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language networks based on the theory of art policy in the New Normal era triggered by COVID-19 and domestic and foreign policy trends. For analysis, data containing key words of "Corona" and "Art" were collected from Google News and Web documents from March to September 2020 to extract 227 refined subject words, and the extracted subject words were analyzed as indicators of frequency and centrality of subject words through the Netminor program. In addition, visualization analysis of semantic networks has been attempted for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each topic languages. As a result of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most frequent topic was "Corona," and "Culture and Art," "Art," "Performance," "Online" and "Support" were included in the group with the most frequencies. In the centrality analysis, "Corona" was the most popular, followed by "the era," "after," "post," "art," and "cultural arts," with high frequency, "Corona," "art," and "cultural arts" also dominated most centrality. In particular, the top-level key words in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centrality of the topic are 'online' and 'support' and 'policy'. This can be seen as indicating that the rapid rise of non-face-to-face and online content and support policies for the artistic communities are needed due to the dailyization of social distance due to COVID-19.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촉발된 뉴노멀 시대의 예술정책에 관한 이론과 국내외 정책 동향을 바탕으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3월부터 9월까지의 '코로나'와 '예술'의 키워드가 들어간 자료를 구글(Google)뉴스와 웹(web)문서에서 수집하여 227개의 정제된 주제어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주제어를 넷마이너 프로그램을 통해 주제어 빈도분석과 중심성을 지표로 분석하였다. 또한 각 주제어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언어네트워크의 시각화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많은 빈도수를 드러낸 주제어는 '코로나'였고, '문화예술', '예술', '공연', '온라인', '지원'이 최다 빈도수를 기록한 그룹에 포함되었다. 중심성 분석에서는 '코로나'가 가장 빈도가 높았고, '시대', '이후', '포스트', '예술', '문화예술' 순으로 나타나 빈도수가 높은 '코로나'와 '예술', '문화예술'은 대부분의 중심성에서도 우위를 차지했다. 특히, 주제어 빈도수와 중심성 분석에서 공통으로 상위를 차지하는 주제어는 '온라인'과 '지원' '정책'이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상화에 따라 비대면·온라인콘텐츠의 급부상과 예술계에 대한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