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도시화 진전으로 도시에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농촌지역 또는 도시지역으로 구분해 노인들의 자살 대응책을 모색하는 것보다는 직업(농림어업 종사)에 따른 노인들의 자살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순위 프로빗 모형을 이용해 농림어업에 종사하고 있는 노인의 자살 의향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외로움을 느끼는 농림어업 종사 노인의 자살 의향은 3.0% 증가, 일에 대한 가치를 소중히 느끼는 경우 자살 의향은 1.1% 감소, 지역의 소속감을 강하게 느끼는 경우 자살 의향은 2.7% 감소한다. 그리고 매일 만나는 가족이나 친척이 많을수록 농림어업 종사 노인의 자살 의향은 2.5% 감소한다. 하지만 동거 가족수가 매년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족(또는 친척)의 대면 접촉 확대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농림어업 종사자의 외로움이나 가족(친척) 대면 접촉의 한계를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증진 활동 노력과 연계하는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uicide problem of the senior citizens according to their occupation rather than simply dividing seniors according to whether they live in rural or urban areas to seek countermeasures against suicide. This study examines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icidal intentions of senior citizens engaged in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ndustries using the ranking probit model. As a result, the suicidal intention of senior citizens working in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industries who felt lonely increased by 3.0%, but the intention to commit suicide decreased by 1.1%, when they value their work, and the intent to commit suicide decreased by 2.7% when they feel a strong sense of belonging to their region. The more family members or relatives they meet every day, the suicide intentions of senior citizens in the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ing industries decreased by 2.5%. However, since the number of families living together is decreasing every year, there is an inevitable limit on face-to-face contact with family members or relat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y that links the loneliness of senior citizens in the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ing industries with the effort of public institutions to promote social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