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공은애.강창숙, 2016, "대학수학능력시험 지리 문항에서 제시되는 그래프의 유형과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pp.119-137.
- 교육부, 2018,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 7].
- 국토연구원, 2014, 기업참여 확대를 위한 기업도시 제도개선 연구, 국토교통부.
- 김다원, 2008, "중학생들의 위치 지식과 지역 이해와의 연계 유형 분석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3(3), pp. 432-447.
- 김다원, 2017, "지리교육의 기본개념 분석 연구: 국내외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6(3), pp.319-337.
- 김소연.류수열, 2017,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울산광역시 3대 주력산업의 구조변화와 성장요인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 pp.1-15.
- 박선미.김혜숙.이의한, 2009,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교급별 도해력 발달수준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4(3), pp.410-427.
- 박용덕, 2014, 한국지리 전국단위 평가 문항의 지역적 불균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배선학, 2015, "수능 한국지리 문항에서의 지도활용과 출제 지역의 공간 분포 현황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50(1), pp.91-103.
- 서민철, 201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사회과 문항에 대한 지역별 반응 특성: 2010, 2011 중학교 사회과 시험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1), pp.79-97.
- 서정욱, 2006, "지리적 표시제 도입이 지역 문화산업 진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2), pp.229-244.
- 심승희, 2010, "초등 지리교육에 적합한 위치 학습의 내용과 방법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3), pp.221-236.
- 심정보, 2007,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 지명교육의 현상과 필수지명의 선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5(2), pp.125-140.
- 오정준, 2005, "대학수학능력시험 지리문항의 내용 타당도에 관한 소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2), pp.235-246.
- 오정준, 2007, "지리 문항의 난이도 변인에 관한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5(2), pp.141-152.
- 오정준, 2008, "점찍기 문항에 관한 소고," 아우라지 45호.
- 이건학.김감영.김영호.김영훈.신정엽.이상일, 2014, 지도학과 지리적 시각화, 서울: 시그마프레스 (= Slocum, T. A., McMaster, R. B., Kessler, F. C., Howard, H. H., 2009, Thematic Cartography and Geovisualization, Pearson).
- 이동민.최재영, 2015, "다중스케일적 접근의 지리교육적 의의와 가능성 -초등사회과 세계지리 영역에서의 지역 인식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2), pp.1-17.
- 이보영, 2011, "혁신도시와 지역 및 국가의 경쟁력,"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1), pp.1-18.
- 이정협, 2007, "울산 자동차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전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1), pp.1-18.
- 이종승.박도순.이종재.남명호.김홍원.김정겸.백순근, 2004,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개발원 공동연구보고.
- 장의선, 2004, "지리과 내용요소로서 '지명'의 의미 탐색과 교수-학습의 실제," 社會科敎育 43(2), pp.227-246.
- 전혜인, 2003, "탐구형 지리 평가 문항에서 활용되는 자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2), pp.51-63.
- 조대헌, 2014, "고등학교 한국지리 GIS 관련 평가 문항 분석: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3학년 전국 규모 평가를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9(3), pp.472-487.
- 조인혜.장영진, 2019, "한국 제지산업의 입지 변동,"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4), pp.472-487.
- 주성재.김희수, 2015, "지명의 브랜드 가치: 경제지리학적 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4), pp.431-449.
- 한경찬, 2010, "대학수학능력시험(2006-2010년) 한국지리평가문항에 나타난 지리도해력 분석," 교과교육연구 3(2), pp.151-175.
- Bednarz, S. W., 1995, "Using mnemonics to learn place geography," Journal of Geography 94(1), pp.330-338. https://doi.org/10.1080/00221349508979737
- Bednarz, S. W., Heffron, S. and Huynh, N. T., eds. 2013, A Road Map for 21st Century Geography Educatio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 report from th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Committee of the Road Map for 21st Century Geography Education Project.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 Catling, S., 2014, "Giving younger children voice in primary geography: Empowering pedagogy - a personal perspective,"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3(4), pp.350-372. https://doi.org/10.1080/10382046.2014.946321
- Dunn, J. M., 2011, "Location knowledge: Assessment, spatial thinking, and new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Journal of Geography 110(2), pp.81-89. https://doi.org/10.1080/00221341.2010.511243
- Gershmehl, p., 2008, Teaching Geography,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 Gould, P. and White, R., 1986, Mental Maps, London: Allen & Unwin.
- Hennerdal, P., 2016, "Changes in place location knowledge: a follow-up study in Arvika, Sweden, 1968 and 2013,"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5(4), pp.309-327. https://doi.org/10.1080/10382046.2016.1207991
- Oigara, J. 2006. A multi-method study of background experiences influencing levels of geographic literacy. Ph.D. Dissertation,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
- Postigo, Y. and Pozo, J. I., 2004, "On the road to graphicacy: The learning of graphical representation systems," Educational Psychology 24(5), pp.623-644. https://doi.org/10.1080/0144341042000262944
- Reynolds, R. and Vinterek, M., 2016, "Geographical locational knowledge as an indicator of children's views of the world: Research from Sweden and Australia,"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5(1), pp.68-83. https://doi.org/10.1080/10382046.2015.1106205
- Stimpson, P. G., 1991, "Is it a long way to tipperary?: Suggestions for improving students locational knowledge," Journal of Geography, 90(2), pp.78-82. https://doi.org/10.1080/00221349108979240
- Torrens, P. M., 2001, "Where in the world? Exploring the factors driving place location knowledge among secondary level students in Dublin, Ireland," Journal of Geography 100(2), pp.49-60. https://doi.org/10.1080/00221340108978417
- Turner, S. and Leydon, J., 2012, "Improving geographic literacy among first-year undergraduate students: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online quizzes," Journal of Geography 111(2), pp.54-66. https://doi.org/10.1080/00221341.2011.583263
- Zhu, L., Pan, X. and Gao, G., 2016, "Assessing place location knowledge using a virtual globe," Journal of Geography 115(2), pp.72-80. https://doi.org/10.1080/00221341.2015.1043930
- 메가스터디 홈페이지, http://www.megastudy.net/ (최종열람일: 2021년 2월 5일)
- 혁신도시 홈페이지, http://innocity.molit.go.kr/v2/ (최종열람일: 2021년 2월 10일)
- ArcGIS 홈페이지, https://pro.arcgis.com/en/pro-app/latest/tool-reference/spatial-analyst/how-kernel-density-works.htm (최종열람일: 2021년 2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