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Daegu University Research Grant(2018).
References
- 교육부(201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p. 1-48.
- 권영락, 이재영, 김찬국, 안재정, 서은정, 남윤희, 박은화, 최소영, 안유민(2016). 2015개정 환경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주요 내용. 환경교육, 29(4), 363-383. https://doi.org/10.17965/KJEE.2016.29.4.363
- 김경철, 김은혜(2019).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39(2), 125-151.
- 김명균, 정철(2007). 환경 그리기를 통한 중학생의 환경 인식 조사. 한국환경과학회지, 16(4), 79-485.
- 김윤지(2014). 환경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2), 151-158.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2.151
- 김윤지(2015). 지구 환경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정신모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25-34.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25
- 김윤지(2018). 지구 환경에 대한 비과학 전공 대학생들의 정신모형. 교양교육연구, 12(4), 225-243.
- 김윤지(2019). 빅 히스토리의 관점에서 지구 환경변화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교원교육, 35(1), 185-203.
- 남상덕, 손연아(2016). 환경부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중등학생들의 환경태도 변화. 환경교육, 29(4), 443-460.
- 박재문, 이수진, 문성배(2014). 환경문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대한화학회지, 58(6), 590-599. https://doi.org/10.5012/jkcs.2014.58.6.590
- 박준호, 정철(2017). 환경 그리기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환경인식과 미래 환경에 대한 인식. 환경교육, 30(2), 223-236. https://doi.org/10.17965/KJEE.2017.30.2.223
- 서태열(2003). 지구촌 시대의 '환경을 위한 교육'의 개념적 모형의 재정립.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1), 1-12.
- 성정희, 정수현(2017). 그린캠퍼스 활동에 나타난 내면화 수준 분석과 대학환경교육의 과제. 환경교육, 30(1), 103-200. https://doi.org/10.17965/KJEE.2017.30.1.103
- 신지혜(2016). 대학 환경교육 교수자의 강의 경험공유에 대한 질적 연구. 환경교육, 29(2), 153-172. https://doi.org/10.17965/KJEE.2016.29.2.153
- 신지혜(2017). 대학 환경교육에서 매체비평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3), 139-156.
- 위수민, 이승철, 김윤지, 김현정(2008). 그리기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교원교육, 24(2), 171-187.
- 이미옥, 최돈형(2005). 환경과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연구. 교원교육, 21(1), 222-241.
- 이상균(2017). 과학과 Eco-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과 STEAM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62-75.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1.62
- 이향연, 장지영, 황승아, 최경희(2013). 환경교사의 지도 여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에너지-온실가스 환경소양 차이 분석. 환경교육, 26(4), 505-514.
- 정진우, 이동영, 김윤지, 정철(2009). 환경에 대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식. 교원교육, 25(2), 375-389.
- 정철, 임수정, 김윤지, 박종근, 이규철, 조성화, 남영숙, 이상원, 신지혜, 주형선, 이재영(2018). 지속가능한 사회와 환경. 시그마프레스, 환경부, pp. 1-361.
- 주은정(2016).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지리 스케일에 따른 환경문제 및 미래환경에 대한 인식 비교. 환경교육, 29(2), 220-232. https://doi.org/10.17965/KJEE.2016.29.2.220
- 홍준의(2017). 전공에 따른 예비교사의 환경 인식과 기후 변화 및 생물 다양성에 대한 인식 비교. 에너지기후변화교육, 7(1), 39-55. https://doi.org/10.22368/KSECCE.2017.7.1.39
- Ben-Zvi Assaraf, O., & Orion, N. (2005).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https://doi.org/10.1002/tea.20061
- Fralick, B., Kearn, J., Thompson, S., & Lyons, J. (2009). How middle schoolers draw engineers and scientis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Technology, 18, 60-73. https://doi.org/10.1007/s10956-008-9133-3
- Okur-Berberoglu, E. (2017). Outdoor experie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An adult-centred intervention for the affective domain.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7(1), 34-58.
- Shepardson, D. P., Wee, B., Priddy, M., & Harbor, J. (2007). Students' mental models of the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327-348. https://doi.org/10.1002/tea.20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