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564904)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 강혜정. (2012). 여성농업인의 역할변화와 정책 과제. 젠더리뷰, 27, 28-52.
- 강혜정. (2013). 여성농업인의 농업경영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여성경제연구, 10(1), 43-62.
- 공윤경. (2018). 1960년대 농촌 여가문화의 특성과 의미: 대천일기를 사례로. 한국민족문화, 66, 297-334.
- 김경미, & 고운미. (2005). 여성농업인의 역할유형별 영농의사결정 참여 실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3), 47-64.
- 김경미, 이진영, & 최윤지. (2006). 여성농업인 리더의 생애경험을 통한 심리적 장애요인에 관한 소고.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3(1), 149-171.
- 김경미, 이진영, & 최윤지. (2006). 여성의 농업참여 역할 유형별 지원 정책 개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21-121.
- 김대희, & 신윤호. (2012). 농촌지도기관이 제공하는 농업교육에 대한 농업인의 요구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 개발, 44(3), 23-45.
- 김문희, & 김태종. (2020). 토픽 모델링 분석을 활용한 여성농업인 연구동향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2), 1-28.
- 김승희, & 김선미. (2013). 맞벌이가족의 일-가정양립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3), 355-360. https://doi.org/10.6115/fer.2013.51.3.355
- 김영옥, & 김이선. (1999). 21C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정책연구. 서울:한국여성개발원.
- 김정섭, & 이정해. (2017). 최근 귀농.귀촌 실태와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151), 1-20.
- 김정운, & 박정렬. (2004). 주 40시간 근무제 실행 후 노동자의 생활양식 변화와 학습에 대한 태도변화 연구. 2004년 정책기획과제,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 김주숙. (1999). 국가 및 민간연구소의 역할 정립 및 사업추진 방향. 농촌여성의 능력 개발과 복지증진 방안 심포지엄, 부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pp.77-86.
- 농림축산식품부. (2019). 2018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 농림축산식품부. (2020). 농업경영체 등록정보는 어떻게 활용될까? https://www.mafra.go.kr/mafra/293/
- 류기덕. (2007). 농촌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경북지역 읍.면 지역을 중심으로. 대구: 대구경북연구원.
- 마상열. (2012). 도시민의 귀농.귀촌 의식조사와 시사점. 경남정책 Brief, 1-8.
- 박영대, 김정운, 이장주, & 박정열. (2004). 주 40시간 근무제 도입에 따른 여가활동 실태조사. 여가학연구, 2(1), 43-68.
- 박주혜. (2008).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전업주부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일과 삶의 조화가 전업주부의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지은. (2021). 농촌여성의 노동분화 양상. 농촌사회, 31(1), 7-91.
- 손영미, & 박정열. (2015). 한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이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203-2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203
- 송양호. (2005). 여성농업인의 사회적 역할과 권익향상.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0-25.
- 신경자. (2002). 여성의 사회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의정부시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현옥. (2000). 국가개발정책과 농촌지역 여성조직에 관한 연구: 1960-70년대 마을부녀조직의 역할과 활동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심순자. (1996). 한국농촌여성조직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은영. (2017). FAO의 성 인지적 농식품 가치사슬 개발. 세계농업, 198, 3-22.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유은영. (2018). 2018 농어촌의 삶의 질 실태와 주민 만족도.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이상호. (2018). 한국의 지방소멸 2018. 고용동향 브리프, 2018. 07. 진천: 한국고용정보원.
- 이상호. (2019). 가족경영협약 실태분석과 체결의향 분석. 한국유기농업학회지, 27(4). 425-436. http://doi.org/10.11625/KJOA.2019.27.4.425
- 이선영, & 황미진. (2019). 여성농업인 조직활동의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개선회 60주년 활동 가치에 관하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1(4), 1-26. doi: 10.23840/agehrd.2019.51.4.1
- 이성호, & 김정호. (1995). 농가의 상속과 경영승계에 관한 연구.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이윤경. (2009). 일과 생활의 균형(Work-Life Balance)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재기. (2018). 농촌 생활 인프라가 농촌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정해. (2017). EU 농촌 여성의 경제적 지위와 성주류화 전략. 세계농업 198.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이호철, 최수영, & 박재홍. (2002). 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교육방안. 농촌사회, 12(1), 37-62.
- 장혜경. (2004). 저출산 시대의 여성정책 방향. 젠더리뷰, 5, 50-54.
- 정기환. (1997). 농가 여성의 노동력 구조와 경제활동 실태.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정도채. (2019). 농어촌서비스기준으로 살펴본 농어촌 생활 SOC 구축 방향. 국토, 449, 14-20.
- 정영금. (2006). 일-가족 균형의 촉진요인 분석 및 교육내용 개발. 가정과 삶의질 연구, 24(6), 131-145.
- 정은미. (2012). 프랑스 여성농업인의 현황과 전망.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정은미. (2013). 한국 여성농업인 지원체계와 정책 과제. pp. 3-2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료.
- 정은미, 김태환, & 박은지. (2020). 여성농업인 지위향상을 위한 농업경영체 제도 개선 연구.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정은미, 마상진, & 민자혜. (2012). 여성농업인의 경제 사회적 역할 제고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정은미, 박석두, 김용렬, 김우태, & 최세균. (2013). 여성농업인의 경제사회역 역할 제고방안. 서울:농촌경제연구원.
