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aker Education Program in School Maker Space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학교내 무한상상실을 활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21.01.15
  • Accepted : 2021.01.26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maker education program in school maker space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For research, we secured 18 period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with 5 categorie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and integrated these activities into an elementary maker education program in school maker space. Pre and post tes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is maker education program to assess the changing in participa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ker education program meaningfully improve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maker education program meaningfully improve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interview with the students, we could know that this program made the students have self-confidence and gave them favorable impression.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부산교육대학교 교내 연구과제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강성주, 김진수, 김태영, 윤지현, 양희선, 이승철, 김성인, 김원태, 김현우, 여혜원, 오필광, 이샛별, 황윤서(2020). (아두이노와 디자인 사고를 활용한)메이커교육. 고양: 다올미디어출판사.
  2. 강인애, 김명기(2017). 메이커 활동의 초등 자유학기제 학교 수업 적용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 487-515.
  3. 강인애, 김홍순(2017). 메이커 교육을 통한 메이커 정신의 가치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0), 250-26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250
  4. 강인애, 최성경(2017). 도서관 메이커 활동을 통한 메이커 정신의 가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9), 401-430.
  5. 공선명(2018). 메이커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창의성과 창의적 사고 과정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금혜림(2019). 메이커 교육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7. 김문제(2012). 예술을 꿀꺽 삼킨 과학. 서울: 살림출판사.
  8. 김보영, 곽승진(2017). 대학도서관의 메이커 스페이스 도입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3), 259-276. https://doi.org/10.16981/kliss.48.201709.259
  9. 김샛별(2019). 국내 메이커교육 동향 연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947-970.
  10. 김소영, 정유진, 황연숙(2016). 메이커 스페이스 구성 및 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8(1), 203-236.
  11. 김순식(2019). 소집단 토의 토론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54-63.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1.54
  12. 김용익(2018). 메이커교육 이론의 초등실과 적용 가능성 탐색. 실과교육연구, 24(2), 39-57.
  13. 김진희(2019). 대학원 수업방법으로서 메이커 교육의 가능성 탐색.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4), 1-10.
  14. 김홍정, 홍옥수, 조향숙, 임성민(2013). 융합인재교육(STEAM) 실시에 따른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269-289.
  15. 남기원, 이수연(2017). 메이커스페이스 탐색을 통한 유아메이커교육의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21(6), 205-228.
  16. 박용휘(2003).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진단 척도의 타당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변문경(2018). 발명교실 학생들의 메이커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1-9.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1.1
  18. 변문경, 조문흠(2016). 무한상상실 이용자의 경험분석과 과학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2), 337-346.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37
  19. 부산광역시교육청(2018). 초.중등 과학교육 기본 계획.
  20. 서울특별시교육청(2017). 메이커 교육[미래공방교육] 중장기[18-22] 발전 계획.
  21. 안무정(2018).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6가지 코드. 서울: 나비의 활주로 출판사.
  22. 엄승표, 이동원(2020). 메이커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26(4), 161-180.
  23. 여혜원(2019).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수업에서 학생들의 활동 과정 및 메이커 역량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윤지현, 김경, 강경주(2018). 메이커 역량 모델 개발 및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의 메이커 교육 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5), 649-665.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5.649
  25. 이봉규, 김현진(2019). 학교 안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기반 메이커 교육의 학습과정 탐색. 교육공학연구, 35(2), 159-192.
  26. 이승철, 김태영, 윤지현, 강성주, 김진수(2019).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1), 73-84.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1.73
  27. 이은희(2008). 실과의 '목제품 만들기' 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지선(2017). 메이커 교육에 디자인 사고 적용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54, 225-234.
  29. 이창윤, 홍훈기(2018). 메이커 활동에 기반을 둔 화학 탐구 R&E 프로그램의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8), 131-154.
  30. 정순이, 김민정(2019). 메이커교육(Maker Education)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7(2), 187-210.
  31. 조경미, 이연승(2018). 메이커교육에 기반을 둔 유아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효과. 유아교육연구, 38(1), 341-366.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1.014
  32. 하주일, 김경수(2015). 융합인재교육 모델로서 과학인형극 프로그램의 과학선호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효과.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1, 437-449.
  33. 한국교육개발원(2017). 교육정책포럼 290호.
  34. 황성진, 최정원, 이영준(2014). 초등정보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앱 제작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165-168.
  35. Martinez, S. L., Stager, G. S. (2015). Creative teaching, Effective teaching, Classroom environment [메이커 혁명, 교육을 통합하다]. 송기봉, 김상균(역). 서울: 홍릉과학출판사.
  36. Klaus Schwab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제4차 혁명]. 송경진(역). 서울: 새로운현재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