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국 치파오 디자인의 문화 차원에서의 특성 분석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Chinese Qipao Design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Level

  • 양베이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 장주영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투고 : 2021.03.05
  • 심사 : 2021.04.14
  • 발행 : 2021.05.28

초록

치파오는 중국의 전통 복식이며, 중국을 대표하는 기호로서 독특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우선 치파오의 개념과 역사적 발전를 개술하며 선행연구를 통해 치파오의 5가지 핵심 요소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문화 차원과 디자인 특징 이론에 기반하여 문화의 외부층, 중간층과 내부층 등 3차원에서 볼 수 있는 디자인 특징을 중심으로 치파오의 5개 핵심 요소가 지니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치파오의 각 요소별 문화차원의 세 가지 층위 간 다양한 발전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치파오가 중국의 전형적인 여성 복식으로서 디자인적으로 다양한 연구 가치를 지녔을 뿐 아니라, 인문적인 의미 및 사회, 경제, 기술, 패션 발전의 다차원적인 정보를 풍부하게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중국 치파오 디자인의 역사와 사회적 가치 및 현대적 의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 전통복식의 현대화를 위한 기초 연구임을 밝혀둔다.

Qipao is a national costume of China and a representative Chinese symbol with unique cultural meanings. This study first outline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history of Qipao, sorts out existing literature, and summarizes the five elements of Qipao through previous study. Then, based on the theory of cultural levels and design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levels of the outer level, middle level and inner level of culture, it analyzes the specific meaning of the five elements of Qipao. Through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development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levels of culture for each element of Qipao. Through the study, it is found that Qipao, as a typical Chinese dress, not only has the research significance of design, but also has rich cultural connotations and diversified information on social, economic, technological, and fashion development. This study can enable us to fully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social value and modern significance of the Chinese Qipao, and can provide basic data for fashion design researchers.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hinese clothing.

키워드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중국 전통 복식은 수천 년의 발전을 거치며 다양하고 심오한 복식 문화 체계를 형성하였다. 전통 복식은 끊임없이 현대화되고 새롭게 창조되고 있으며, 이로써 그 의미는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사회와 역사 상황과 관련을 맺는다[1]. 어떤 사회에서도 복식과 문화의 변화는 함께 이루어진다. 기술, 정치, 사회와 경제의 발전은 관련한 문화에 오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변화는 사람들의 복식에 반영될 수 있다[2]. 치파오는 중국의 대표적인 여성 전통 의상이다. 치파오의 발전은 문화의 변화를 반영한다. 그러나 현재의 치파오 연구들은 치파오의 구성 요소에 대해 문화적 디자인의 관점에서 진행된 종합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사물의 세 층위와 디자인 특징 이론에 기반하여 문화의 외부층, 중간층, 내부층, 세 가지 차원의 함의를 고려하고, 요소 간의 관계, 그리고 각 요소의 세 가지 층위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치파오의 역사와 사회적 가치 그리고 현대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전통 복식의 현대화를 위한 기초 연구임을 밝혀둔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에서는 문헌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해 치파오 디자인의 핵심 요소을 도출하였다. CNKI1)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 220 편의 중국 ’핵심 논문’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내용 확인을 통해 본인의 연구 내용과 관련성이 높은 논문 12개를 추리고, 이어 논의의 핵심이 되는 3개 논문의 내용을 기초로 치파오 디자인의 핵심 요소 5개를 도출하는 과정을 거쳤다. 치파오의 다섯 가지 핵심 요소는 다양성, 전승성, 융합성, 상징성, 민족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문화와 문화적 디자인 특성 이론을 바탕으로 문화의 외부층, 중간층과 내부층 세 가지 차원의 함의에 기반한, 치파오의 구성 요소 분석을 위한 틀을 구축하였다. 이후 중국의 복식 박물관과 전문 서적을 통해 치파오의 이미지 자료를 수집하고, 이미지 자료를 각종 자료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각 요소 간의 관계와 요소별 세 가지 차원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중국 치파오의 개념

‘치파오’는 영어로 Qipao이라 번역한다[3]. 치파오는 중국에서 1920년대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여성복이다. 치파오는 중국 고대 포복(袍服)과 청나라 기녀지포 (旗女之袍)와 서양 복장의 구조를 참고하여 디자인되고 형성된 새로운 여성 복장이다. 치파오는 중국의 전통적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서양 복장 디자인 관념을 받아들여 ‘중국 예복’이라고 불린다. 치파오는 상의와 하의가 연결된 원피스 형식의 의상이며, 우임여밈 (右衽開襟), 세운 옷깃, 매듭단추, 옆선 트임, 옷감 한 장, 몸판과 연결된 소매, 평면 재단 등의 외관적 특징을 지닌다[4][그림 1].

CCTHCV_2021_v21n5_90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치파오의 구성[5]

2. 치파오의 역사적 발전

치파오는 청나라의 기녀지포, 민국 시대의 신식 치파오와 당대의 패션 치파오 등 세 발전 시기를 거쳐왔다[6]. 의상의 스타일은 사회의 발전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시기별로 다양한 조형의 특징을 나타낸다.

