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Learner Choice Attributes of the Street Dance Academy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 선택속성 분석

  • 조아현 (한양대학교 공연예술학과) ;
  • 박성진 (서경대학교 실용무용학과)
  • Received : 2020.11.17
  • Accepted : 2020.12.21
  • Published : 2021.03.28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lection criteria for street dance institutes in the subjects of ordinary people and students majoring in street dance who select the institutes. Moreover, it aims to enhance the perception and values of street dance and to provide with the required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stitutes that train street dance. To do so, a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ubjects of 300 street dance learners who went to the street dance institute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Program with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summary, training programs, services, and promotional environment were identified to be important criteria to select the street dance institutes by the learners while the low level of perception on the price was found.

본 연구에서는 스트릿 댄스 학원을 선택하는 일반인과 스트릿 댄스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스트릿 댄스 학원 선택속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스트릿 댄스에 대한 인식과 가치를 높이고 스트릿 댄스를 전문 교육하는 학원들의 발전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스트릿 댄스 학원에 다니고 있는 300명의 스트릿 댄스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Reliability test),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일원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하였다.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 선택속성 구성 요소 중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 홍보환경이 가장 중요한 선택 속성요인으로 파악된 반면에 가격요인의 중요성은 비교적 낮은 인식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스트릿 댄스가 아이돌의 안무에 들어가거나 Mnet의 ‘Hit the Stage’, ‘블라썸’, KBS2의 ‘댄싱하이’ 등과 같은 TV 프로그램에 많이 노출되면서 스트릿 댄스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이러한 관심은 단순히 스트릿 댄스를 관람하는 형태에 그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를 발현시켰다.

스트릿 댄스는 말 그대로 거리 문화에서 생겨난 춤을 의미하며, 2000년대 전까지 국내에서 브레이크 댄스, 비보이 댄스, 힙합으로 불리던 장르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었다. 이러한 스트릿 댄스의 장르에는 팝핑, 락킹, 크럼프, 왁킹, 하우스, 프리스타일 힙합, 비보잉 등의 장르가 모두 포함된다.

이처럼 스트릿 댄스는 다양한 장르로 일반인들의 스트릿 댄스 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들이 참여할 수 있는 유형이 다방면으로 나타났다. 참여 방법으로는 유튜브 등의 영상을 통해서 춤을 학습하거나 댄스동아리 등에 참여하여 춤을 서로 공유하는 간접참여, 교육의 접근성이 높은 문화센터나 학원에서 배우는 직접 참여가 있다. [1]에 따르면 다양한 기회의 확대는 참여자들이 단순히 재미 위주의 취미활동뿐만이 아닌 전문적이고 심화된 수업 참여의 욕구를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따라서 직접적 참여는 더욱더 춤을 전문적으로 배우고자 하는 욕구가 높을 때 나타나는 교육 참여 형태라고 볼 수 있다.

특히 학습자가 스트릿 댄스 학원 교육에 참여할 때는 단순히 취미로 시작하는 경우에서 전문적으로 춤을 학습하여 전공으로 전향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학원은 학습자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체계적으로 교육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하며[2], 스트릿 댄스 학원의 교육은 전문반과 취미반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학습자는 전공과 취미 두 목적 중 하나의 유형으로 교육에 참여하게 된다. 이는 곧 학원 교육의 주체는 교육의 목적에 상충하는 다양한 학습자를 교육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원 경영적 측면에서 어느 한 유형의 교육목적을 지닌 대상에게 교육을 집중하기보다 여러 가지의 동기와 목적을 지닌 모든 학습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오늘날 스트릿 댄스 학원의 경우 네이버 ‘댄스학원’검색 결과 시 약 3,046건 (2020.11.04.13:09)의 학원 정보가 검색될 정도로 양적으로 팽창되어 경쟁이 더욱 심화되었다. 이에 따라 학원들은 경쟁력을 갖추고, 학습자들을 더욱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수적인 상황이 되었다.

