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Exhibitions in Art Museums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Offline Viewing Intentions of Visitors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So Ra (Arts In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Hongik University) ;
  • Kim, Sun Young (Dept. Arts In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Hongik University)
  • 박소라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김선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Received : 2021.10.11
  • Accepted : 2021.11.30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visitors and the effect of online exhibitions at museums on the degree of viewing an offline exhibition. For this reason, the attributes of online exhibitions are composed of accessibility, interaction, informativeness, playfulness, etc.,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is composed of four factors: emotional, communicative, cognitive, and perceptual areas.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n viewing inten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online exhibition service had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esthetic experience. It was analyzed that informativity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emotional domain of aesthetic experience, playfulnes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communication and perceptual domains, and acces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cognitive domain. Second, it was found that online exhibitions had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ffline exhibition viewing intention in the order of playfulness, interactivity, and informativity. Third, it was found that aesthetic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ffline exhibition viewing intention in the order of cognitive, emotional, communication, and percep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partially mediated the intention to view online and offline exhibition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park academic discussion along with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ducing online exhibition users to offline exhibi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전시의 속성을 접근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유희성 등으로, 미적 경험은 감정적, 소통적, 인지적, 지각적 영역 등 4개의 요인으로 각각 구성하여 오프라인 미술관의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첫째 온라인 전시는 미적 경험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적 경험 중 감정적 영역에는 정보성이, 소통적 영역과 지각적 영역에는 유희성이, 인지적 영역에는 접근성이 각각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온라인 전시는 오프라인 전시 관람 의도에 유희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순으로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적 경험은 인지적, 감정적, 소통적, 지각적 순으로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미적 경험은 온라인 전시와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를 부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온라인 전시 이용자들을 오프라인 전시로 유도하는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학술적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설연경(2010), 온라인 학습환경으로서 가상박물관(Virtual Museum)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4): 458-470. https://doi.org/10.5392/JKCA.2010.10.4.458
  2. 구보경(2020), 뮤지엄에서의 IT기술 활용의 발전과 의미, 「예술교육연구」, 18(1): 47-68.
  3. 김보름, 용호성(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뮤지엄 온라인 전시유형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20(3): 95-104.
  4. 김보영(2009), 국내 뮤지엄 웹사이트 현황 분석을 통한 뮤지엄의 소통 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서울.
  5. 김상범(2014), 관람객의 방문동기가 혼잡지각, 참가만족과 대응행동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6. 김선영(2018), 「예술로 읽는 4차 산업혁명」, 서울: 별출판사.
  7. 김세영(2013), 예술과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유희적 공간에서의 미적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2(3): 61-69. https://doi.org/10.14774/JKIID.2013.22.3.061
  8. 김소연(2016), 온라인 전시 프리젠테이션 특성 분석: 국립과학관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7(4): 52-61.
  9. 김수지, 이형우(2016), 예술가들의 박물관, 「조형디자인연구」, 19(4): 89-106.
  10. 김유리(2021), 온.오프라인 전시환경에 대한 관람자의 인식 고찰: 온라인 전시환경의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11. 김유정(2016), 학교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미적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서울.
  12. 김진욱, 정태영, 송동근(2018), 관람객의 기대감이 미술관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경영연구」, 137-157.
  13. 김희경(2008), 웹기반 가상전시 구축 모델 제안: '루이스 & 클락(Lewis & Clark)' 가상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5): 122-133.
  14. 김황기(2007), 몰입이론으로 본 듀이의 미적경험, 「미술교육논총」, 21(1): 310-334.
  15. 닐 코틀러 & 필립 코틀러(2005), 박물관 미술관학: 뮤지엄 경영과 전략, Museum strategy and marketing(한종훈.이혜진 역), 서울: 박영사. (원서출판 1998).
  16. 박문경, 김재범(2016), 미술관 관람객의 소통을 위한 가상미술관: 문화매개의 관점에서, 「문화콘텐츠연구」, 8: 117-137.
  17. 박혜빈, 이경률(2014), 미술관 상호작용 관람경험이 미술관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05: 178-188.
  18. 변길현, 이혜진, 강신겸(2014), 미술관 관람객의 서비스품질 인식과 만족도 분석 광주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17(2): 137-159.
  19. 마이클 벨처(2006), 박물관 전시의 기획과 디자인, Exhibitions in museums(신자은 역), 서울: 예경. (원서출판 1991).
  20. 서명애, 이상복(2008), 품질경영을 도입한 박물관 마케팅 활성화에 관한 실증연구, 「품질경영학회지」, 36(4): 7-18.
  21. 신희진, 김세준(2019), 학습관점에 따른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미적경험 측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8: 193-224.
  22. 양연경(2017), 스마트 미디어 기반의 온라인미술관 예술 감상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6(1): 139-162. https://doi.org/10.9716/KITS.2017.16.1.139
  23. 양연경(2021), 뉴노멀 시대의 문화 접근성 취약계층을 위한 온라인 전시 감상 서비스의 효과적인 융합 다이내믹스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9(1): 269-288.
  24. 양영순, 이희찬(2015), 플로우(flow)경험에 따른 소셜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목적지 선택 전, 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24(2): 99-119.
  25. 육지현, 이재규(2018), 온라인 전시 통합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3(4): 71-80. https://doi.org/10.35216/KISD.2018.13.4.71
  26. 이보아(2014), 「박물관 경영과 마케팅」, 서울: 김영사.