2.1 청나라의 기녀지포

포복은 중국 고대의 주된 복식양식이다. 포복은 한나라 때부터 조복(朝服)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시대마다 포복의 양식에는 차이가 있지만, 몸판이 넉넉한 장포 (长袍)라는 점은 공통적이다. 그러나 요(遼, ), 금(金), 원 (元), 청(清) 등 소수 민족 정권의 통치 시기에 포복 양식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좁는 모습을 보인다.

청나라 복식 중 기녀지포는 치파오의 초기 형태이다. 1644년 청나라 만주족 귀족은 전국적으로 다민족을 통치하는 체제를 구축했다. 청나라 정권이 안정되어감에 따라, 정부는 복제 개혁을 강행하기 시작했고, 한족의 복식 대신 만주족 복식을 따르도록 요구하는 동화 정책을 펼쳤다. 그와 동시에 한족 복식 역시 만주족 복식에 영향을 미쳤다[표 1]. 기녀지포 중 세운 옷깃 디자인은 바로 만주족 복식이 한족 복식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예이다[7]. 그밖에 기녀지포는 한족 복식 중 자수 공예를 도입하여, 몸판과 의상 가장자리의 장식 문양이 복잡하게 바뀌었다. 청나라의 기녀지포는 만주족과 한족 복식 문화가 융합한 산물이다. 이처럼 민족 복식의 융합 현상은 치파오가 전국적으로 유행하는 토대가 되었다.

표 1. 만주족의 기녀지포와 녀포, 한족의 녀저고리[8]

CCTHCV_2021_v21n5_905_t0001.png 이미지

2.2 민국 시대의 신식 치파오

1911년 이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 통치는 막을 내리고 중화민국이 들어섰다. 이에 따라 정부는 복제 개혁을 추진하며, 청나라의 복식 등급제도를 폐지하였다. 전통적인 기녀지포는 사람들의 일상에서 점차 사라져갔다. 1912년~1919년은 기녀지포에서 민국 시대 신식치파오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시기이다. 예의, 계급을 핵심으로 하는 중국의 복식문화는 점차 심미, 개성을 기본 이념으로 하는 신식 복식 문화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여성들은 신체적 해방을 추구하기 시작했고 여성의식이 점차 강해졌다. 청나라 복식의 복잡한 장식 풍이 점차 사라지고, 스타일이 간결해지기 시작했으며, 이는 민국 시대에 유행한 신식 치파오의 토대가 되었다.

1926년 상하이에서 ‘치파오’라는 명칭이 자리를 잡았다[9]. 1920년대 초, 상하이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긴 조끼를 도대수(倒大袖) 저고리 겉에 받쳐 입는 스타일이 유행하였다. 1926년 긴 조끼와 짧은 솜저고리가 원피스 형태로 합쳐지며 조끼 치파오가 탄생하였다[표 2]. 조끼 치파오는 민국 시대에 등장한 신식 치파오의 초창기 스타일이다. 도대수 치파오는 허리 부분이 비교적 넉넉하고, 직선 재단, 발등까지 오거나 종아리를 드러내는 짧은 길이, 비교적 여유 있는 소맷부리, 팔꿈치까지 오는 소매길이, 약간 넉넉한 원피스 등을 특징으로 한다.

표 2. 마갑 치파오의 구성[10]

CCTHCV_2021_v21n5_905_t0002.png 이미지

1930~1940년대는 치파오 조형이 안정화된 시기이며, 치파오는 상하이에서 전국 각지로 퍼져나갔다. 이 시기에 패션 산업이 점차 발전하면서 치파오는 더욱 현대적이고 세련된 스타일로 다채롭게 변화하였다[11]. 1930년대 후반, 상하이에서 일종의 ‘개량 치파오’[그림 2] 가 등장했다. 개량 치파오는 재단 방법에서 의상의 구성에 이르기까지 모두 서구화되었다. 개량 치파오는 가슴 다트와 허리다트를 사용하여 기존 치파오의 평면적인 형식에서 탈피하였다. 이 시기 서구식 의류 제작기술이 중국에 도입됨에 따라 어깨다트와 서양식 소매 등이 등장하면서 어깨 부위와 겨드랑이 아랫부분이 모두 몸에 맞게 변형되었다. 개량 치파오의 등장은 현대 치파오 조형에 토대를 마련했다. 이로써 치파오는 기녀지포의 구식 형태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CCTHCV_2021_v21n5_90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1930연대 개량 치파오[5]

2.3 당대의 패션 치파오

1949년 민국 시대가 막을 내리고 신중국이 출범하였다. 1950년대에서 1970년대 말까지 복식에는 정치적 의미가 다분했다. 노동자, 농민, 군인의 이미지는 이 시기의 주류를 이룬다[12]. 이 시기의 치파오는 구사회 생활의 산물로 여겨져 중국 대륙 지역에서는 좀처럼 등장하지 않았다.

1978년 이후 중국이 개혁개방 정책을 시행하여 사회경제의 발전을 촉진하였으며, 사람들의 사상 관념 또한 개방되었다. 그에 따라 지난 30년간 구사회 생활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치파오가 다시 사람들의 생활 속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나 여성들이 젊고 활기찬 캐주얼룩을 더욱 선호한 탓에 단정하고 우아한 치파오는 크게 유행하지 못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국가가 전통 복식 문화의 부흥을 주창하면서 많은 중국 디자이너들이 세운 옷깃, 여밈, 휘갑치기 등 치파오의 조형 요소들을 패션 디자인에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치파오로 대표되는 중국전통 복식 문화를 널리 알리는 데에 기여하였다.

