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부(2015). 2015 개정 중학교 환경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 구본학(2001). 학교 교정에 학교 숲과 생태연못 만들기. 2001 대전지역학교 숲 가꾸기 세미나 자료집, 81-105.
- 권혁재, 권난주, 박병삼(2016). 초등학교 학교연못의 실태 조사를 통한 교육적 활용방안 모색: 과학교과 내 수생생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29(3), 336-347.
- 김수경, 박시룡, 성하철, 최유성(2010). 초.중학교 여학생들의 멸종 위기종 황새 복원과 연계한 생물 다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환경교육, 23(3), 82-96.
- 김승윤(2005). 도시 옥상 비오톱의 환경교육적 활용을 위한 연구-유네스코 회관 작은누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18(3), 33-44.
- 김인호, 안동만(1998). 초등학교 학교조경의 환경교육적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환경교육, 11(2), 224-237.
- 김주경 역(2001). 대지에서 인간으로 산다는 것. 서울: 미다스북스.
- 김주헌(2006). 서산AB지구 간척지에 도래하는 황새의 월동생태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철민(2008). 아이와 자연이 함께 어우러져 좋은 곳 학교 비오톱. 한국교육시설학회, 15(3), 25-30.
- 김태경(2010). 생태-문화-환경교육을 위한 적합지(장소) 분석과 결정 요인-<논 생태계와 쌀 문화>의 생활 밀착형 환경 인식론. 환경교육, 23(3), 62-81.
- 남영숙(2018). 우리나라 황새복원 성과와 과제.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7), 25-26.
- 류학렬(2019). 황새를 활용한 ESD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성채, 김수경, 남영숙(2019). 2015환경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황새복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요소 분석. 환경정책, 32(3), 361-377.
- 박미정, 최병모(2003). 환경가치교육을 위한 모듈식 프로그램 개발. 환경교육, 16(2), 1-14.
- 박시룡, 박현숙, 윤종민, 김주경(2014). 황새, 자연에 날다. 서울: 민음사.
- 배명순, 김은형(2018). 황새아빠 박시룡 인터뷰. CHUNGBUK ISSUE&TREND, 31, 73-79.
- 변영호(2003). 학교에서의 생태 환경교육-알쏭달쏭 생태 연못 만들기를 중심으로. 한일합동교육연구회, 12, 185-194.
- (사)생명의숲(2004). 스쿨존과 비오톱을 거점으로 한 도시 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 (사)생명의숲(2005). 친환경학교 조성을 위한 학교녹화 활성화 방안 연구.
- 성하철 외(2008). 자연 상태에서 황새의 섭식 행동과 서식지 선택에 대한 사례연구. 환경생물학회지, 26(2), 121-127.
- 손진관, 성현찬, 강방훈(2011). 황새서식처 복원지역에서의 소택지 조성 적지선정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13(1), 95-104. https://doi.org/10.17663/JWR.2011.13.1.095
- 신명주, 김종우, 이상원(2012).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창의적 체험활동용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4), 909-939.
- 안동만 역(2001). 환경학. 서울: 보문당.
- 오영권(2011). 학교 생태연못 조성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우창수(2008). 친환경학교를 위한 학교비오톱 도입방안.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종훈, 한면희(2002).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문화의 환경철학 모색. 현상학과 현대철학, 19, 135-163.
- 장대희, 이호진(2002). 생태학교 외부공간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성동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2(1), 63-66.
- 전성우 외(2008).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2008-RE-15). 서울: KEI.
- 조승헌, 박용하, 김승우, 최용재(1999).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유인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환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하동수(2019). 재도입 황새의 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10), 42-44.
- 한면희(1999). 가이아 가설과 환경윤리. 철학, 59, 349-371.
- 환경부(2018). 환경부공고 제2018-898호.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 Iozzi, L. A. (1989). What Research Says to the Educator-Part Tw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Affective Domai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0(4), 6-13. https://doi.org/10.1080/00958964.1989.9943033
- Whitaker, V. and Matvienko, B. (1998). The deitrificati on potential and hydrological conditions in the wetlands of the Lobo resevoir. Internationale Vereinigung fur Theoretische und Angewandte Limnologie 26: 1377-1380.
- Winter, S. W.(1991). Diet of the oriental white stork(Ciconia boyciana) in the middle Amur region, USSR. In Coulter, M. C., Qishan, W. and Luthin, C. S. (eds.), Bi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Aiken: Savannah river ecology laboratory.
- 예산황새공원(2020). http://www.yesanstork.net
- 황새생태연구원(2020) http://www.stork.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