실제로 인접 연구인 [3]의 연구에 따르면 요리학원 수강생들 대상으로 학습자들은 교육기관의 교육내용이 자신에게 적합한지 알아보고 자신의 욕구를 만족 시킬 때 교육에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원하는 목적과 욕구에 따라 교육내용과 방법을 충분히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4] 은 체육 입시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하여 학원의 분위기, 접근성, 강사의 지도능력, 학원의 인지도와 경쟁력 등이 선택의 주요 속성이라는 결과를 이끌어냈다. 그리고 [5] 은 학원 프랜차이즈 선택속성(학원의 인지도, 이용 경험, 편리성, 서비스 응대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이 선택속성 중 이용 경험과 전문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이끌어냈다. 즉, 학원들은 이런 내용들을 종합해봤을 때, 학원은 학습자들의 욕구충족과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방면에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그동안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스트릿 댄스 교육 분야에서는 교육 현황[6], 스트릿 댄스 참여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7][8], 학점은행제를 대상으로 한 스트릿 댄스 교육기관 연구[9][10] 등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그동안의 스트릿 댄스 교육 관련 선행연구들은 교육기관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학점은행제만을 집중적으로만 연구한 한계가 있다. 물론, 참여 동기와 만족도에 대한 타 기관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이 또한 청소년과 광주시민만으로 제한하여 연구가 이루어진 한계가 있다. 또한, 인접 연구로 학원들의 선택 속성 분석은 있지만 스트릿 댄스 전문 학원의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릿 댄스 학원을 선택하는 일반인과 스트릿 댄스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릿 댄스 학원을 선택할 때 두 학습자들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학습자들의 원하는 교육 욕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원하는 교육을 제공할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스트릿 댄스에 대한 인식과 가치를 높이고, 스트릿 댄스를 전문으로 교육하는 학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올바른 교육의 발전의 방향과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스트릿 댄스 학원을 다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17세~50세의 학생과 일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무선 표집방 법 중 편의표본 추출법을 이용하여 2019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총 31일간 직접 설문조사 및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 결과, 총 31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후 회수된 설문지는 301부 (91.6%)였다. 이중, 무응답 항목이 많거나, 동일한 척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응답한 불성실한 응답자 설문지 1부를 제외하고, 유효한 설문지는 총 300부(95.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인구통계 적 특성은 [표 1]과 같이 정리했다.

표 1. 인구통계 적 특성(N=300)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스트릿 댄스 학습자들의 학원 선택 속성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해서 구체적으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결혼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넷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섯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전공/비전공)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섯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학습목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곱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학습 기간) 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모형은 [그림 1]과 같이 도식화했다.

그림 1. 연구모형

3. 변수의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인구통계 적 특성, 교육기관의 선택속성 등 모든 설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 적 특성은 성별, 연령, 결혼 여부, 학력, 전공/비전공, 학습목적, 학습 기간 등 총 7개로 구성했다. 둘째,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은 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 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 등 6개로 구성했다. 이와 관련하여 각 변수의 측정항목 수, 측정 방법 등은 [표 2] 와 같이 정리했다.

표 2. 변수의 측정 도구

4. 신뢰도 분석

일반적으로 신뢰도는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동일한 조건의 측정대상에 대해 반복적으로 측정하였을 때 각 반복 측정치들 사이의 일관성의 정도, 즉 신뢰성에 대해 측정하는 것이 신뢰성 분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분석은 크론바 알파 (Cronbach's α) 계수를 활용한다.

본 연구의 신뢰도 분석은 [표 3-8]에 나타내었다. 신뢰도 분석 결과, 교육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 6가지 요인의 크론바 알파(Cronbach's α) 계수가 최소 0.637에 서 최대 0.908로 나타나, 내적 일관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측정 도구는 모두 신뢰할 만한 수준이다.

표 3. 신뢰도 분석 (교육환경)

표 4. 신뢰도 분석 (교육 프로그램)

표 5. 신뢰도 분석 (가격요인)

표 6. 신뢰도 분석 (서비스)

표 7. 신뢰도 분석 (강사)

표 8. 신뢰도 분석 (홍보환경)

5. 자료 처리 방법

본 연구는 스트릿 댄스 학원(교육기관) 학습자의 교육 기관 선택속성에 관한 설문조사로, 수집된 300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통계적 분석을 실시했다.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버전: 18.0)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첫째, 설문 응답자(300명)의 기본적인 표본을 바탕으로, 인구통계 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했다.

