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air Beauty Textbook Based on the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헤어 미용 교과서 분석

  • 심상희 (동방문화대학원 대학교)
  • Received : 2021.01.10
  • Accepted : 2021.03.08
  • Published : 2021.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ope and content of high school textbooks based on the NCS competency unit criteria. The job competency level of hair beauty is included in the range of Level 1 to Level 5 according to the NCS standard. Among all the 40 units of NCS competency units, the number of them which can be acquired at the high school is 30 units. Among them, high school beauty textbooks were published around 19 competency units, 75% of which corresponded. Only about 85% of all the contents were contained in the text book. Based on the analysis contents, the improvement plan of the textbook is as follows. First, textbooks on 11 competency units that can be acquired at the high school level should be published and the professional curriculum with lessons related to this will be expanded at the same time. Second, there is a need for discussion to establish terminology in the field of Cosmetology.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hotographic and illustration materials. Fourth, it should be needed to correct typing errors and maintain a consistent editorial form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need to make curriculum and publish textbooks for high school graduates to perform their jobs at the same time as they get a job.

본 연구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준으로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의 수록 범위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NCS 기준에 의하면, 헤어 미용의 모든 직무능력 수준은 1~5수준에 속하며, 고등학교 과정 동안 헤어 미용 분야 40개 능력단위 중에서 습득 가능한 능력단위는 30개 항목이다.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는 NCS 직무능력 중 75%에 해당하는 19개 능력단위를 중심으로 발간되었으며, 서술된 교과서 내용은 요구되는 직무 능력의 약 85% 정도를 포함하고 있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교과서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수준에서 습득 가능한 NCS 능력단위 11개에 관한 교과서가 발간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추가되는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전문교과 수업 과정이 동시에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헤어 미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의 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에 실린 사진 자료와 삽화 자료의 질적 개선작업이 필요하다. 넷째, 교과서의 오타 수정과 함께 사진 및 삽화 자료의 일관된 편집 형식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취업과 동시에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Ⅰ. 서론

본 연구는 국가직무표준능력(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하, NCS))을 기반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헤어 미용 교과서에 관한 분석연구이다. 급변하는 세계 경제시대에 필요한 인적자원의 확보는 국가경제력을 보장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세계 여러 국가는 개인의 직무역량 강화와 인적자원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서, NCS 또는 국가역량 체제(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 NQF) 등의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NCS란 국가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등의 내용을 체계화 것이다[1]. 우리나라의 NCS는 1999년 국무조정실에서 ‘자격제도 규제개혁 과제’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2014년도에 총 797개 NCS 개발을 완료하였다(2013년 240개, 2014년 557개 개발). 2021년 1월 기준 NCS 체계는 대분류 24개, 중분류 80개, 소분류 257개, 세분류 1,022개로 구성되어 있다[2].

외국 사례의 경우, 영국과 캐나다는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NOS)’, 호주는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일본은 ‘Vocational Ability Assessment Standards(VAAS)’를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NSS 인증기관인 ‘National Skill Standards(NSS)’가 2003년 정부의 재정지원이 중단됨에 따라 NSSBi가 자율 민간기구로 설립되었으며, 개별 주(state) 단위로 NSS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3].

2018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전체 미용업 사업체 수는 257,410개이다. 이중 헤어 미용은 102,330개로 전체 미용산업의 66.6%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4]. 전체 미용업 종사자 수는 389,426명이며, 이중 헤어 미용인수는 159,981명으로 전체 미용 관련 종사자의 69.7 %를 한다[5]. 미용업의 분류에는 헤어 미용과 함께 이용업, 피부미용, 네일미용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미용업 종사자의 과반수가 헤어 미용에 종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육통계서비스에 의하면 2020년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은 81,190명인데, 이 중 약 45%에 해당하는 36,421명이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6]. 즉, 55% 정도에 해당하는 44,769명의 학생이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직업현장에 뛰어들게된다. 그러므로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직무능력과 관련된 교과서는 직업 활동에 필요한 지식과 함께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즉, 고등학교의 헤어 미용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은 교육실무와 이론의 격차를 줄이고, 헤어 미용 전문인으로 활동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실무를 갖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육과정의 체계화와 전문 헤어 미용인을 배출하는데 바탕이 되는 교과서의 내용과 구성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다. 즉, 고등학교의 헤어 미용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은 교육실무와 이론의 격차를 줄이고, 헤어 미용 전문인으로 활동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실무를 갖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미용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미용역사에 관한 최소빈[6], 현은주[7]의 연구가 있다. 미용교과서의 오류를 분석한 황정옥[8], 김윤희[9], 양종미[10], 박경희 [11]의 연구와 미용교과서에서 사용된 전문용어 사용 실태를 분석한 서명주[12], 문혜진[13], 김현숙[14]의 연구가 있다.

미용분야에 관한 연구의 경우, 네일미용 분야는 한재숙[15], 김현희[16], 피부미용 분야는 류니나[17], 박세실리아[18]의 연구 헤어미용 분야는 정소임[19], 메이크업 분야에 관한 연구는 김효진[20]의 연구 등이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표 1].

표 1. 미용 분야 교과서 선행연구 분류

CCTHCV_2021_v21n5_200_t0001.png 이미지

NCS 기준과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연구로는 김규리 [21], 김단올[22], 류동희[23], 배세현[24] 등이 있다.

김규리는 NCS에서 개발된 능력단위별 수행준거를 토대로 미용고등학교 메이크업 교과서 학습목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김단올은 능률출판사와 교육부에서 출판된 헤어미용 교과서의 내용과 NCS 직무능력표준 능력단위를 비교 분석하여, 수정·보완이 필요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류동희는 피부미용 교과서가 NCS 기준에 따라 고등학교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맞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실제 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과 NCS의 항목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조사하였다.