  27. 이보아(2018), 「박물관 테크놀로지」, 서울: 김영사.
  28. 이성희(2021), 뮤지엄 온라인 영상 콘텐츠 시청동기 요인이 행동의도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29. 이샛별(2016), 관람체험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구조적 고찰: 클래식공연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40: 33-62.
  30. 이수영(2020), 비대면 상황에서 미술관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 「예술경영연구」, 329-348.
  31. 이언주(2017a), 미술관 온라인 플랫폼의 사례분석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역량 연구: Tate, MoMA, MMCA, SeMA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서울.
  32. 이언주(2017b), 미술관 소셜플랫폼을 통한 경험 확장과 전략 실행에 관한 모델 제안: MoMA, Tate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0: 321-333.
  33. 이은선, 주성희, 김미경(2019), 동영상 서비스 이용량이 온라인 광고 속성평가와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PR실학연구」, 12(4): 102-125.
  34. 이재희(2017), 「현대 미술관 경제학」, 서울: 탑북스.
  35. 이현주, 한광희(2017), 온라인큐레이션 플랫폼을 이용한 정보제공이 현대미술감상에 미치는 효과, 「감성과학」, 20(3): 151-168. https://doi.org/10.14695/kjsos.2017.20.3.151
  36. 임혜경(2020), 국립청주박물관의 온라인 전시콘텐츠로 보는 비대면 시대의 박물관 전시, 「내일을 여는 역사」, 79: 458-469.
  37. 조윤경(2013), 가상뮤지엄에 대한 관람자의 관람 전후 인지 반응 차이에 관한 연구: 전시 관람 서비스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서울.
  38. 존 듀이(2016), 경험으로서 예술, Art as Experience(박철홍), 경기도: 나남. (원서출판 1934).
  39. 채서일(2005),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제3판」, 서울: 비엠엔북스
  40. 최석현, 박현숙, 김명훈, 전태일(2013), 아카이브의 디지털 전시 활용 효과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1): 7-33.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1.007
  41. 최석현(2013), 온라인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전시의 필요성 고찰: 아카이브 전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서울.
  42. 하민아, 이유진, 박승호(2016), 가상뮤지엄에서 관람객 유형에 따른 전시관람모델 및 맞춤형 서비스 개념 연구, 「디자인융봅합연구」, 15(6): 145-160.
  43. 한명희(2002), 「교육의 미학적 탐구」, 서울: 집문당.
  44. 홍기태(2005),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분석: 미술교육의 쟁점 개념을 중심으로, 「敎員敎育」, 21(2): 214-239.
  45. 홍기태(2008), 미학의 관점에서 본 (심)미적 태도, 「미술교육논총」, 22(3), 49-82.
  46. Abbs, P.(1991), Defining the aesthetic field. Aesthetics and arts education, 245-255.
  47. Bakhshi, H., & Throsby, D.(2014), Digital complements or substitutes? A quasi-field experiment from the Royal National Theatre.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38(1): 1-8. https://doi.org/10.1007/s10824-013-9201-2
  48. Bearden, W. O., & Teel, J. E.(1983), Selected determinant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complaint repor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0(1): 21-28. https://doi.org/10.2307/3151408
  49. Boerner, S., Jobst, J., & Wiemann, M.(2010), Exploring the theatrical experience: Results from an empirical investigation.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4(3): 173. https://doi.org/10.1037/a0018460
  50. Boulding, W., Kalra, A., Staelin, R., & Zeithaml, V. A.(1993),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0(1): 7-27. https://doi.org/10.2307/3172510
  51. Cronin Jr, J. J., & Taylor, S. A.(1992),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6(3): 55-68. https://doi.org/10.2307/1252296
  52. Csikszentmihalyi, M., & Robinson, R. E.(1990), The art of seeing: An interpretation of the aesthetic encounter. Getty Publications.
  53. Davey, G.(2005), What is museum fatigue. Visitor Studies Today, 8(3): 17-21.
  54. Fishbein, M., & Ajzen, I.(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ss: Addison-Wesley Pub.
  55. Lombard, M., & Snyder-Duch, J.(2001), Interactive advertising and presence: A framework.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1(2): 56-65. https://doi.org/10.1080/15252019.2001.10722051
  56. Marty, P. F.(2008), Museum websites and museum visitors: digital museum resources and their use.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23(1): 81-99. https://doi.org/10.1080/09647770701865410
  57. Oliver, R. L.(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4): 460-469. https://doi.org/10.2307/3150499
  58. Schweibenz, W.(2004), Virtual museums. The Development of Virtual Museums, ICOM News Magazine, 3: 3.
  59. Stromer-Galley, J.(2004), Interactivity-as-product and interactivity-as-process. The Information Society, 20(5): 391-394. https://doi.org/10.1080/01972240490508081
  60. The Guggenheim Museums and Foundation(2015), Azone Futures Market. Retrieved June 1, 2021, from https://www.guggenheim.org/exhibition/azone-futures-market
  61. Westbrook, R. A., & Reilly, M. D.(1983), Value-percept disparity: an alternative to the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s theory of consumer satisfaction. ACR North American Advances.
  62. Zeithaml, V. A., Berry, L. L., & Parasuraman, A.(1996),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60(2), 31-46. https://doi.org/10.2307/1251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