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ent Status and Solutions of Youth Job Mismatch in Gwangyang Area: A Case of the POSCO Outsourcing Partners

광양지역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와 해결방안: 광양제철소 협력사를 사례로

  • Received : 2021.02.08
  • Accepted : 2021.03.22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The POSCO Outsourcing Partners(POSOP) consisted of 59 compan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jobs in Gwangyang City of Jeonnam Province, the representative steel city of Korea. However POSOP are suffering from a job shor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smatch between job-seekers and job-openers in relation to employment in Gwangyang City. As a result of the job-mismatch analysis of nine factors, there was a clear mismatch in recognition of suppliers, access to corporate and employment information, employ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ath, and employment preference factors. However, there was no mismatch in the factors of employment avoidance and difficulty in the job-seeking and recruitment process. As solutions to the mismatch, it proposes to redefine the role of POPOS, promote capacity building projects for labor-management co-prosperity and cooperation, and gradually promote related projects in connection with the master plan related a comprehensive plan for youth jobs.

우리나라 대표적인 철강도시에 해당하는 광양시에서 광양제철소 협력사(59개사)는 지역 내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광양제철소 협력사는 구인난을 겪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광양제철소 협력사를 사례로 취업 및 고용과 관련한 구직자와 구인자(고용주) 간 미스매치 속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9개 요인에 대한 미스매치 분석 결과, 협력사에 대한 인지도, 기업·취업정보 접근성, 취업정보 취득경로, 취업선호 요인 등에서 분명한 미스매치가 존재하였다. 반면에 취업기피 요인, 구인·구직난의 경험 등에서는 미스매치가 나타나지 않았다. 미스매치 해결방안으로는 광양제철소협력사협회 역할 재정립, 노사상생·협력을 위한 역량강화사업 추진, 마스터플랜과 연계한 관련사업의 단계적 추진 등이 도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봉진.김일태, 2012, "광주지역 중소기업 구인구직자간 일자리 인식차이 해소방안," 지역개발연구 44(1), pp.161-173.
  2. 김소라.김선명.유일, 2016, "지역별 구직자 분해를 통한 일자리 미스매치 분석 및 정책 제언: 광양만권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3(1), pp.51-69.
  3. 김을식, 2013. "지역별 일자리 미스매치의 특징과 추이," GRI 연구논총 15(3), pp.263-286.
  4. 김을식.김군수.윤은식, 2012, 일자리 미스매치 현장 실태 조사, 정책연구, 경기연구원.
  5. 김형근.임영언.김일태, 2020, "일자리 미스매치와 성별 임금격차에 따른 사회적 고용정책 방안 고찰: 대전지역 경력단절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4(2), pp.139-160. https://doi.org/10.22718/KGA.2020.4.2.005
  6. 문남철, 2010, "대학 졸업자의 지역 간 취업이동과 지역발전," 국토지리학회지 44(4), pp.581-593.
  7. 배진한, 2012, "지역 일자리 미스매치의 원인과 대책," 경남발전 120, pp.6-14.
  8. 사호석.우한성, 2020, "청년층 교육-일자리 매치의 공간적 특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 특성 및 지역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5(5), pp.501-519. https://doi.org/10.22776/KGS.2020.55.5.501
  9. 송부용.김영순.김기영, 2011, "청년일자리 미스매치 요인 분석: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연구 19, pp.287-312.
  10. 송영조.이연우, 2017,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원인으로서의 취업선호도 요인에 대한 영향 분석과 정보활용 정책방향," 직업능력개발연구 20(2), pp.61-88. https://doi.org/10.36907/KRIVET.2017.20.2.61
  11. 신옥희, 2011, 일자리 미스매치에 대한연구: 청주시인력관리센터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안은경.이희연, 2015, "지역노동시장권별 창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격차 및 일자리 질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2), pp.168-189.
  13. 양준석.전용일, 2012, "한국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미스매치에 관한연구: 확률변경생산함수를 이용한 결합효율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pp.752-765.
  14. 유일.김소라, 2017, "광양만권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를 위한 구직자와 재직자의 요구 분석," 사회과학연구 56(2), pp.235-266.
  15. 유형관.김용규.신흥식, 2018,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청년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방안 연구," 2018 한국무역학회 동계정책세미나 및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pp.421-428.
  16. 이성균, 2015, "지역노동시장의 구조적 미스매치: 서울과 울산의 비교," 경제와 사회 108, pp.137-165.
  17. 이원호, 2016, "장소기반 정책과 도시빈곤: 일자리 미스매치와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51(1), pp.41-56.
  18. 이정록, 2004, "광양제철소의 입지와 지역의 인구변화: 1980-200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1), pp.83-96.
  19. 이정록, 2016, "기업도시 인구이동과 인구구조의 변화: 광양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51(6), pp.837-851
  20. 이정록, 2016, "기업도시 인구이동과 인구구조의 변화: 광양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51(6), pp.837-851.
  21. 이정록, 2019, "지역 일자리에 대한 잠재적 구직자의 선호도 분석: 광양제철소 협력사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337-350.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337
  22. 이정록, 2020, "광양만권 트라이앵글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중심지형에서 네트위크형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1), pp.93-109. https://doi.org/10.23841/egsk.2020.23.1.93
  23. 이정섭, 2011, "일자리 수급 불균형과 불일치의 지역 간 차이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5(3), pp.439-453.
  24. 이정섭.은석인, 2013, "전라북도 14개 시군의 일자리 창출과 직주불일치에 관한 연구: 지역별고용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8(2), pp.239-258.
  25. 이정현.이희연, 2015, "광역경제권별 구인.구직의 지역 간 미스매치 특성 비교," 지역연구 31(2), pp.79-100. https://doi.org/10.22669/KRSA.2015.31.2.079
  26. 정태훈.최창훈, 2015, "대구경북 일자리 미스매치 측정," 통계연구 20(2), pp.93-121.
  27. 조강철.윤대혁, 2012, 제주지역 노동수급 미스매치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은행 동향 연구보고서.
  28. 차운아.정태훈, 2015,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지수 측정," 경제연구 33(4), pp.133-156.
  29. 최창곤, 2011, "전북 지역노동시장 미스매치의 특징," 지역고용연구 3(1), pp.29-46.
  30. 최창곤, 2017, "일자리와 고용창출의 차이와 미스매치," 경제연구 35(1), pp.99-113.
  31. Hensen, M. M., De Vries, M. R. and Corvers, F., 2009, "The role of geographic mobility in reducing education-job mismatches in the Netherlands," Papers in Regional Science 88(3), pp.667-683. https://doi.org/10.1111/j.1435-5957.2008.0018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