20세기 말부터 치파오는 더욱 패션과 민족화되었으며, 여성들이 공연, 결혼식 등을 차려야 하는 자리 등 특별한 장소에서 치파오를 입는 경우가 많아졌다.

CCTHCV_2021_v21n5_905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중국 전통 여성복 발전의 타임라인

출처 : 목애리, 중서 역대 복식 도서, 광동 과학 기술 출판사, 2000

3. 문화 및 문화 디자인 특성 이론

3.1 문화의 3차원

하나의 문화가 유기적인 실체로 받아들여질 때, 이는 3가지 성격을 지닌다. 1) 물리성이나 물질성, 2) 사회성, 3) 정신성이 그것이다[13]. Leong 의 이론에 의하면 문화의 측면은 3개 차원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외부의 유형적 차원으로 실물의 물리성과 물질성을 포함하며, 이들은 디자인 스타일로 전환된다.

두 번째 중간의 행위적 차원은 사회적 교류 관계를 포함하며, 인위적 제품 사용이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 전환된다.

세 번째 내부의 무형적 차원은 정신적 측면을 포함하며, 인위적 제품에 대한 감정으로 전환된다. [그림 4] 이들 차원은 기호, 기능과 미학 등 디자인의 핵심 속성으로 구성된다[14].

CCTHCV_2021_v21n5_905_f0007.png 이미지

그림 4. 디자인과 관련된 문화적 차원 (Leong and Clark, 2003)

3.2 감성 디자인의 3층위

한편 Norman, D.A.의 감성 디자인의 3개 층위 분류와 그 특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고 하였다.

1)본능적 층위에서는 제품의 외관에 의식적으로 반응한다.

2)행동적 층위에서는 제품을 의식적으로 사용하고 체험한다. 제품의 기능과 유용성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3)반성적 층위에서는 제품에 대한 감정과 인지 반응 등을 해석하고 이해한다. 개인의 기억과 체험이 여기에 해당한다[15][그림 5].

CCTHCV_2021_v21n5_905_f0004.png 이미지

그림 5. 감성 디자인의 3층위(Norman, D.A. 2004)

3.3 문화적 사물 3층위와 디자인 특성 모델

디자인 분야에서 문화와 디자인 간의 공생관계는 상호 복제와 공존의 힘을 지닌다는 사실로 이미 논의된바 있다. 이러한 관계는 “디자인은 문화를 변화시키는 동시에 그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말로 정의된다[16]. 문화의 3개 차원은 디자인 특징의 3개 층위로 전환될 수 있다. 본능적 디자인, 행위적 디자인과 반성적 디자인이 이에 해당한다. 문화의 3개 차원은 각각 3개의 디자인 특징을 지닌다. 첫 번째는 내부 단계로 여기에는 이성적 인지, 스토리, 감정과 문화적 특징이 포함된다. 두 번째 중간 단계는 기능, 유용성, 안전성과 편리성이 포함된다. 세 번째 외부 단계는 외관, 형태, 색상, 질감, 무늬와 디테일 등이 포함된다[17][그림 6].

CCTHCV_2021_v21n5_905_f0005.png 이미지

그림 6. 문화적 사물의 3층위와 디자인의 특성 모델 (R.Lin, 2007 재인용)

문화적 사물의 세 층위와 디자인 특징 모델은 치파오 디자인에 대한 분석 틀이 된다. 이 틀에 따르면 문화적 사물에 관한 인지는 ‘외부'에서 '내부'로 전환되어야 한다. 또한, 치파오의 역사적 발전에 관한 연구를 통해 치파오의 발달이 문화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따라서 문화적 사물의 세 층위와 디자인 특징 모델은 치파오의 구성 요소를 역사적 발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4. 선행연구 고찰

CNKI에서 치파오 관련 논문의 검색결과 220 편의 중국 ’핵심 논문’을 찾았고, 그중 본 연구와 관련된 문헌은 총 92편이었다. 세부내용 확인을 통해 12편의, 인용률이 높고, 본 연구와 관련성이 높은 논문을 아래와 같이 추릴 수 있었다.

표 3. 문헌 정리

CCTHCV_2021_v21n5_905_t0003.png 이미지

Ⅲ. 치파오 디자인의 문화 차원 특성 분석

1. 치파오의 핵심요소 도출

위 선행연구 12편, 핵심 논문의 내용분석을 통해 본 주제는 기준이 되는 3편의 논문으로 집중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볜샹양, 포밍신, 최영영의 세 논문이 대표성을 띄고 있어, 이들 문헌의 내용을 중심에 두고, 분석하여 치파오 디자인의 핵심 요소를 종합 도출하였다.

볜샹양은 2003년 발표한 논문 ‘치파오 유행의 기원을 논한다’에서 초창기 치파오의 구성은 전통 의상의 맥락을 이어갔다고 지적하였다. 치파오는 중국적 특색과 시대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다. 치파오는 중국 전통 의상의 대표이자 중국과 서양의 융합을 보여주는 디자인의 전형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관점을 전승성, 상징성과 융합성으로 정리하였다.