배세현은 NCS 능력단위별 수행준거를 기준으로 미용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네일미용 관련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과서 재편성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2015년 전에 이루어진 연구들이다. 이때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는 모두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교과서로 현재 교육현장에서 사용되지 않고 있다.

2015년을 기준으로 교육과정의 개편과 함께 NCS 체계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NCS 기준을 공공기관 및 기업에서의 활용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국가자격증 시험에서는 NCS 기준에 따라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시행하면서 NCS 활용과 확산을 추진했다. NCS 학습모델의 경우 2015년을 기준으로 이전을 구모델 규정하고 대대적인 개편작업을 거친다.

이러한 영향으로 2015년 기준으로 교과서의 능률교과서, 한국교과서주식회사, 울산광역시교육청 교과서, 서울특별시교육청 교과서, 교육부 등 다양한 기관들에서 교과서가 발행되어지만, 2021년 현재 헤어 미용교 과서, 피부미용교과서, 네일 미용 교과서는 NCS 학습 모델을 편집한 형태로 교육부에서 발간한 1종만 존재한다. 이러한 결과는 교과서의 부실한 형태로 연결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교육과 실무를 연계할 수 있는 헤어 미용 교과서의 발행을 위한 헤어 미용 교과서의 연구는 다른 미용 교과서인 피부미용 교과서, 네일 미용교과서의 개선방안과 관련해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OVID-19로 교육환경이 급격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놓여 있다. 법제처는 COVID-19의 유행으로 정보통신매체 등을 활용한 원격수업이나 현장실습 운영 등 학습권 보장을 위한 다양한 수업방식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도록 초ㆍ중등교육법을 개정했다[25].

다시 말하자면, 교육환경을 반영한 교과서의 발행은 내적·외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시대적 상황에 부합되는 일이다. 기존 교과서는 대면수업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인쇄 위주의 형태이므로, 비대면 수업 방식과 IT 기술이 접목된 원격수업 환경에는 그 활용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도 이 부분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 지원 내용에 의하면, 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의 경우, 기준 학과별 국가직무능력표준이나 직무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26]. 따라서, 본 연구는 NCS를 기반하여 고등학교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 현장과 산업현장을 연계할 수 있는 헤어 미용 교과서의 개선방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NCS 기준에 따라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의 능력단위 적용 범위와 내용을 분석한다. NCS 능력단위 적용 범위는 고등학교 과정을 통해 습득할 수 있는 능력 수준을 중심으로 하며, 교과서에 포함된 능력 단위의 범위를 살펴본다. 교과서의 내용분석은 제시된 교육 내용과 자료의 적합성에 주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2015년 교육과정의 개정 이후, 헤어 미용 교과서는 NCS 학습모듈을 바탕으로 검인정교과서 형태로 단 1 종만이 발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한국검인 정교과서협회를 통해 공급되고 있는 헤어미용 관련 전체 교과서 『헤어 미용 Ⅰ』, 『헤어 미용 Ⅱ』, 『헤어 미용 Ⅲ』, 『헤어 미용 Ⅳ』4권을 분석한다.

교과서의 수록된 그림 자료는 사진을 활용한 자료와 삽화를 활용한 자료 2가지 형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진을 통해 설명한 그림 자료는 ‘사진자료’로, 삽화를 통한 그림 자료는 ‘삽화 자료’로 용어를 구분해서 분석하였다.

Ⅲ. 헤어 미용의 NCS 능력단위

1. NCS의 헤어미용 분류

NCS는 헤어 미용을 미적 욕구의 충족을 통해 정서적 만족감 및 자존감을 높이려는 고객에게 미용기기와 제품을 활용하여 샴푸, 헤어커트, 헤어펌, 헤어 컬러, 두피·모발 관리, 헤어스타일 연출, 메이크업 등의 미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로 정의한다[27].

NCS는 직무 유형을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단계적 구성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의 전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NCS의 체계는 ‘대분류(24) → 중분류(80) → 소분류(257) → 세분류(1,022개)’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28]. NCS 및 NCS 학습모듈에 의하면. 헤어 미용은 24개 대분류 중에서는 이용·숙박·여행·오락·스포츠, 중분류는 이·미용, 소분류는 이·미용 서비스, 세분류에서는 헤어 미용으로 구분된다. 헤어 미용직무능력은 40개 능력단위로 구성되어있다.

표 2. 헤어 미용의 NCS 분류

CCTHCV_2021_v21n5_200_t0002.png 이미지

2. 헤어 미용의 능력단위 수준

‘NCS 수준 체계’란 산업현장에 요구되는 직무의 수준을 체계화시킨 것이다. 수준 체계는 ‘산업현장·교육훈련·자격’ 연계, 평생학습 능력 성취 단계 제시, 그리고 자격의 수준 체계 구성을 위해 활용되는 기준이다. NCS 개발은 8단계의 수준 체계에 따라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 요소별 수준을 제시하는데, ‘수준에 대한 정의’, ‘지식기술’, ‘역량’, ‘필요한 경력기간’에 대해 체계적인 내용을 명시하고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표 3].

‘NCS 수준 체계’의 분류번호와 헤어 미용의 능력순위는 다음과 같다[표 4]. NCS의 분류번호 체계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표 5].

