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comparative process so that students majoring in urban planning and design can develop the ability to present non-physical alternatives along with the ability to present alternatives to a physical environment to solve urban problems. A total of 30 students majoring in urban planning and urban design were analyzed for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intention to find a job related to their majors,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was done after conducting a comparative course of living-lab projects utilizing idle space in a region in connection with a major education course for about a year. For the analysis, the four-group design used by Solomon was used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and those who did no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arative course of the living-lab project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major and their intention to find a job related to their maj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ocess of cultivating the ability to work with local residents and merchants to present physical and non-physical alternatives to solve local problems by utilizing the means of living lab projec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attachment to their majors and their self-esteem.
본 연구는 도시계획·설계 전공생들에게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대안제시능력과 함께 날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는 비물리적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관련 비교과과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전공 대학생 총 30명을 대상으로 약 1년 동안 전공 교육 과정과 연계하여 지역 내 유휴공간을 활용한 리빙랩 프로젝트의 비교과과정을 운영한 뒤, 전공만족도, 전공 관련 직업 취직 의사, 학업성취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솔로몬 4집단 설계를 활용하여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의 차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리빙랩 프로젝트의 비교과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전공 관련 직업취직 의사가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리빙랩 프로젝트라는 수단을 활용하여 도시계획·설계 전공학생들이 지역 주민, 상인과 호흡하며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물리적·비물리적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과정이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애착과 자긍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