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Child Abuse

보육교사의 인성과 아동학대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강영욱 (서울한영대학교 유아특수재활학과) ;
  • 채신영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아동보육과)
  • Received : 2020.11.18
  • Accepted : 2021.01.19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childcare teacher personality and child abuse, and provides basic data on personality education and coping strategies for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 survey was conducted on 326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Incheon, Korea.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subjected to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s Z-test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with using SPSS 20.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was found that job performance, a sub-factor of childcare teacher personality, had an effect on child abu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 personality, humanity, creativity and personality, social relations, and job performance had an effect on job stress. Third, it was found that childcare activities,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had an effect on child abuse. Fourth, it was found that childcare activities, sub-factors of job stress, partially mediated between job performance and child abuse, a sub-factor of childcare teacher persona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prevent and contain child abuse by childcare teachers, specific plan must be actively prepared to improve job performance skills related to childcare teacher personality and reduce the burden of child care activities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 간에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보육교사를 위한 인성교육과 직무스트레스 대처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Sobel의 Z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직무수행이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인간애, 창의·인성, 사회관계, 그리고 직무수행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 학부모와의 관계가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직무수행과 아동학대 사이에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에 의한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해 보육교사 인성과 관련된 직무수행 능력 향상과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의 부담을 감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Ⅰ. 서론

최근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보육교사에 의한 아동학대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2018년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발표에 의하면 아동학대 건수는 2014년 10, 027건에서 2018년 24, 604건으로 해마다 11, 715건(2015년), 18, 700건(2016년), 22, 367건(2017년)으로 증가되었다. 이중 보육교직원에 의한 아동학대는 2014년 300건 (3%), 2015년 432건(3.7%), 2016년 501건(3.2%), 2017년 843건(3.8%), 그리고 2018년 811건(3.3%)으로 2014년 대비 약 3배 정도 증가하여[1][2], 보육 교직원에 의한 아동학대의 심각성이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었다.

영유아는 신체적․정신적으로 미숙한 상태로 부모나 아동 양육자로부터의 특별한 보호와 지원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권리를 아동복지법에서는 명시하고 있다. 어린이집은 새로운 사회화 기관으로서 영유아의 전인적 성장뿐만 아니라 또래와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사회의 구성원으로 적응하기 위한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곳이다. 특히 보육교사는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와 1차적인접촉을 하는 사람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하면서 영유아의 발달과 성장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가장 안전하게 보호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보육교사에 의한 학대는 영유아에게 심각한 상처가 되며 정상적인 성장발달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2017년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의 학대행위 자로 서 보육 교직원의 특성을 살펴보면, 전체 891건 중에 정신적 장애(0.1%), 양육태도 및 방법부족(9.1%), 성격 및 기질문제(1.2%), 사회․경제적 스트레스 및 고립(3.5%), 특성 없음(13.8%), 파악 안됨(72.3%) 등으로 나타났다 [3]. 학대행위자로서 특성이 없거나 파악이 안 된다는 것은 조심스러운 해석이나 누구나 아동학대를 할 수 있는 소지가 있음으로 이해될 수 있다.