먼저, NCS 분류번호를 통해 살펴보면 헤어 미용 능력단위의 대부분은 2017년에 개발되어 수정·보완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에 개정된 능력단위는 ‘고객 응대 서비스’, ‘베이직 헤어펌’, ‘롤 헤어펌’, ‘매직스트레이트 헤어펌’, ‘베이직 헤어컬러’, ‘레이어 헤어커트’, ‘헤어 샴푸 분야’이다. 이를 통해, 2019년도에 펌(perm)과 관련한 능력단위 분야에서 중점적으로 수정·보완 작업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NCS 직무능력 수준을 살펴보면 헤어 미용의 능력단위는 2∼5수준에 해당한다. 헤어 미용직무능력은 2수준 10개, 3수준 18개, 4수준은 2개, 5수준은 10개로 이루어져 있다. NCS에서 제시하는 경력 수준을 고려해서 판단해보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룰 수 있는 부분은 4수준 단계까지인 것을 알 수 있다.

NCS 직무능력 수준을 살펴보면 헤어 미용의 능력단위는 2∼5수준에 해당한다.

헤어 미용직무능력은 2수준 10개, 3수준 18개, 4수준은 2개, 5수준은 10개로 이루어져 있다. NCS에서 제시하는 경력 수준을 고려해서 판단해보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룰 수 있는 부분은 4수준 단계까지인 것을 알 수 있다.

5단계 수준의 능력단위는 내용은 주로 기초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숙련된 경험이 요구되는 부분들이다. 이 수준들은 기본 기술을 바탕으로 한 응용력과 창의적 기술이 요구되는 단계와 사업체 운영자가 되었을 때 경영자의 자질이 요구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고등학교 수준을 벗어난 5수준의 능력단위 분야의 경우, 개인의 역량이 강조되는 직무능력은 ‘크리에이티브 헤어 커트’, ‘크리에이티브 헤어컬러’, ‘크리에이티브업 스타일’, ‘헤어트렌드 분석’, ‘전통 헤어스타일 연출’, ‘헤어디자인 개발’과 관련된 분야이다.

표 3. NCS 능력 수준[29]

CCTHCV_2021_v21n5_200_t0003.png 이미지

표 4. 헤어 미용 능력단위 수준[30]

CCTHCV_2021_v21n5_200_t0004.png 이미지

표 5. 분류번호 체계 예시

CCTHCV_2021_v21n5_200_t0005.png 이미지

경영인으로 요구되는 실무 역량의 능력단위는 ‘미용업 홍보 관리’, ‘미용업 인사관리’, ‘미용업 교육관리’, ‘고객 불만 관리’이다.

NCS 5수준에 해당하는 직무능력을 제외하면,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습득 가능한 능력단위는 총 30개이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전문 헤어 미용 전문가로 활동하는 데 필요한 NCS 능력단위의 75%를 습득할 수 있는 중요한 교육 기간이다.

즉,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헤어미용 교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시기이다. 이때 사용되는 교과서는 모든 헤어미용의 이론적 바탕과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결정하기 때문에 교과서의 구성과 내용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Ⅳ. 헤어 미용 교과서 분석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 과정은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따라 고시되며, 초․중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학교 교육 실천의 근간을 형성한다. 국가 교육 과 정은 교과용 도서 개발, 교육과정 시행을 위한 교원연수, 교육과정 해설서 발간 및 보급 등 후속 행정조치들의 기준이 된다[31]. 고등학교 학생들은 고등학교 과정 동안 총 204단위 수업을 이수해야 하는데, 특성화 고등학교는 전체 교육 이수 단위를 전문단위 수업 86단위와 창의적 활동 수업 24단위로 교과과정을 구성해야 한다[32]. 특성화고등학교의 교과과정에서, 전공교과 수업은 최소 110단위로 전체 수업의 50% 이상이 직무와 관련된 이론적 내용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NCS 기준 교과서 범위

교육부는 2015년에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교육과정의 목표로 삼고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다. 교육과정의 배경요인은 ‘지식 위주의 암기식 교육’에서 ‘배움을 즐기는 행복교육’으로 전환을 주안점으로 한다.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은 핵심 개념과 원리 중심으로 학습 내용의 적정화, 학생 중심의 교실수업 개선,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등 공통과목 신설을 통해 문·이과 통합 교육 기반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NCS를 토대로 산업현장 직무중심의 직업교육체제를 구축하여 ‘창의융합력인재’를 육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33].

이러한 목표 실현을 국가에서는 현재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NCS 학습모듈의 내용을 편집하여 교과서로 활용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NCS 학습모듈은 비정기적으로 학습내용의 개선작업을 하고 있는데, 현재 사용되는 있는 헤어 미용 교과서는 2015년에 작성된 학습모듈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헤어 미용 교과서의 수정 보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NCS 직무능력과 현재 발간되어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목표 실현을 국가에서는 현재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NCS 학습모듈의 내용을 편집하여 교과서로 활용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NCS 학습모듈은 비정기적으로 학습내용의 개선작업을 하고 있는데, 현재 사용되는 있는 헤어 미용 교과서는 2015년에 작성된 학습모듈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헤어 미용 교과서의 수정 보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NCS 직무능력과 현재 발간되어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미용산업 분야는 고령화 시대의 도래와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개인의 건강과 아름다움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는 사회에서 헤어 미용, 피부미용, 메이크업, 네일 미용 등의 분야로 소비자의 수요에 맞게 전문 분업화되어 발전하고 있다. 미용분야 교육의 목적은 미용지식, 기능 및 기술을 바탕으로 자기주도적 미용시술 서비스를 담당할 실무전문가 양성을 하는 것이다[34].

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는 보통 교과의 4개 교과 영역과 전문교과로 구분하고 필수 이수단위를 제시해야 하는데[35], 전문교과의 과목에 한하여 증배 운영할 수 있다[36]. 즉, 헤어 미용 관련 고등학교는 자율적으로 헤어 미용에 관련된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익힐 수 있는 수업과정을 계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때 수업과정의 기본으로 활용되는 교과서의 내용은 다른 고등학교에 비교할 경우, 더욱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게 된다.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 4권은 미용 위생관리, 미용 고객관리, 헤어샴푸, 기초 헤어커트, 기초 헤어펌, 기초 헤어컬러, 응용 헤어컬러, 헤어스타일링, 헤어케어 9개의 학습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헤어 미용 교과서에 수록된 NCS 능력단위 해당 항목과 설명내용의 분량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표 6].