최영영은 2014년 발표한 논문 ‘민국 시대 한족 여성복의 추이와 사회변천’에서 치파오는 민족적 기호의 성격을 띤 의상이며, 스타일 면에서 ‘중국과 서양문화가 혼재’된 새로운 패션을 선보였다고 주장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관점을 민족성과 융합성으로 정리하였다.

포밍신은 2000년 발표한 논문 ‘20세기 상반기의 해파이 치파오’에서 사회환경과 서구 문화의 영향을 받아 치파오의 스타일에 끊임없이 변화가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관점을 융합성, 다양성으로 정리하였다.

이상에서 언급한 3편의 문헌으로부터 다양성, 전승 성, 융합성, 상징성, 민족성 등 치파오의 5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밖에 기타 학자들의 연구에서도 이 5가지 요소를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5 가지 요소를 치파오의 핵심 요소로 정의한다[표 4]. 이어서 아래와 같이 문화적 사물의 세 층위와 디자인 특성 이론에 기초하여 문화 차원에서 외부층, 중간층, 내부 층의 세 층위와 치파오 디자인 특징을 고려한 치파오의 5가지 핵심 요소를 기반으로 치파오 디자인의 분석을 위한 틀을 구축하였다[그림 7]. 위 문헌에서 도출한 치파오의 핵심 요소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 4. 치파오의 5가지 핵심 요소 개념 설명

CCTHCV_2021_v21n5_905_t0004.png 이미지

CCTHCV_2021_v21n5_905_f0006.png 이미지

그림 7. 분석 프레임

2. 치파오 디자인의 문화 차원의 특성 분석

본 연구는 중국의 박물관 사이트와 서적으로부터 민국 시대와 당대의 치파오 사진을 수집하고, 내용분석법에 근거하여 귀납 및 정리를 진행하였다[18]. 외부층, 중간층과 내부층 등 3가지 문화 차원에서 치파오의 5가지 요소를 분석하고, 치파오의 디자인 특징과 문화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2.1 다양성

(1) 외부층

문화 차원에서 외부층의 디자인 특징은 디자인 스타일에 표현된다. 청나라의 기녀지포는 치파오의 초기 형태이다. 치파오의 폭이 넓고 평평하며 가장자리 장식이 복잡하였다[표 5].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사회환경의 변화로 인해 치파오의 스타일에도 끊임없이 변화가 일어났다[19]. 1920년대 치파오는 도대수 스타일 위주로, 치파오의 허리둘레가 비교적 여유로웠다. 1930년대 치파오의 허리둘레는 좁아졌고, 전체적인 조형은 더욱 몸에 맞게 변한다. 1940년대에는 치파오의 치맛자락이 좁아졌다[표 6]. 21세기에 접어든 후 시장경제의 영향을 받아 치파오의 디자인 스타일은 패션화 경향을 나타낸다[표 7]. 중국 전통문화를 치파오 디자인에 접목하는 시도가 당대 패션 치파오 디자인의 발전 방향이 되었다. 시기별로 치파오의 형태, 문양, 색상, 원단에도 다양한 특징이 나타난다.

표 5. 청나라 기녀지포의 주요 특징[10]

CCTHCV_2021_v21n5_905_t0005.png 이미지

표 6. 민국 시대 신식 치파오의 주요 스타일 특징[8]

CCTHCV_2021_v21n5_905_t0006.png 이미지

표 7. 당대 패션 치파오의 주요 스타일 특징[20]

CCTHCV_2021_v21n5_905_t0007.png 이미지

(2) 중간층

문화 차원에서 중간층의 디자인 특징은 주로 사용성에 있다. 1920년대 이후 치파오는 사회적으로 널리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신분의 여성들이 각각의 장소에서 서로 다른 스타일의 치파오를 입었다[21]. 예를 들어 일반 여성들은 스타일이 간결한 치파오를 입었는데, 그 원단은 대부분 면 린넨 직물을 사용했다. 한편 지체 있는 규수들은 일반적으로 고급스러운 실크로 만든 치파오를 입었다. 치파오 디자인은 예술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사용성까지 고려하였다. 예를 들어 신축성 있는 원단을 사용하여 활동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었다. 치파오의 다양한 디자인 스타일 덕분에 장소와 작업 환경에 따라 적합한 치파오 착용이 가능해졌고, 이로써 지위와 신분에 따른 여성의 옷차림 수요를 충족할 수 있었다.

(3) 내부층

문화 차원에서 내부층의 디자인 특징은 주로 문화적 특징으로 나타난다. 시대의 경계선은 복식 스타일의 경계선과 거의 일치한다[22]. 치파오 스타일의 변화는 역사시기 및 인문 환경과 관련이 있다. 민국 시기 출범 후, 여성들은 청나라의 봉건적 전통 관념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와 해방을 맞이했다. 청나라의 복잡한 장식 스타일 포복은 점차 사라지고, 간결한 스타일의 치파오가 민국 시기 여성복으로 크게 유행하였다. 그밖에 서구 심미관의 영향을 받아 몸매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새로운 심미 관념이 치파오 조형에 표현되었다. 글로벌 시대를 맞은 오늘날 치파오 디자인은 더욱 패션화되고 다양화되고 있다. 아울러 치파오는 중국전통문화를 알리는 매개체로 자리잡았다[표 8].