어린이집에서 일어나는 아동학대는 보육교직원의 보육전문성 문제, 원장의 보육전문성 문제, 어린이집의 위계적 조직 특성, 업무 과중, 교사 간 반목, 교사 간의 소통 부재, 원장과 교사 간 갈등과 부모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했다[4]. 어린이집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1순위가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79명, 39.3%), 2순위 아동발달과 보육에 대한 지식 부족(65 명, 32.3%), 3순위 업무와 스트레스(56명, 27.9%) 등으로 나타났다[5]. 또한 유치원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원인 및 예방대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교사의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95명, 58.6%), 교사의 그릇된 인성(35명, 21.6%), 아동의 부정적인 특성(22 명, 13.6%)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아동학대 예방 대책으로는 교사의 근무환경개선(71명, 43.8%), 교사 대 아동 비율 감소(64명, 39.5%), 교사의 인성교육(15명, 9.3%), 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향상(11명, 6.8%) 순으로 나타났다[6]. 또한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발생 원인으로 지목된 요인은 직무여건, 직무태도, 직무만족도, 직무특성 등이었고 보육교사의 개인적 요인과 인성이었다[7][8].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 스트레스를 아동학대의 주원인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보육교사의 인성교육의 필요와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보육의 기본 틀을 끊임없이 변화 시켜 왔으며, 보육 프로그램과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향상을 위해 노력한 결과 양질의 프로그램과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향상이 꾸준히 이루어졌다[9][10]. 그러나 최근 어린이집에서 발생되는 빈번하고 심각한 아동학대 사건은 보육환경이나 보육 프로그램, 보육 교사의 전문지식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음을 시사한다.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자질은 전문성과 인성 두 가지이다.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에 의한 상습적인 아동학대와 비윤리적인 기관운영 등과 같은 전문성 부족의 문제들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었고 지탄을 받고 있다[11]. 또한 보육교사의 인성은 유아의 성장과 발달뿐만 아니라 유아의 인격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보육교사의 인성은 영유아의 전인적 성장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적 환경이라는 점에서 물리적 환경보다 더욱 중요한 자질이라고 할 수 있다[12].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로서의 직무를 수행할 때 경험하게 되는 긴장, 욕구좌절, 불안, 분노, 의기소침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의미한다[13]. 보육교사가 경험하게 되는 직무스트레스는 과중한 업무, 높은 직무부담감, 열악한 근무환경, 동료 및 학부모, 원장과의 관계, 그리고 행정적 지원의 부재 등으로 인해 유발되고 [14],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영유아와 가족에게 제공하는 보육서비스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실 내에서 불안, 긴장, 분노, 과민, 짜증 등의 부정적인 감정 표현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교사의 부정적 정서는 아동과 교사간의 관계를 악화시킨다. 교사가 경험하는 지속적인 직무 스트레스는 아동학대를 유발시킬 수 있다.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아동학대는 보육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요인이다.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5][15]에서도 아동학대 발생 원인의 1순위가 과중한 업무와 직무스트레스로 나타난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연구[16]는 보육교사의 인성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낮아지고, 교사와 영유아간에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아동학대가 감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동학대 피해아동은 생애 초기 발달과정에서 폭력과 거부에 노출되어 기본적 신뢰감 형성이 어렵고, 영유아시기의 학대 경험은 트라우마로 남아 지속적인 불안, 회피, 과잉행동, 공격적 행동, 비사회적 행동, 그리고 문제행동을 보일 수 있다. 또한 방송매체를 통해 보도되는 보육교사에 의한 강도 높은 아동학대는 부모들의 불안과 불신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신뢰감 형성을 통해 부모가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도록 아동학대 예방과 방지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보육교사의 인성에 대한 관심은 2015년 인천 송도국제도시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보육교사 아동학대 사건 보도로 인해 교사인성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제기되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아동학대 사건으로 인해 관심이 더욱 집중되었으나 이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이 미흡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인성과 아동학대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뿐만 아니라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등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어 보육교사의 인성과 아동학대와 관련된 연구도 많지 않다. 또한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스트레스, 아동학대를 함께 조망한 연구 역시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보육교사의 인성과 아동학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스트레스, 아동학대를 동시에 조망하여 보육교사를 위한 인성교육과 직무 스트레스를 완화 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지닌다.

Ⅱ. 이론적 배경

1. 보육교사 인성

보육교사 인성은 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로서 보육의 궁극적 목적 달성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보육의 목적은 새로운 지식과 경험의 습득을 통해 미래사회에 적응적인 사람, 미래사회를 주도할 역량 있는 사람을 길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바람직한 인성을 갖춘 교사가 필요하다.

전재선, 최종욱(2012)은 유아교사의 인성 자기평가 도구 개발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인성 특성을 자애, 자아실현, 인간관계, 직무수행, 창의ㆍ인성 등 5 가지를[17] 제안하였다. 이후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해 인성덕목을 자기이해, 사회관계, 기본소양, 자기개발 등 4개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다[18]. 또한 이미자, 강은주(2019)는 전재선의 인성자기평가 도구를 수정하여 인간애, 긍정적 자아개념, 사회관계, 직무수행, 창의ㆍ인성 등을 제안하였다[19].

교사인성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것은 우리나라의 경우 1967년 초등학교 교사의 인성에 관한 연구[20], 1975년 교사의 인성특성이 아동 인성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21] 시작으로 1995년 특수유아교사 [22]와 유아교사의 자질[23]에 관한 연구, 보육교사의 자질에 대한 연구와 영유아의 인성에 대한 연구[24] 등으로 확대되었다. 외국의 경우 Stone과 Church (1968)는 아동을 좋아하는 마음, 아동에 대한 철저한 이해, 교사로서의 전문 지식, 기민한 관찰자, 아동의 지적ㆍ정서적 경험을 해석하고 명백히 하며, 우연히 발생하는 기회를 학습으로 이용하는 참여자, 신체적인 정력 [25] 등을 유치원교사의 조건으로 제시하였다. Leeper, Skipper 그리고 Witherspoon(1979)이 제기한 유아 교사의 개인적 특성은 개방성, 유머감각, 능력, 신뢰, 외모, 창의성, 말씨, 목소리, 의사소통능력[26] 등이다. Seefeldt(1980)는 아동을 좋아함, 아동의 현제 수준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 융통성, 선입견을 갖지 않음, 지적 호기심, 실제적 경험이 수반된 수업 능력, 아동과 부모에 대한 이해와 그들을 좋아함, 교사자신의 필요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 흥미, 미래 성장 능력[27] 등을 교사의 특성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을 살펴볼 때 영유아 교사의 인성적인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의 보육교사 인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김영은(2016)은 긍정적 자아개념, 교사의 인간애(이타심, 용서), 직무수행(자신이 역할에 대한 신뢰형성), 사회관계(자지 조절, 의사소통, 공감적 이해), 창의ㆍ인성(유모/ 위트, 사회문제인식, 창의적 성향)[28]을, 이영림(2016) 은 존중, 배려, 원만한 인간관계, 협동, 절제, 성실, 책임 등을 제안하였다[29]. 염은하(2020)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도덕성, 사회성, 소명의식, 학생열정, 교육신념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고[30], 이혜진(2020)은 인간애, 긍정적 자아, 사회관계, 직무수행, 창의ㆍ인성 [31]을 제시하였으며, 정은희(2019)와 김숙미, 구광현, 김보현(2020)은 원만한 인간관계, 성실성, 유아에 대한사랑, 도덕성, 인간애, 봉사정신, 인내심[32][33] 등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보육교사 인성 요인은 연구자마다 다양한 요인을 제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인성을 전재선, 최종욱(2012)[17] 과서현, 임지윤, 박미자(2013)가 제시한 인간애, 자아개념, 사회관계, 직무수행, 창의ㆍ인성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34].