표 6. NCS 능력단위 교과서 수록 범위

CCTHCV_2021_v21n5_200_t0006.png 이미지

헤어 미용 교과서는 NCS 능력단위 2수준 10개 분야, 3수준 18개 분야, 4수준 2개 분야, 5수준 1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p.664 중, 두피·모발 관리 11.4%, 헤어 샴푸 10.7%, 베이직 헤어폼 9.7% 순으로 두피·모발관리과 헤어샴푸에 내용이 전체 내용의 22.1%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 NCS 능력단위에 필요한 헤어 미용 역량 분야 중, 20개 능력단위가 교과서에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벗어나는 5수준 10개 능력단위를 제외할 경우, 고등학교 과정 동안 습득 가능한 2∼4수준 능력단위 30개 항목 중 63.3 %에 해당하는 19개 능력단위가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동안 학습 가능한 능력 중 교과서 수록에서 제외된 11개 항목은 다음과 같다. 3수준 능력단위는 ‘헤어 미용 전문제품 사용’, ‘쇼트헤어 커트’, ‘디자인 헤어 펌’, ‘디지털 세팅 헤어펌’, ‘볼륨매직 헤어펌’, ‘베이직업 스타일’, ‘가발 헤어스타일 연출’, ‘디자인 헤어 타투’, ‘미용업 재고관리’이다. 4수준 능력단위는 ‘콤비네이션 헤어 커트’와 ‘미용업 재무관리’이다.

특이한 사항으로는, 고등학교 수준을 벗어난 5수준 능력단위인 ‘고객 불만관리(1201010141_17v4)’가 『헤어미용 Ⅰ』에서 학습모델 ‘미용 고객관리’로 포함되어 있다.

즉,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는 NCS 능력단위를 기준으로 할 경우, 전체 직무능력의 47.5%를 포함하고 있다.

고등학교 과정을 벗어난 능력단위 5수준을 제외할 경우, 교과서의 내용은 습득 가능한 실무능력의 63.3%에 해당하는 헤어미용의 이론적 내용과 실무능력을 다루고 있다.

2. 『헤어 미용 Ⅰ』내용 분석[37]

현행 교과서의 학습목표는 NCS 능력단위에서 요구하는 수행 준거를 차용해서 쓰고 있다. 『헤어미용 Ⅰ』의 교과서는 미용위생관리, 미용고객관리, 헤어샴푸의 3개의 학습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부분은 NCS 능력단위 40개 분야 중에서 6개 분야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이 중 미용고객관리 단원에서는 고등학교 과정에서 벗어난 능력단위 5수준의 ‘고객 불만관리’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표 7].

표 7. 『헤어미용 Ⅰ』교과서 수행 준거 내용분석

2.1 미용 위생관리

‘미용업 안전 위생 관리(1201010101_17v4)는 세부적으로 미용사 위생관리 4개 항목, 미용업소 위생관리 6개 항목, 미용업소 안전사고 예방 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교과서 내용 중 분량적인 부분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수행 준거에 요구되는 지식과 실무에 관한 기술이 다른 단원들에 비해서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4권의 모든 교과서에서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등장하는 사진자료의 선명도와 삽화자료의 질적인 부분이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준에 합당하지 않는 부분들이 있다. 특히 p.71의 ’미용기업의 보건·안전·위험성 평가 체크리스트‘는 선명도가 떨어져서, 그 내용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그림 1].

CCTHCV_2021_v21n5_200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체크 리스트 자료

2.2 고객관리

미용 고객관리 단원은 고객 응대 서비스(12010101 16_19v5), 고객 관계 관리(1201010129_17v40, 헤어 스타일 상담(1201010130_17v4), 고객 불만관리 (1201010141_17v4)로 구성되어 있다.

고객 응대 서비스는 ‘데스크 안내 업무’ 관련 3개 항목, ‘대기 고객 응대’ 3개 항목, ‘고객 배웅’ 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직무수행에 필요한 세부적인 내용까지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고객 관계관리는 ‘고객정보 수집’, ‘고객정보 활용’, ‘고객정보 관리’로 각각 3항목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객정보 수집과 고객정보 관리에 대한 설명의 경우,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데 부족한 측면이 있다. 현재 사용되지 않는 컴퓨터 보안 관련 프로그램 사용법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 사용에 예시로 등장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2014년도 제작된 제품이다. 따라서 이 부분은 현재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업무 관련 프로그램의 소개와 최신 IT 환경을 반영한 내용으로 개정 작업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외에도 p.103, p.119의 사진 자료는 선명도가 떨어져 시각적인 피로도를 느끼게 한다[그림 2].

CCTHCV_2021_v21n5_200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사진 자료

헤어 스타일 상담은 고객 미용 서비스 정보 수집 3개 항목, 헤어스타일 제안 3개 항목, 요금설정 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맵시 제안과 관련해서는 최신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는 시각 자료를 확보하거나 고객의 얼굴형이나 라이프스타일 등을 고려해서 제안할 수 있는 실무능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하다.