표 8. 치파오 다양성에 대한 디자인 특성

CCTHCV_2021_v21n5_905_t0008.png 이미지

2.2 전승성

(1) 외부층

문화 차원에서 외부층의 디자인 특징은 주로 치파오 기본구성의 전승성에서 나타난다. 1920년대는 치파오가 유행한 초창기이다. 당시 치파오의 구성은 중국 전통 의상 조형의 맥락을 이어받아[4], 십자형 평면구성을 지녔다. 옷 앞면과 뒷면의 중심선을 중심축으로 하고, 어깨와 소매의 선을 수평축으로 하며, 옷 앞면과 뒷면은 하나의 원단을 사용해 통으로 재단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청나라 말기 포복 역시 십자형의 평면구성이며, 이는 중국 전통 한족 의상의 기본구성과 일치한다. 치파오가 유행하기 시작한 초창기에 그 기본 구성은 중국의 전통적인 십자형 평면구성을 따랐다. 그밖에 당시 유행한 치파오는 앞섶이 우임(右衽)으로 되어 있다. 이는 중국 전통 의상의 우임여밈을 계승한 형태이다. 1920년대 유행한 치파오의 전체적인 조형 구성은 중국 전통 의상의 구성을 계승하였다[표 9].

표 9. 치파오가 유행한 초창기의 기본구성[23]

CCTHCV_2021_v21n5_905_t0009.png 이미지

(2) 중간층

문화 차원에서 중간층의 디자인 특징은 주로 편리성에서 나타난다. 치파오는 십자형 구조의 일체형 원피스이다. 치파오 착용 방식은 편리성이 높다[24]. 중국 전통 의상 조형의 십자형 구성은 재단기술 면에서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하기에 편리하다. 십자형 의상 구조는 옷깃을 중심으로 소매와 옷 앞뒷면 사이의 각도 변화를 통해 의상의 전체적인 조형 구조를 디자인한다. 십자형구성으로 몸에 맞는 옷을 만들어내는 치파오는 전통 의상 제작의 기술이 계승되고 발전된 결과물이다.

(3) 내부층

문화 차원에서 내부층의 디자인 특징은 주로 문화적 특징에서 나타난다. 전통 복장의 십자형 구조는 중국 도가 문화의 ‘천인합일’이라는 미학 사상을 계승한 것이다[23]. 치파오는 한 장의 원단을 통으로 재단하여 통일적이고 조화로운 미감을 표현하며 ‘천인합일’의 통합성을 전달한다. 의도적인 강조 없이, 단순한 선을 통해 중용의 부드러운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도가는 자연으로의 회귀를 통해 ‘만물과 자아가 하나가 되는’ 정신적 경지를 추구한다. 전통 치파오의 디자인은 매우 넉넉하며, 사람과 의상 사이에 커다란 ‘내부공간’이 존재하여 외부적인 조건으로부터 신체가 받는 제약이 매우 적다. 이처럼 신체가 제약을 받지 않고 편안하며 자유로운 느낌을 갖춤으로써 도가에서 말하는 ‘천인합일’의 취지를 구현해냈다[표 10].

표 10. 치파오 전승성에 대한 디자인 특징

CCTHCV_2021_v21n5_905_t0010.png 이미지

2.3 융합성

(1) 외부층

문화 차원에서 외부층의 디자인 특징은 치파오의 조형 구성이 동서양 의상의 조형 기술을 융합한 데 있다[25]. 중국 전통 의상은 조형이 여유롭고 선이 곧은 2차원 평면구성에 속한다. 서구의 의상 재단은 입체적인 곡선 재단에 속하며, 의상의 재단과 제작 과정에서 입체적인 조형 효과를 강조한다. 1920년대, 유행 초기의 치파오는 중국 전통 의상의 폭이 넉넉하고 선이 곧은 특징을 이어받았다. 1930년대 이후, 가슴다트, 허리 다트, 어깨다트, 지퍼 등 서구 조형 기술을 도입하면서 치파오는 더욱 몸에 맞게 변한다. 이러한 구조의 변화로 인해 치파오는 2차원의 평면구성에서 3차원 입체구성으로 전환되었다[표 11].

표 11. 치파오 구성 특정[25]

CCTHCV_2021_v21n5_905_t0011.png 이미지

(2) 중간층

문화 차원에서 중간층의 디자인 특징은 기능성에 있다. 우선, 치파오는 유행 초기에 동복으로 사용되었으며, 보온의 실질적인 기능을 갖추고 있다[26]. 중국 전통 여성복의 형식은 서구 문화의 요소로부터 영향을 받아 갈수록 몸에 꼭 맞는 스타일로 변해갔다. 몸에 맞는 의상은 추운 겨울 찬 바람을 막아주어 건강을 지켜주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통적인 의복은 지나치게 폭이 넉넉하여 원단 소모가 필요 이상으로 많고, 이로 인해 경제적인 낭비를 초래하는 측면이 있다[27]. 기녀지포는치파오의 초기 형태로서, 폭이 넓고 많은 원단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몸에 꼭 맞는 치파오는 소량의 원단만을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낭비를 막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3) 내부층