둘째, 300명이 응답한 측정 문항이 항상 비슷한 응답을 도출할 수 있는지, 즉 측정 문항은 높은 신뢰도를 보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다.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은 크론바 알파 (Cronbach's Alpha) 값을 바탕으로 분석 결과를 도출했다.

셋째, 각 변수 간 상호 연관성에 대한 기술통계, 그리고 변수 간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했다.

넷째, 본 연구의 핵심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 여부, 학력, 전공/비전공, 학습목적, 학습 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했다.

Ⅲ. 연구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상관관계는 서열 척도, 등간 척도, 비율 척도로 측정된 변수들 간의 관련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즉, 하나의 변수가 다른 변수와의 어느 정도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다. 따라서 상관관계 분석은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측정하고 묘사하기 위해 이용되는 통계학의 한 기법이다.

분석 결과는 [표 9]와 같다.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교육환경과 서비스(r=.615), 교육 프로그램과 가격요인(r=.637), 교육 프로그램과 서비스 (r=.790), 교육 프로그램과 강사(r=.751), 가격요인과 서비스(r=.685), 가격요인과 강사(r=.776), 서비스와 강사(r=.776), 강사와 홍보환경(r=.627) 등이 p < 0.01에 서 최소 60% 이상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9. 상관관계 분석

인구통계 변수(더미변수로 변환 후 사용)

(01) 성별: 0=여성, 1=남성

(02) 연령: 0=20대, 1=그 외

(03) 결혼: 0=미혼, 1=기혼

(04) 학력: 0=고졸(이하), 1=고졸(이상)

(05) 전공: 0=비전공자, 1=전공자

(06) 목적: 0=개인취미, 1=그 외

(07) 기간: 0=1년(미만), 1=1년(이상)

2. 차이 분석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은 통계학에서 두 개 이상 다수의 집단을 비교하고자 할 때 집단 내의 분산, 총 평균과 각 집단의 평균의 차이에 의해 생긴 집단 간 분산의 비교를 통해 만들어진 F 분포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정을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일원 분산 분석을 통한 차이 분석은 다음 절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절에서는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 여부, 학력, 전공/비전공, 학습목적, 학습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했다.

1)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성별 간 차이 분석

본 연구는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표 10]과 같으며, 모든 교육기관의 선택 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은 최대 p<0.05 유의수준에서 성별 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표 10.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성별 간 차이 분석

2)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연령 간 차이 분석

본 연구는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표 11]과 같으며, 모든 교육기관의 선택 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은 최대 p<0.05 유의수준에서 연령 간 차이가 발생했다.

표 11.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연령 간 차이 분석

3)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결혼 여부 간 차이 분석

본 연구는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결혼 여부) 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표 12]와 같으며, 교육기관의 선택속성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홍보환경)을 제외하고, 교육 환경, 서비스, 강사는 최대 p<0.05 유의수준에서 결혼 여부 간 차이가 발생했다.

표 12.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결혼 여부 간 차이 분석

4)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학력 여부 간 차이 분석

본 연구는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표 13]과 같으며, 교육기관의 선택속성 (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을 제외하고, 홍보환경은 최대 p<0.05 유의수준에서 학력 간 차이가 발생했다.

표 13.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학력 간 차이 분석

5)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전공/비전공 간 차이 분석

본 연구는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전공/비전공)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표 14]와 같으며, 모든 교육기관의 선택 속성(가격요인)을 제외하고, 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은 최대 p<0.05 유의수준에서 전공/비전공 간 차이가 발생했다.

표 14.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전공/비전공 간 차이 분석

6)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학습목적 간 차이 분석

본 연구는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학습목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표 15]와 같으며, 모든 교육기관의 선택 속성(교육환경)을 제외하고,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은 최대 p<0.05 유의수준에서 학습목적 간 차이가 발생했다.

표 15.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학습목적 간 차이 분석

7)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학습 기간 간 차이 분석

본 연구는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이 인구통계 적 특성(학습 기간) 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표 16]과 같으며, 교육기관의 선택속성 (교육환경,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을 제외하고, 교육환경은 최대 p<0.05 유의수준에서 학습 기간 간 차이가 발생했다.