고객 불만관리는 불만족 고객 응대 3개 항목, 불만족 고객 처리 3개 항목, 고객 불만관리 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객 불만관리는 NCS 기준 5수준으로 고등학교 범위를 벗어나는 내용이다. 이런 원인으로 인해, 수행 준거에 필요한 정보와 설명이 누락된 부분이 많다. 또한, 제시된 내용 역시 피상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실무에 적용하는데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추후 교과서 개편에서는 이 부분을 제외하고, 능력단위 3∼4수준에서 생략된 직무능력 단위를 교과서 내용으로 수록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3 헤어 샴푸

헤어 샴푸 단원은 헤어 샴푸(1201010156_19v5) 능력단위에 해당하며, ‘헤어 샴푸’ 6개 항목, ‘특수목적 샴푸’ 3개 항목, ‘헤어 트리트먼트’ 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p.217 그림 자료의 선명도와 내용이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준을 고려할 때 미흡한 부분이 있다[그림 3].

CCTHCV_2021_v21n5_200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사진 자료

또한, 실무에 필요한 매니플레이션의 경우, 삽화자료의 내용을 통해서 이론적 지식과 실무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추가적으로 사진 자료를 첨가하거나 QR 코드를 통해 편리하게 동영상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한 모색이 필요한 부분으로 생각한다.

이외에도 전체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전문용어의 표기와 정립에 관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헤어 미용은 ‘hair +美容’으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외국어와 한자어의 복합형태로 전문용어로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문용어가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그리고 외국어로 기준 없이 혼용되어 있어서, 의미 파악이 어렵고 학습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 외국 문물의 유입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과도기 현상으로 이해할 수도 있는 부분일 것이다. 그러나, 외국 미용 분야의 도입이 반세기 지난 현시점에서는 미용산업의 발전과 미용의 학문적 정착을 위해서 전문용어 사용에 관한 정립이 필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헤어미용Ⅰ』의 경우, 헤어 스타일, 커트보, 디지털 세팅기, 라커룸, 클레임, 헤어샴푸, 원에이브러싱, 투웨이 브러싱, 롱헤어 브러싱, 플레인 샴푸, 프리샴푸, 세컨드 샴푸, 에프터 샴푸, 트리트먼트 샴푸, 스페설 샴푸, 드라이 샴푸, 매니플레이션, 에멀전, 위빙 포일 워크, 페이스 라인 등의 전문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단어들의 개념 정립과 표기 방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3. 『헤어미용 Ⅱ』 내용 분석[38]

『헤어미용 Ⅱ』는 ‘기초 헤어 커트’와 ‘기초 헤어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NCS 능력단위 6개가 포함되어 있다. 전체 교과서 내용 중 헤어 미용의 핵심이 되는 능력 단위를 다루고 있는 교과서에 해당한다[표 8].

표 8. 『헤어미용 Ⅱ』교과서 수행 준거 내용 분석

3.1 기초 헤어커트

기초 헤어커트는 원랭스 헤어 커트(1201010128_1 7v4), 그래쥬에이션 커트(1201010131_17v4), 레이어 헤어 커트(1201010132_19v5)로 구성되어 있다. 원랭스 헤어 커트는 ‘원랭스 헤어 커트’ 5개 항목, ‘원랭스헤어 커트 마무리’ 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과서의 구성은 먼저, 단원의 내용설명과 이론적 지식을 기술하고, 실무적인 측면은 사진 자료와 삽화자료를 통해 수행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원랭스 헤어 커트’의 경우, 커트 후 균형 및 완성도를 점검하는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학습 내용이 설명되어 있지 않다. 단원의 제목으로 사용되는 원랭스는 ‘one length’에 대한 표기이다. ‘원랭스’, 또는 도입부 설명에서 ‘원랭스 (one length)’로 표기하는 것이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쥬에이션 커트 단원은 ‘그래쥬에이션 헤어 커트’ 5개 항목, ‘그래쥬에이션 헤어 커트 마무리’ 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쥬에이션 헤어 커트의 5개 항목 중에서는, 가위 또는 클리퍼를 사용하여 아웃라인을 정리하는 내용에 관한 설명이 누락되어 있다. pp.32-34의 삽화자료를 통한 그래쥬이션 커트에 대한 설명은 전체적인 헤어라인의 윤곽을 확인하는데 부족한 측면이 있다[그림 4][그림 5].

CCTHCV_2021_v21n5_200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사진 자료

CCTHCV_2021_v21n5_200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사진 자료

또한 ‘graduation’을 표기하는 과정에서 ‘그래주에이션’과 ‘그래쥬에이션’ 2가지 형태로 표기되어 있다. 동일 단어를 다르게 표기함으로써 서로 다른 개념으로 오인하는 의미적인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레이어 커트는 ‘레이어 헤어 커트’ 4개 항목, ‘레이어 헤어 커트 마무리’ 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단원과 마찬가지로 pp.54-55의 삽화자료를 통한 레이어 커트에 대한 설명은 레이어 커트의 윤곽을 확인하는데 난해한 측면이 있다[그림 6][그림 7].

CCTHCV_2021_v21n5_200_f0006.png 이미지

그림 6. 사진 자료

CCTHCV_2021_v21n5_200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사진 자료

레이어 커트의 과정을 설명하는 사진 자료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데, 이 부분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p.57에서는 ‘레이어’를 ‘레어어’로 표기한 오타가 있다.