문화 차원에서 내부층의 디자인 특징은 주로 문화적 특징에서 나타난다. 20세기 이래 동서양의 무역과 교류로 인해 서구 문화가 점차 중국 사회로 유입되었고, 중국 여성의 복식 스타일도 서구 패션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28]. 서구 패션 문화에서 중요한 관념은 몸매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심미관이며, 이를 통해인본적인 정신을 표현하고자 한다. 서구 심미관과 현대사조의 영향을 받아, 서구 패션의 길고 가는 조형, 허리선을 낮추고 옷길이를 줄이는 심미적 관념이 동시대 중국 치파오 디자인에도 반영되었다[표 12].

표 12. 치파오 융합성에 대한 디자인 특징

CCTHCV_2021_v21n5_905_t0012.png 이미지

2.4 상징성

(1) 외부층

문화 차원에서 외부층의 디자인 특징은 치파오 실루엣의 변화에 담겨 있는 상징적 의미에서 드러난다. 초창기 치파오는 중국 전통 의상의 형태를 이어받아, 구성 형식이 평면적이고, 몸매를 드러내는 것을 중요시하지 않았다. 민국 시기에 이르러 개방적인 사회 풍조와 서구 패션의 입체적 조형 기술의 영향을 받아 치파오의 외적 실루엣 조형은 끊임없이 변화하였고, 전통적인 ‘A’ 형에서 ‘H’형을 거쳐 ‘X’형으로의 전환을 완성하였다. 1930년대 이후 치파오는 줄곧 ‘X’형의 실루엣 조형을 따랐다[표 13]. ‘X’형 치파오는 몸판이 몸에 맞게 몸에 밀착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써 중국 여성의 우아한 몸매를 잘 표현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이처럼 몸에 꼭 맞고 옆솔기 트임과 세운 옷깃을 갖춘 의상은 중국 여성의 상징이 되었다[29].

표 13. 치파오의 실루엣 변경[8]

CCTHCV_2021_v21n5_905_t0013.png 이미지

(2) 중간층

문화 차원에서 중간층의 디자인 특징은 사용성에 있다. 치파오가 문화 기호로서 지니는 상업적인 역할은 문화 요소를 가미한 상업 행위, 상품의 소비과정을 거치며 문화 정보를 전파하는 역할로 변모하였다[30].

현대 사회에서 치파오의 소비과정은 문화 기호와 상징적 의미를 전달하는 과정이 되었다. 여성은 치파오를 구매하고 착용하는 과정에서 치파오로 대표되는 중국 복식 문화를 전하고 이와 관련한 갖가지 상상을 떠올린다. ‘X’자형 치파오는 중국 여성의 체형미를 매우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표출함으로써 여성스러우면서도 우아한 이미지를 연출한다.

(3) 내부층

문화 차원에서 내부층의 디자인 특징은 주로 문화적 특징으로 나타난다. 치파오는 그 발전 과정에서 여성의 신체적 해방을 상징하며, 이는 정치와 사회 환경으로까지 연결되었다[31]. 민국 시대 이전 중국의 전통적인 심미관의 영향을 받은 여성복은 몸매를 감추는 것을 미덕으로 삼았다. 중국 전통 사상은 몸매를 드러내는 것은 예의에 맞지 않는 것으로 간주했다. 민국 출범 후 중국 사회에는 여성 학교가 들어서고 여성 운동의 물결이 일어났다. 여권 운동가와 도덕 재건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여성의 미모, 진솔함, 희생을 강조하였다[32]. 진보적인 여권 운동가들은 자연미를 추구하는 심미관을 주장하였다. 자연미는 여성의 가장 자연스러운 본연의 모습을 중요시하였다. 여권 운동가들은 단순하고 소박한 복식이야말로 여성의 간결하고 자연스러운 아름다움과 자연으로 회귀한 본질을 돋보이게 한다고 주장했다[표 14].

표 14. 치파오 상징성에 대한 디자인 특징

CCTHCV_2021_v21n5_905_t0014.png 이미지

2.5 민족성

(1)외부층

문화 차원에서 외부층의 디자인 특징은 치파오 조형과 장식 디테일의 민족성으로 나타난다. ‘치파오’는 일종의 비언어적인, 구조화된 중국 문화 기호이다. 중국전통 민속문화 중 ‘길상관’은 치파오의 무늬로 구현된다[33]. 치파오의 무늬 디자인에는 중국의 전통적인 민족요소를 담은 문양이 다수 사용되었다. 여기에 활용된 소재는 봉황, 백합, 모란 등 범위가 넓다[표 15]. 문양은 행복한 삶을 향한 사람들의 동경을 표현하며, 중국 전통문화 관념 및 특유의 민족적 정서를 나타낸다. 치파오를 만드는 과정에서 중국의 전통적인 ‘테를 두르기, 해리박기, 휘갑치기, 끌기(宕), 매듭, 자수’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민족적 특색을 한층 더 살렸다[표 16].