표 16.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에 있어 학습 기간 간 차이 분석

Ⅳ. 논의

본 연구에서는 스트릿 댄스 학원을 선택하는 일반인과 스트릿 댄스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스트릿 댄스 학원의 선택 속성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첫째, 스트릿 댄스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 통계적 특성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요리 전문학원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 선택 속성과 교육서비스 품질이 수강생의 교육 만족도와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3]의 연구에서 대체로 학습자들의 성별에 따라 선택속성에 대한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미용학원 수강생의 학원 선택 요인이 교육 서비스 만족도와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11] 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며 이 연구 결과 일부를 지지해주고 있다. 즉, 스트릿 댄스 학습자가 교육기관을 선택할 때 있어서 선택속성의 요인과 성별은 관계없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스트릿 댄스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 통계적 특성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연령에 따라 홍보 환경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접 연구인인 제과제빵 학원생들의 교육기관 선택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12] 의 연구 결과와 부분 일치한다. 또한 국내 체대 입시 학원의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재등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13] 의 연구 결과와도 부분 일치하며 [11]이 연구한 미용학원 수강생의 학원 선택 요인이 교육 서비스 만족도와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와 부분 일치한다. 즉, 이러한 결과에 따라 연령대별로 홍보환경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가 다르며 연령대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홍보환경에 대해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학원을 선택하는 걸 알 수 있다.

셋째, 스트릿 댄스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 통계적 특성 결혼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차이가 발생하였다. 결혼 여부에 따라 교육환경, 서비스, 강사의 선택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미혼의 학습자가 기혼의 학습자들보다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홍보환경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접 연구인 미용학원 수강생의 학원 선택 요인이 교육 서비스 만족도와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11] 연구에서는 기혼의 학습자가 더 높은 인식의 중요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즉,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미혼/기혼의 학습자를 비교했을 때 모두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홍보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걸 알 수 있다.

넷째, 스트릿 댄스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 통계적 특성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였다. 학력에 따라 홍보환경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였다. 학력 중에서도 중졸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이 홍보환경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대학원 졸, 전문대졸, 고졸, 대졸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즉, 학원 경영 시 홍보 환경은 지역이나 타켓층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서 학력을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스트릿 댄스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 통계적 특성 전공/비전공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였다. 전공/비전공에 따라 가격 요인을 제외한 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공자와 비전공자 중에서 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 교육 환경,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의 선택 속성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서비스, 교육프로그램, 교육 환경, 강사, 홍보환경 순으로 차이가 발생하였다. 즉, 스트릿 댄스 전공 학습자는 비전공 학습자보다 스트릿 댄스에 대한 지식이 더 많기 때문에 학원을 선택함에 있어서 전체적인 환경과 프로그램 짜임새, 강사의 전문성, 학원의 브랜드 등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하고 결정한다는 걸 알 수 있다.