기초 헤어커트 단원에서 사용된 전문용어는 원랭스, 헤어커트, 패럴렐, 스패니얼, 아사도라, 보브형, 머시룸 커트, 사이드 커트, 브러시, 레이저, 클리퍼, 유니폼, 그래쥬에이션, 미디엄, 틴닝, 로, 하이, 롤, 레이어, 세임, 스퀘어, 인크리스, 브러쉬, 베이스 등이다. 전문용어 사용과 관련하여 표기 방식과 용어 개념 정립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2 기초 헤어펌

기초 헤어펌은 단원은 베이직 헤어펌(1201010120_ 19v5), 헤어펌(1201010121_19v5), 매직스트레이트 헤어펌(1201010122_19v5)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직 헤어펌은 ‘헤어펌 준비단계’ 6개 항목, ‘베이 직 헤어펌 과정’ 6개 항목, ‘헤어펌 마무리’ 3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직 헤어펌의 내용의 경우, 헤어펌제의 촉진을 위해 가온기나 음이온 장비를 사용하는 열처리 직무능력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이 기술되어 있지 않다. 또한, 모발 사전처리 작업에 필요한 전처리제 도포 및 연화 또는 유화작업 수행에 필요한 내용이 빠져 있다. 와인딩 방법을 설명하는 사진 자료의 배열 상태와 자료의 통일성의 결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베이직 헤어펌 마무리 단원에서도 전체적으로 사전 자료들의 배열 상태와 크기, 선명도가 일정하지 않은데, 학습의 몰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부분에 대한 교정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그림 8].

CCTHCV_2021_v21n5_200_f0008.png 이미지

그림 8. 사진 자료

롤 헤어 펌 단원은 ‘롤 헤어펌’ 5개 항목, ‘헤어펌 마무리’ 3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헤어펌 단원은 웨이브 형성 촉진을 위해 가온기나 음이온기기 등의 사용에 대한 설명과 중화제 처리에 대한 설명이 누락되어 있다. 사전 자료들의 배열 상태와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점은 학습의 방해 요인으로 작용한다.

매직스트레이트 헤어 펌의 내용은 ‘매직스트레이트 헤어 펌’ 5개 항목, ‘매직스트레이트 헤어 펌 마무리’ 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직 스트레이트 펌 의 경우 사후 관리가 중요한데, 이 부분에 필요한 학습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있다. pp.209-210의 ‘헤어폼 고객관리 차트’는 선명도가 떨어져, 내용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정도로 인쇄상태가 불량하다[그림 9].

CCTHCV_2021_v21n5_200_f0009.png 이미지

그림 9. 사진 자료

전문용어 사용과 관련해서는 ‘perm’을 ‘펌’과 ‘파마’ 2가지로 표기하면서 의미적인 혼동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로 인한 문제점은 대표적으로 ‘파마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전문용어를 영어와 한자를 조합한 ‘perm + 紙’ 형태로 사용하는 일차적인 문제점뿐만 아니라, ‘파마지’로 표기하고 있다. 실무능력의 과정과 제품을 설명할 때는 ‘펌(perm)’으로 사용하고 ‘펌(perm)’에 필요한 재료는 ‘파마(perm)지’로 사용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동일한 대상인 ‘perm’을 각기 다른 대상으로 인식하는 오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교과서 내용의 오류 수정과 헤어 미용의 전문화를 위해서 전문용어의 표기와 사용방식에 대한 헤어 미용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외에도 기초 펌 단원에서는 베이직, 헤어펌, 로드, 펌용, 헤어밴드, 클립, 콜드 펌, 헤어펌 제, 블로킹, 섹션, 베이스, 와인딩, 오블롱 패턴 와인딩, 아웃컬 와인딩, 트위스트 와인딩, 패널, 오프 베이스와인딩, 롤 헤어펌, 헤어스타일링, 매직 스트레이트, 플렛 아이론, 컬링아이론, 프레스 등의 전문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4. 『헤어 미용 Ⅲ』 내용 분석[39]

『헤어 미용 Ⅲ』은 염색과 관련된 교과서이다. 학습모 듈명은 기초 헤어컬러와 응용 헤어컬러이며, NCS 능력단위 4개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표. 9].

표 9. 『헤어미용 Ⅲ』교과서 수행 준거 내용분석

4.1 기초 헤어컬러

기초 헤어컬러의 단원은 헤어컬러 분석(120101012 4_17v4)과 베이직 헤어 컬러(1201010125_19v5)으로 구성되어 있다.

헤어 컬러 분석석 단원은 ‘블리치 레벨 차트 만들기’ 4개 항목, ‘헤어 컬러 색상환환 만들기’ 4개 항목, ‘헤어 컬러 보색색 중화하기’ 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원의 핵심 직무능력은 색상에 대한 선명도와 채도 등을 시각적으로 명료하게 구별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원 전체의 사진 자료는 색상의 채도와 명도 및 색상들의 특징을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로 질적인 측면에서 선명도가 낮게 인쇄되어 있다.

베이직 헤어컬러 단원은 ‘베이직 헤어컬러’ 6개 항목, ‘베이직 헤어컬러 마무리’ 3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직 헤어컬러 단원은 염모제의 발색촉진을 위해 가온기나 음이온기기 사용법과 관련된 학습 내용이 설명되어 있지 않고 있다. 염색과정을 설명하는 사진 자료들의 선명도 향상과 일관성 있는 편집작업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21과 p.28 탈색과 헤어컬러 색상의 차이를 구별하는데 기준이 되는 사진 자료는 선명도가 낮아 매우 낮아서 본 단원의 학습자료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한다[그림 10][그림 11].

CCTHCV_2021_v21n5_200_f0010.png 이미지

그림 10. 사진 자료

CCTHCV_2021_v21n5_200_f0011.png 이미지

그림 11. 사진 자료

전문용어의 경우는, 베이직, 블리치, 헤어컬러, 베이스 컬러, 헤어 라인, 언터치, 투터치, 스리터치, 리더치, 리무버, 매니플레이션에 대한 개념 정리와 표기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2 응용 헤어컬러

응용 헤어컬러 단원은 그레이 헤어컬러 (1201010126_17v4)와 디자인 헤어컬러 (1201010137_17v4) 능력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그레이 헤어컬러는 ‘그레이 헤어컬러’ 5개 항목, ‘그레이 헤어컬러 마무리’ 3개 항목으로 구성되며, 디자인 헤어컬러의 내용은 ‘디자인 헤어컬러’ 5개 항목, ‘디자인 헤어컬러 마무리’ 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디자인 헤어컬러 마무리 단원의 경우, 마무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염모제와 염색 방법의 특성을 고려하여 샴푸 순서와 방법을 결정에 대한 설명과 모발보호와 헤어컬러의 지속성을 위해 후처리를 하는 방법들에 관한 내용이 누락되어 있다. 색상의 구별이 중요한 단원임에도 불구하고, p97과 p.100의 삽화 내용과 사진 자료의 낮은 선명도는 학습의 몰입도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그림 12][그림 13].