표 15. 치파오 문양에 담긴 의미[8]

CCTHCV_2021_v21n5_905_t0015.png 이미지

표 16. 치파오의 전통 수공예 기술[34]

CCTHCV_2021_v21n5_905_t0016.png 이미지

(2) 중간층

문화 차원의 중간층 디자인 특징은 사용성에 있다. 어빙 고프먼은 ‘인상 관리’ 이론에서 “세상은 하나의 무대이며, 무대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서의 민족 복식은 ‘겉모습’에서 중요한 기호의 역할을 담당한다. 사람은 복식을 통해 상호 작용하며, 동시에 ‘상황’과 ‘거동’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아 이 무대의 전면에서 다양한 행동을 표현하고, 사람들은 이것들을 이용해 상황에 대한 정의를 컨트롤한다.”고 주장했다[35]. 치파오는 특유의 민족문화 기호로서 사회적 기능을 지닌다. 치파오는 중국민족의 여성의상으로서, 특정한 행사장소에서 민족 감성을 표현할 수 있다. 치파오를 입는 것은 중국 의례 문화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중국과 세계 각국 및 지역의 우호적인 교류 활동이 빈번해짐에 따라 치파오는 중국의 대형 축제, 문화 교류, 무역 교섭 등 장소에서 필수적인 복식 중 하나가 되었다.

(3) 내부층

문화 차원에서 내부층의 디자인 특징은 주로 문화적 특징으로 나타난다. 치파오는 역사와 문명의 발전 과정에서 탄생하여 민족의 신앙, 민족의 자존감과 심리적 의지처를 융합한 산물이다[36].

치파오는 중국 전통문화 정신을 이어받아, 사회적 민족 감정의 수요에 부응한다. 유가 사상은 중국 민족 문화 발전을 이끌어왔다. 그리하여 유가 사상 역시 복식문화에 반영되었다. 치파오의 전통 수공 기법은 평온하고 정교하며 함축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이는 중국 유교 문화의 "안정"과 "조화" 정신에 부합한다. 치파오는 서구 여성 복식의 뚜렷한 개성과 달리 동양 여성의 진중하고, 은근하고, 온유한 성격을 표현하였다.

지금까지 “치파오는 중국의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복”이라는 관점은 세계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표 17].

표 17. 치파오 민족성에 대한 디자인 특징

CCTHCV_2021_v21n5_905_t0018.png 이미지

3. 소결

이상 다양성, 전승성, 융합성, 상징성, 민족성이 치파오의 5가지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문화적 사물의 3차원과 디자인 특징 모델에 기반하여 치파오의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문화 차원에서 치파오의 외부층의 디자인 특징은 주로 형태, 문양, 질감, 색채, 디테일 등 다섯 가지 측면에서 중간층의 디자인 특징은 기능성, 사용성, 편리성 등 세 가지 측면, 그리고 내부층의 디자인은 주로 문화적 특징에 주목하였다[표 18].

표 18. 중국 치파오 디자인의 문화 차원에서의 특성 분석

CCTHCV_2021_v21n5_905_t0017.png 이미지

연구를 통해 치파오의 각 요소별 문화 차원의 세 가지 층위 간 깊은 수직적 발전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외부층의 시각적 특징은 중간층의 행위적 특징과 내부 층의 정신적 특징을 반영한다.

한편, 치파오의 다섯 가지 요소 간에는 수평적인 관계가 존재한다.

치파오는 청나라의 기녀지포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후 서구식 복식 문화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조형 구조를 형성하였다.

Ⅳ. 결론

이상 정리하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치파오의 5가지 핵심 요소를 도출하여, 문화 차원과 디자인 특징 이론에 기반한 이론적 분석 프레임을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하여 문화의 외부층, 중간층과 내부 층 등 3가지 차원에서 치파오의 핵심요소를 분석하고, 치파오의 디자인 특징과 문화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치파오가 중국의 전형적인 여성 패션으로서 디자인적으로 다양한 연구 가치를 지녔을 뿐 아니라, 인문적인 의미 및 사회, 경제, 기술, 패션발전의 다차원적인 정보를 풍부하게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치파오의 외부 조형 디자인의 특징은 시대의 발전에 따라 변화를 겪으며, 시대에 따른 여성들의 심미적 수요를 충족해왔다. 치파오 조형 디자인의 발전을 살펴보면, 수직적으로는 중국 전통복식의 평면구조 전승으로 이루어졌고, 수평적으로는 서구 의류 조형 기술의 융합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는 여성의 심미적 의식이 점차 다원화되었음을 나타낸다.

두 번째, 치파오의 기능성, 편리성, 사용성 등 특징은 다양한 사회 행동적 의미를 담고 있다. 치파오는 보온성, 신분식별, 탈착용의 편리함, 경제성 및 실용성 등 의류의 기본 기능을 갖추었다. 치파오의 소비과정은 문화기호 및 상징적 의미의 표현 과정이다. 치파오는 또한 중국 민족 의례 문화의 매개체가 되었다.