- 조영숙, 이한기, 박은식, 고정숙, 조록환, 황대용, et al. (2004). 농촌주민의 사회단체 참여와 농촌역할에 대한 인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99-116.
- 채구묵. (2014). SPSS와 AMOS를 이용한 고급통계학. 서울: 양서원.
- 채연주, & 윤세준. (2012). 통합과 분리: 경계활동으로 살펴본 일과 삶의 균형. 인사조직연구, 20(2), 109-165.
- 통계청. (2021).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 대전: 통계청.
- 홍은파. (2010) 여성농업인 영농교육이 농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1), 49-79. doi: 10.23840/agehrd.2010.42.1.49
- 황미진, 윤순덕, & 최정신. (2017). 여성농업인 조직활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4(3), 155-172. https://doi.org/10.12653/JECD.2017.24.3.0155
- 황정임, 최윤지, & 최정신. (2018). 농가 경영이양에 대한 영향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5(2), 57-70. https://doi.org/10.12653/JECD.2018.25.2.0057
- Bokemeier, J., & Garkovich, L. (1987). Assessing the influence of farm women's self-identity on task allocation and decision making. Rural Sociology, 52(1), 13-36.
- Frone, M. R. (2003). Work-family balance. In J. C. Quick & L. E. Terick (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pp. 143-162). Washington, N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s://doi.org/10.1037/10474-007
- Gasson, R. (1980). Roles of farm women in England. Sociologia Ruralis, 20(3), 165-179. https://doi.org/10.1111/j.1467-9523.1980.tb00706.x
- Graig, R. (1979). Down on the farm: Role conflicts of Australian farm-women, In The Woman in Country Australia Looks Ahead; Conference Proceedings. Melbourne: LaTrobe University.
- Greenhaus, J. H., Collins, K. M., & Shaw, J. D. (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3), 510-531. https://doi.org/10.1016/S0001-8791(02)00042-8
- Illich, I. (1981) Shadow work. London: Marion Boyars.
- Kim, S. M., & Sherraden, M. (2014). The impact of gender and social networks on microenterprise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Sociology & Social Welfare, 29(4), 404-417. https://scholarworks.wmich.edu/cgi/viewcontent.cgi?article=3964&context=jssw#page=52
- Lobley, M., Baker, J. R., & Whitehead, I. (2010). Farm succession and retirement: Some international comparisons. Journal of Agriculture, Food Systems, and Community Development, 1(1), 49-64. https://doi.org/10.5304/jafscd.2010.011.009
- Loughhead, T. A. (1989). The use of leisure in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15(3), 154-163. https://doi.org/10.1007/BF01321504
- Mishra, A. K., & El-Osta, H. S. (2008). Effect of agricultural policy on succession decisions of farm households.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6(3), 285-307. https://doi.org/10.1007/s11150-008-9032-7
- Morf, M. (1989). The work/life dichotomy: Prospects for reintergrating people and jobs. New York: Qourum Books.
- Mu, R., & van de Walle, D. (2011). Left behind to farm? Women's labor re-alloc ation in rural China. Labour Economics, 18(1), 83-97. https://doi.org/10.1016/j.labeco.2011.01.009
- Pearson, J. (1979). Note on female Farmers. Rural Sociology, 44(1), 189-200. http://pascal-francis.inist.fr/vibad/index.php?action=getRecordDetail&idt=12565135.
- Poter, C., & Lobley, M. (1996). Unbroken threads? Succession and its effects on family farms in Britain. Sociologia Ruralis, 36(3), 268-308. https://doi.org/10.1111/j.1467-9523.1996.tb00023.x
- Rapoport, R., & Rapoport, R. N. (1975). Leisure and the family life cycle. London: Loutledge.
- Rosaldo, M. Z., & Lamphere, L. (1974). Woman, culture, and society: A theoretical overview.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 Sanday, P. R. (1974). Female status in the public domain. In Michelle Zimbalist Rosaldo, & Louise Lamphere (Eds.), Woman, culture, and society (pp. 189-206).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 Shortall, S. (1993). Canadian and Irish farm women: some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comments. The Canadian Review of Siciology and Anthropology, 30(2), 172-191. https://doi.org/10.1111/j.1755-618X.1993.tb00171.x
- Stiglbauer, A., & Weiss, C. (2000). Family and nonfamily succession in the upper Austrian farm sector. Cahiers d'Economie et Sociologie Rurales, 54, 5-26. https://hal.archives-ouvertes.fr/hal-01200950/document. https://doi.org/10.3406/reae.2000.1632
- Uchiyama, T., Lobley, M., Errington, A., & Yanagimura, S. (2008). Dimensions of intergenerational farm business transfers in Canada, England, the USA and Japan. Japanese Journal of Rural Economics, 10, 33-48. https://doi.org/10.18480/jjre.10.33
- Ward, C. K. (1996). Life skill development related to participation in 4-H animal science project.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34(2). http://www.joe.org/joe/1996 april/rn2.html
- Williams, M., & Howard, J. W. (2007). Analysis of minority participation in Texas' East region 4-H and youth dvelopment program in relationship to leadership, marketing,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Journal of Youth Development, 2(2), 178-190. https://www.proquest.com/open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