checkup Preparation) 항목 개발연구", 「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2호, pp. 113-120.
  19. 염동기.문상규.박성수(2017),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취업진로연구」, 제7권, 제24호, pp.45-68.
  20. 장지호.김왕식.이병헌(2008), "중소기업 혁신역량 진단 및 평가 지표의 국내외 활용사례",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2호, pp. 153-177.
  21. 정화.하규수(2019),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직무 적합성과 조직 공정성 인식이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14권 제3호, pp. 73-84.
  22. 조지훈.신완선(2019), "중소기업을 위한 스마트공장 도입 준비도 진단 체계 개발 및 적용사례연구", 「품질경영학회지」, 제47권, 제1호, pp. 1-15. https://doi.org/10.7469/JKSQM.2019.47.1.1
  23. 중소기업연구원(2019), "괜찮은 일자리 인증 제도를 활용한 정보 미스매치 해소 방안", 중소기업포커스.
  24. 중소기업중앙회(2020), 중소기업 취업관련 청년층 인식조사.
  25. 중소기업중앙회(2021), 참 괜찮은 중소기업 플랫폼.
  26. 최상진.김진영.은종성(2016), "중소기업 진단 KIT 개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초록집」, pp. 511-535.
  27. 통계청(2021), 2020년 12월 및 연간고용동향.
  28. 하규수(2014), "대학졸업생들의 중소기업 취업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9권, 제4호, pp. 55-64. https://doi.org/10.16972/APJBVE.9.4.201408.55
  29. IBK 경제연구소(2018), 좋은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의 특성 분석.
  30. Anker, R., I. Chernyshev, P. Egger, and F. Mehran(2003), "Measuring decent work with statistical indicators", International Labor. Review, Vol.142, No. 2, pp. 147~178. https://doi.org/10.1111/j.1564-913X.2003.tb00257.x
  31. Hussain, A. B. and N. Endut(2018), "Do decent working conditions contribute to work-life balance: a study of small enterprises in Bangladesh," Asia Pacific Journal o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Vol. 12, No. 1, pp. 90-104. https://doi.org/10.1108/apjie-04-2018-045
  32. Jencks, C., L. Perman, and L. Rainwater(1988), "What is a good job? A new measure of labor-market succes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93, No. 6, pp. 1322-1357. https://doi.org/10.1086/228903
  33. Lee, J., D. W. Kim, and H. Zo(2015), "Conjoint analysis on preferences of HRD managers and employee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m-learning: The case of South Korea,"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 32, No. 4, pp. 940-948. https://doi.org/10.1016/j.tele.2015.04.010
  34. Pickshaus, K. (2014), Rucksichtslos gegen Gesundheit und Leben. Gute Arbeit und Kapitalismuskritik-ein politisches Projekt auf dem Prufstand. Berlin: VSA-Verlag.
  35.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New York..
  36. ILO (1999), "Decent work", Report of the Director-General to the 87th Session of the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37. Mitchell, R. K. (1998). Venture analysis standards. Buford, GA: ELad Publishing.
  38. www.isoguide.com (혁신역량우수기업지원), 조회일자(2020년 12월)
  39. www.queensawards.org.uk (Queen's Award조건), 조회일자(2021년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