그림 12. 사진 자료

그림 13. 사진 자료

끝으로, 그레이, 스트랜드, 두피 트러블, 프로세스, 위빙, 슬라이싱, 블로킹, 존, 포일, 발레아주, 네이프, 옴브레 등의 전문용어에 대한 개념 정리와 표기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5. 『헤어 교과서 Ⅳ』 내용 분석[40]

『헤어 교과서 Ⅳ』는 헤어스타일링과 헤어케어로 NCS 능력단위 4개 항목으로 구성된 교과서이다[표. 10].

표 10. 『헤어미용 Ⅳ』교과서 수행 준거 내용 분석

5.1 헤어 스타일링

헤어스타일 단원은 기초 드라이(1201010123_17v4)와 응용 드라이(1201010139_17v4)에 관한 능력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헤어 스타일링은 ‘스트레이트 드라이’ 5개 항목, ‘C컬 드라이’ 5개 항목, ‘S컬 드라이’ 3개 항목, ‘S-S컬 드라이’ 3개 항목의 수행 능력이 요구되는 직무능력이다.

스트레이트 드라이 단원의 경우, 모발 상태와 헤어디자인에 따라 기기의 온도, 각도와 방향, 텐션 등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 기술되어 있지 않다. 기초 드라이와 관련해서는 사진 자료의 편집과 배열에서 일관성이 부족하다. 이러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교과서의 몰입도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pp.41-42의[그림 14][그림 15] 삽화 자료의 내용은 교과서 수준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수정이 필요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그림 14. 삽화 자료

그림 15. 삽화 자료

전문용어와 관련해서는 핸드타입, 스탠드 타입, 드라이어, 아이론, C컬, S컬, S-S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5.2 헤어 케어

헤어케어는 두피·모발 관리(1201010112_17v4)와 헤드스파 케어(1201010140_17v4) 능력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두피 모발 관리는 ‘두피·모발 관리 준비’ 3개 항목, ‘두피관리’ 3개 항목, ‘모발 관리’ 3개 항목, ‘두피·모발 관리 마무리’ 3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피 모발 관리와 헤어스파 케어는 다른 능력단위와 비교해보면, 전문 장비와 제품에 관한 지식과 활용이 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 부부에 대한 설명이 교과서에서 제외되어 있다. 모발 관리, 모발 분석, 그리고 모발 상태에 따른 관리에 사용되는 장비와 기기 사용에 관한 방법과 필요한 제품을 선택하는 실무에 관한 내용이 누락되어 있다. 또한, 모발관리하기 3개 항목의 경우는, 전제 내용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지 않다.

헤드스파 케어는 ‘헤드 스파 케어 준비’ 4개 항목, ‘헤드 스파 케어 실행’ 3개 항목, ‘헤드스파 케어 마무리’ 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헤어 스파케어는 헤드스파 케어는 두피 모발 관리와 마찬가지로 전문 장비와 제품에 대한 설명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단원인데, 전반적으로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부분이 있다.

‘헤드스파 케어 준비’와 관련된 내용에서는 고객 상담 및 두피‧모발 분석 방법, 헤드스파 케어에 필요한 기기, 도구, 제품, 그리고 고객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주변 환경 설정에 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지 않다. ‘헤드 스파 케어 실행’과 관련해서는 수행능력에 필요한 모든 내용이 누락되어 있다. ‘헤어스파 마무리 단계’와 관련해서는, 마무리 세척 후 두피와 모발 상태에 따라 앰플을 사용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지 않다. 전체적으로 사진 자료와 삽화자료가 고등학교 교과서의 내용과 수준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데 p.107은 사진과 삽화가 동일한 내용으로 중복되어 인쇄되어 있다[그림 16].

그림 16. 사진 자료

전문용어의 경우, 스티머, 컨디셔닝제, 스캘프, 샴푸, 테크닉, 백사이드, 네이프, 헤어트리트먼트제, 헤드스파, 케어, 앰플, 랠렉스, 아로마, 페이스라인 등의 용어 정립과 표기 방법에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헤어 교과서 Ⅰ』은 NCS 세부 능력단위 65개 항목 중에서 10개 항목에 대한 설명이 누락되어 있으며, NCS 능력단위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전체 필요한 직무 내용의 85.6%에 해당하는 내용이 설명되어 있다. 『헤어 교과서 Ⅱ』는 NCS 세부능력단위 총 59개 항목 중 9개 항목에 관한 내용이 빠져 있으며, NCS 능력단위를 기준으로 분석해보면 전체 필요한 직무내용의 84.7%에 해당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헤어 교과서 Ⅲ』은 NCS 세부 능력단위 38개 중 3개 항목에 관한 내용이 누락되어 있으며, NCS 능력단위를 기준으로 분석해보면 전체 필요한 직무 내용의 92.1%에 해당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헤어 교과서 Ⅳ』는 NCS 세부 능력단위 39개 항목 중 14개 항목에 대한 설명이 누락되어 있으며, NCS 능력단위 기준으로 분석해 보면 64.4%에 해당하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헤어 미용 교과서는 고등학교 과정을 통해 익힐 수 있는 NCS 2∼4수준 범위를 기준으로 할 경우, 학습 가능한 능력단위의 63.3%에 해당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교과서에 실린 내용들의 경우, NCS에서 요구하는 학습 내용의 81.7%에 해당하는 범위에서 그 내용이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헤어 미용 교과서는 고등학교 과정을 통해 습득할 수 있는 NCS 능력단위를 기준으로 할 경우, 대략 51.7%의 내용만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Ⅴ. 결론