여섯째, 스트릿 댄스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 통계적 특성 학습목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였다. 교육환경을 제외한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연예인 지망생의 목적을 가진 학습자들은 서비스와 강사의 선택속성요인을 높게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접 연구인 보컬 댄스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 [14]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즉,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보아 연예인 지망생의 목적을 가진 학습자는 학원을 선택할 때 본인이 가지고 있는 학습목적과 충분히 일치하는지 신중하게 생각하는 걸 알 수 있다. 특히 다른 학습자들에 비해 강사의 경력과 신뢰도를 좀 더 중요하게 생각할 것이며 본인에게 수강 시간 내 교육에 대한 서비스와 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얼마나 제공하는지 등 선택속성 중에서도 강사와 서비스에 대해가 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스트릿 댄스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 통계적 특성 학습 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였고 교육기관의 선택속성 중에서 교육 프로그램만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1년 이상의 학습자들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3개월 미만, 1년 미만, 1개월 미만, 6개월 미만 순으로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접 연구인 미용학원 수강생의 학원 선택 요인이 교육 서비스 만족도와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11]의 연구 결과와 부분 일치한다. 또한 체대 입시 학원의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재등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13]의 연구결과와도 부분 일치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결과는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선택속성요인과 성별은 관계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오래 배운 학습자 혹은 전공자일수록 교육 프로그램의 차별성과 다양성을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공자와 비전공자 관계없이 두 학습자들 모두 본인의 수준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찾아 학원을 선택하는 교육적 욕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학원을 선택할 때는 학원의 홍보환경, 강사진들의 구성, 학원의 분위기, 타 학원과 어떤 차별성이 있는지 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연령대에 따라 10대와 40대는 홍보환경을, 20대는 교육환경을, 30대는 가격요인을, 50대는 서비스와 강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결혼 여부에 따라 교육환경과 서비스, 강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학습목적에 따라 학습자들이 원하는 교육 서비스가 다르기 때문에 학원은 학습자들의 목적에 따라 올바른 교육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스트릿 댄스 학원을 선택하는 일반인과 스트릿 댄스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스트릿 댄스 학원의 선택 속성을 분석하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트릿 댄스 학원을 다니는 학습자 3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IBM SPSS Statistics(버전: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통계 적 특성(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둘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통계 적 특성(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했으며, 홍보환경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10대의 학습자들의 홍보환경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통계 적 특성(결혼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했으며, 교육환경, 서비스, 강사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미혼의 학습자들이 서비스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통계 적 특성(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했으며 특히 대학원졸의 학력을 가진 학습자가 홍보환경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통계 적 특성(전공/비전공)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했으며 가격요인을 제외한 모든 선택속성인 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스트릿 댄스 전공 학습자들은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통계 적 특성(학습목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했으며 교육환경을 제외한 홍보환경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연예인 지망생 목적을 가진 학습자들은 교육 프로그램과 서비스 속성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 연예인 지망생의 목적을 가진 학습자들은 가격요인과 강사, 서비스, 홍보환경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곱째,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육 기관의 선택속성이 인구통계 적 특성(학습 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발생했으며 학습 기간이 1년 이상인 학습자들이 교육 프로그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 선택속성 구성 요소 중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 홍보 환경이 가장 중요한 선택속성요인으로 파악되었고 가격요인은 다른 선택속성요인들에 비해 가장 낮은 인식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스트릿 댄스 학원을 선택할 때 가격을 제외한 교육환경,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 강사, 홍보환경의 요인들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과정에 있어 향후 이루어져야 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지역과 서울특별시의 스트릿 댄스 학원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정하였을 뿐 아니라 연구자가 임의로 설정한 일부의 학원과 학교에서 스트릿 댄스 학원에서 수강하고 있는 일부 학습자들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후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지역을 확대해 지역별 데이터를 수집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현재 스트릿 댄스학원에서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르면 스트릿 댄스학원에 다니는 수강생들의 평균 연령은 10대~20대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령층을 축소하여 연구에서 설정한 특성변인 외에 다양한 변인들을 구성하여 진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10대의 대부분은 미성년자이기 때문에 학부모도 학원의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이 되었다. 따라서 추후 후속 연구에서는 학부모도 연구범위에 포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스트릿 댄스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학원 선택 속성만을 연구하였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나아가 스트릿 댄스 교육기관이 학습자들에게 더 나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재등록의 도의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이지연, 벨리댄스 워크샵 참여자의 심리욕구와 성취목표성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 송경순, 컴퓨터학원교육의 실태 및 발전방안, 전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 김수정, 요리전문학원의 선택 속성과 교육서비스 품질이 수강생의 교육 만족도 및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 김동철, IPA를 이용한 체육대학 입시학원 선택속성에 관한연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 양우영, 학원 프랜차이즈의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경쟁력 강화 방안,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6. 박성진, 안병주, "스트릿 댄스에 대한 전공별 인식 차이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1, No.4, pp.862-864, 2012.
  7. 이미영, 청소년의 스트릿댄스 참여 동기 및 참여만족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8. 강기원, 스트릿 댄스 참여 동기와 교육만족도 조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9. 윤다솔, 학점은행제 교육과정 내의 스트릿 댄스 교육 실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0. 홍옥현, 스트릿 댄스 전공자의 교육만족도 조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1. 차미숙, 미용학원 수강생의 학원선택 요인이 교육서비스 만족도와 진로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2. 한붕수, 제과제빵 학원생들의 교육기관 선택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3. 박문수, 국내 체대입시 학원의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재등록 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4. 이매, 보컬댄스 학원 선택요인이 수강생 만족도 재수강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