세 번째, 치파오는 중국의 독특한 인문 정신을 담고 있다. 개량 치파오는 평등과 신체 해방을 추구하는 여성의 사상과 관념을 대변한다. 치파오는 또한 중국 도가 문화의 ‘천인합일’의 미학적 사상과 유가 문화가 주장하는 ‘안정’과 ‘조화’의 정신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상 치파오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앞으로도 중국 전통 복식문화가 시대의 변화와 발전에 따라 끊임없이 새로운 의미의 내포와 함께 새로운 형식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통 복식문화와 현대 패션디자인이 연결되려면 끊임없이 새로운 디자인 사고방식으로 전통문화 요소와 다양한 현대문화 언어를 융합하고 재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여 치파오의 디자인 특징은 이미 당대 ‘중국풍’ 패션디자인의 주된 요소가 되었다. 계속해서 당대 ‘중국풍’ 패션디자인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중국 전통문화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해 나가고자 한다.

참고문헌

  1. S. Niessen, A. M. Leshkowish, and J. Carla, The globalization of Asian dress: Re-orienting fashion Oxford, England: Berg, 2003.
  2. J. Horn. Marilyn, The Second Skin: An inter disciplinary of clothing, Shanghai People's Publishing House, 1991.
  3. 팽조충(彭朝忠), 치파오의 다른 영어 이름에 대한 연구, 실크, pp.65-69, 2016.
  4. 볜샹양(卞向阳), 치파오 유행의 기원을 논하다, 장식, pp.68-69, 2003.
  5. https://www.metmuseum.org/
  6. 포명신, 중국 치파오, 상하이문화출판사, 1998.
  7. Antonia Finnane, Changing Clothes in China: Fashion, History, Nation, New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
  8. http://www.biftmuseum.com/
  9. 우하오(吴昊), 중국 여성복과 신체 혁명에 대한 자세한 설명, 홍콩트리플데이터출판사, 2006.
  10. https://www.chinasilkmuseum.com/
  11. 안위영(安毓英), 중국 현대 복장 역사, 경공업출판사, 1999.
  12. 화매(华梅), 중국 복장 역사, 중국방직출판사, 2018.
  13. Leong and Clark, "Culture-based knowledge towards new design thinking and practice: A dialogue," Design Issues, Vol.19, No.3, pp.48-58, 2003. https://doi.org/10.1162/074793603768290838
  14. K. P. Lee, "Design methods for a cross-cultural collaborative design project," Proceedings of Design Research Society International Conference - Futureground, No.135, pp.135-145, 2004.
  15. D. A. Norman, Emotional Design: Why We Love (or Hate) Everyday Things, Basic Books, New York, 2004.
  16. K. Rose, "The development of culture - oriented human machine systems: Specification, analysis and integration of relevant intercultural variables," Cultural Ergonomics, Advances in Human Performance and Cognitive Engineering Research, Vol.4, No.3, pp.61-103, 2004. https://doi.org/10.1016/S1479-3601(03)04003-7
  17. 장주영, "문화 융합의 시대에 '문화지향의 디자인' 을 위한 교차문화적 디자인 방법론의 이론적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한국 과학예술 융합학회 Vol.38, No.3, pp.305-317, 2020.
  18. Bruce Hanington, Universal Methods of Design, Rockport Publishers, 2012.
  19. 포밍신, 20세기 상반기의 해파이 치파오, 장식, pp.11-12, 2000.
  20. 장애화(張愛華), 용봉 치파오 수공 제작 기예, 상하이인민출판사, 2014
  21. 장인춘, 오래된 베이징 복장, 연산 출판사, 1999.
  22. 장경진(张竞琼), 중국과 외국 의류 역사 비교, 중국방직대학출판사, 2003.
  23. 유서박(刘瑞璞), 중국 민족 의상의 구조에 대한 텍스트(한족편), 중국방직출판사, 2013.
  24. 장경생, 아름다운 인생관, 북경대학출판사, 2010.
  25. 장잉춘(藏迎春), 중서양의 여성복 조형 비교, 중국경공업출판사, 2001.
  26. 명휘(明晖), 새로운 의상에 대해 이야기, 중국상하이 '신보(申報)', 1925. 12. 21.
  27. 인채(纫茝), "여성복 개량," 중국 여성 잡지, 제7권, 제9호, pp.46-47, 1921.
  28. 설안(薛雁), 옷을 갈아 입다: 중국 패션 예술, 1920-2010s, 저장대학출판사, 2020.
  29. Roxane Witke, "China Chic: East Meets West," by Valerie Steele & John S. Major, Fashion Theory-The Journal of Dress, Body and Culture, Vol.4, No.2, pp.205-208, 2000. https://doi.org/10.2752/136270400779108799
  30. 유유(刘瑜), 중국 치파오 문화사, 상하이 인민 미술출판사, 2011.
  31. D. Stein, "Dress reform, politics and the case of China," Agroa: An Online Graduate Journal, Vol.2, Winter, pp.1-20, 2003.
  32. B. Susan,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China Textile Publishing House, 2000.
  33. 서아정, "중국 민국시대(1912년-1949년)에 나타난 치파오 문양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ol.15, No.3, pp.69-83, 2013.
  34. 유쌍쌍(俞雙雙), 치파오 디자인과 재단, 화학 산업 출판사, 2018.
  35. Marlim, Modern Sociological Theory, Beijing Huaxia Publishing House, 2000.
  36. 최영영, "민국시기 한족 여성복의 추이와 사회변천," 중국학술교류, Vol.12, pp.214-218,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