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성리 (2020). 유아특수교사의 놀이 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유아특수교육연구, 20(1), 41-67. doi:10.21214/kecse.2020.20.1.41
-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 김선자 (2016). 대인서비스 리더로서의 초등교사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숭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연수 (2017).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평가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영미, 이경님 (2018)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및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7(2), 53-77. doi:10.30761/ecoece.2018.17.2.53
- 김영미 (2017). 원장의 코칭 리더십, 조직문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영주 (2013). 자연친화교육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모델 개발.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인희 (2013). 중등교사의 보유역량과 발휘역량 차이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75-190. doi:10.14698/jkcce.2014.10.5.175
- 김하종 (2015).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련 변인간의 구조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성애 (2017).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열의 및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재진 (2012). 코칭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성과변인에 관련된 학위 논문 연구 동향분석. 평생교육.HRD연구, 8(1), 107-132.
- 박종명, 이연승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실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유아교육연구, 22(4), 26-45. doi:10.15409/riece.2020.22.4.2
- 보건복지부.한국보육진흥원 (2020). 2020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https://www.kcpi.or.kr에서 2021년 2월 1일 인출
- 보건복지부 (2020. 4). 제4차 어린이집표준보육과정 해설서. http://www.mohw.go.kr에서 2021년 2월 1일 인출
- 윤여복, 이기성 (2010). 교원연수 담당자의 역량에 관한 수행 수준 분석. 평생교육.HRD연구, 6(4), 69-93.
- 이양숙, 하양승, 전홍주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23, 49-78. doi:10.37918/kce.2020.07.123.49
- 이원미, 권연희 (2020). FGI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 역량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4), 95-112. doi:10.14698/jkcce.2020.16.04.095
- 임명희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과정에서 어린이집 교사의 경험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20(3), 1-23. doi:10.21213/kjcec.2020.20.3.1
- 임옥경 (2014). 유치원 교사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혜원, 이완정 (2018).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중간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을 매개로 보육교사의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6), 171-185. doi:10.14698/jkcce.2018.14.06.171
- 최미애 (2020).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전문성의 구조적 관계.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홍지명 (2020). 놀이중심 개정 누리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갈등과 변화. 인문사회21, 11(6), 1667-1681. doi:10.22143/HSS21.11.6.118
- Boyatzis, R, E. (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 Cornelius, G., & Casler, J. (1991). Enhancing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Strategies for teache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72(1), 99-106. doi:10.1080/0300443910720109
-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doi:10.1037/h0034092
- Pantic, N., & Wubbels, T. (2010). Teacher copetencies as a basis for teacher education-Views of serbien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3), 694-703. doi:10.1016/j.tate.2009.10.005
- Stowell, S. J. (1986). Leadership and the coaching in organiz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Utah, Utah,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