고등학교 교과서와 교과과정은 졸업생들이 산업현장에 취업과 동시에 헤어미용 전문인으로서 실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NCS 능력단위를 기준으로,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헤어미용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교과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과정을 통해 학습 가능한 NCS 능력 단위를 추가하는 방향으로 교과서의 개정 작업이 필요하다. 현재 제외된 항목 중에서, 단계적으로 능력단위 3 수준부터 시작해서 4수준까지 그 내용을 확대해 나가는 방향으로 교과서의 수정과 증보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교과서에 포함된 학습모델 중 누락된 세부 항목과 내용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질적인 측면의 향상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 설명으로 활용된 사진 자료와 삽화자료 의 수정·보완작업과 오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수업의 몰입도 향상과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해서 사진 자료와 삽화자료의 선명도를 높이고 편집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개선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전문용어의 개념 정리와 표기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헤어 미용의 분야는 서구 국가들의 헤어 미용 기술과 제품들의 유입을 통해 형성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입된 어휘들이 무분별하게 사용되면서 동일한 교과서에서도 한 용어를 다르게 표기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헤어 미용 분야의 발전과 학문적인 정립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다섯째, 오타수정이 필요하다. NCS 개발된 학습모듈 자료를 활용하는 편집과정에서 이 부분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교과서에서 제외된 NCS 능력단위를 수업할 수 있는 전문 교과과정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정책적으로 전공과목Ⅱ에 대해서는 학교 재량에 의해 탄력적으로 확대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헤어 미용 전문인 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이 부분에 대한 교육과정의 개설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과서의 발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NCS 학습모듈 개발과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 필요한 사전작업에 해당한다. 전문 헤어 미용인을 양성하는데 필요한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정 및 및 이와 관련된 교육교재를 개발에 요구되는 이론적 근거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연구의 한계로는 실제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생들의 관점을 연구 분석에 포함하지 못한 부분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References

  1. https://www.ncs.go.kr/th01/TH-102-001-01.scdo, 2020.12.10.
  2. https://www.NCS.go.kr, 2020.12.18.
  3. https://core.ac.uk/download/pdf/196224174.pdf. 2020.12.21.
  4.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보고서, 통계청, 2019.
  5. https://kosis.kr/, 2020.12.12.
  6. https://kess.kedi.re.kr/index, 2021.3.26.
  7. 최소빈, 특성화 고등학교의 피부미용 교과서 미용 역사 단원 분석,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8. 현은주, 고등학교 헤어미용 교과서 미용발달사 단원 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9. 황정옥, 특성화 고등학교 피부 미용 교과서 내용 오류 분석,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0. 김윤희, 고등학교 헤어미용 교과서 헤어 커트 단원 오류와 미용 교사의 인지 조사,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1. 양종미, 피부미용 교과서 피부의 이해 단원 오류와 미용교사의 인지 조사,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2. 박경희, 특성화 고등학교 헤어미용 교과서 내용 오류 분석,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3. 서명주, 특성화 고등학교 국정 미용 교과서의 전문용어 사용 실태 분석,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 문혜진, 특성화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의 전문용어 사용 실태 분석, 석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5. 김현숙, 특성화고등학교 피부미용 교과서의 전문용어 사용 실태 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6. 한재숙, 고등학교 네일 미용 교과서 분석연구,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7. 김현희, 고등학교 네일 아트 교과서에 게재된 삽화에 대한 비교분석 및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8. 류니나, 제7차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피부 미용 교과서 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9. 박세실리아, 고등학교 피부 미용 교과서의 내용 구성에 관한 비교.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0. 정소임, 2009개정 제7차 교육과정의 헤어미용 교과서 분석,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1. 김효진, 메이크업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선방안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2. 김규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미용고등학교 메이크업 교과서 비교분석, 석사학위논문,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3. 김단올, NCS능력단위 요소가 헤어미용 교과서에 반영된 내용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24. 류동희, 피부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5. 배세현,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네일 미용 교과서 비교분석,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6. https://www.law.go.kr/, 2020.12.05.
  2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 과정 총론, 교육부, p.38, 2020.11.19.
  28. https://www.NCS.go.kr/unity/th03/NCSResultSearch.do, 2020.12.18.
  29. https://www.NCS.go.kr/th01/TH-102-001-01.scdo, 2020.11.14.
  30. https://www.ncs.go.kr/th01/TH-102-001-02.scdo, 2020.12.28.
  31. https://www.ncs.go.kr/unity/th03/ncsResultSearch.do, 2020.12.01.
  32. 국가교육과정개정개발위원회,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최종안) 개발 연구 보고서, 교육부, 2015.
  3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 과정 총론, 교육부, p.16, 2020.
  34. http://www.ktbook.com/Info/info_01_05.asp,2020.12.10.
  35. 교육부, 미용.관광.레저전문 교과 교육 과정, 교육부 p.60, 2015.
  36.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 과정 총론, 교육부, p.7, 2020.
  3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pp.24-26, 2020.
  3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헤어 미용 I, 교육부, 2019.
  3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헤어 미용 II, 교육부, 2019.
  4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헤어 미용 III, 교육부, 2019.
  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헤어 미용 IV, 교육부,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