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보육교사는 다른 직종에 비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사 개인 특성과 자질, 교내의 학생관련 문제, 동료교사 관계에서의 문제, 경영자, 행정 당국, 학부모 관계, 근무 조건 등 개인과 인적ㆍ물리적 환경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한다[35]. 이러한 직무 스트레스는 동료교사나 학부모와 친밀한 관계 유지를 위한 지속적 긴장상태, 유아의 안전사고 위험, 학부모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존심이나 안녕의 위협 상태 지각, 스트레스 상황에서 평형 유지를 위한 심리적 대처기재와 생리적 변화의 결과로 경험하기도 한다[36].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는 영유아와의 보육활동, 행정관리자와의 관계, 교사 상호간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시간 관리의 어려움, 교사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적 증상,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증상 등 8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다[37]. 김리진, 홍연애 (2013)는 보육교사 스트레스를 유아, 동료 관계, 원장, 부모, 업무, 심리적 증상, 신체적 증상 등 7가지 하위요인으로 설명하였고[39], 장성예, 이주연(2018)은 아동들과의 활동, 업무관련, 시설설비, 행정적 지원, 동료 관련, 학부모관련, 경제적 안정 등 7가지로 범주화하였다 [38]. 최근 연구에서는 업무과부하,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원장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40][41]과 이에 보육활동을 추가하여 연구하기도 하였다[42]. 또한 조형숙, 정우영, 길민영(2018)은 1989년부터 2018년까지의 65편의 국내 석ㆍ박사학위논문과 31건의 학술지 자료를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을 개인관련(자기이해, 성격요인, 정서요인), 관계 관련(대인관계), 조직/행정관련(조직분위기, 관리자 요인), 업무관련(직무태도, 역할), 수업/전문성 관련(유아와의 활동, 교사자질, 교육신념) 등의 요인으로 범주화하여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도 하였다[43].

이러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아동학대와 관련이 높다[44].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과 보육교사로서의 역할수행,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45][46].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교사 자신과 영유아 교육기관 구성원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증가는 개인의 신체적ㆍ심리적ㆍ정신적인 문제행동과 사회적 관계의 부적응 행동을 나타내기도 한다. 심지어 직무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아동학대와 같은 문제행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44][4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제기된 하위요인의 공통적 요인과 최근에 제기된 요인을 중심으로 학부모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업무 과부하,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지원 부족, 보육활동으로 설정하였다[40-42].

3. 아동학대

우리나라 아동복지법에서 아동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에 의하여 아동의 건강과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ㆍ정신적ㆍ성적 폭력 또는 가혹행위 및 아동의 보호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와 방임’[48]으로 정의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아동학대와 관련된 법은 1930년 조선통신사의 아동학대방지법안: 朝鮮父母の警醒すべき事(아동학대방지법안: 조선부모가 경계하고 깨우쳐야 할 것)이 기록으로 남겨져 있다[49]. 이후 1933년에 아동학대방지법이 제정되었다[50][51]. 이는 당시 부모들의 아동학대를 방지하고자 마련된 법안이다.

우리나라의 아동학대에 대한 입법적 변화는 요보호아동 보호를 중점으로 1961년 제정된 아동복리법, 1981년 아동복지법 등에서 아동복지서비스의 전문화와 다양화를 지향하였다. 그러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예방, 방지를 위한 공적인 노력은 미흡하였다. 또한 1998년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과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으나 이 두 법은 배우자 폭력에 대한 입법적 조치로서 아동학대의 주요 근거 법령과는 거리가 멀다[52].

이후 1991년 아동권리협약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없이 유엔아동권리협약이 비준되었고, 2000년 아동복지법의 전면개정과 2014년 아동학대처벌법 제정 및 시행으로 아동학대가 사회문제로 제기되면서 점차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공의 책임을 가져야 함을 비로써 인식하게 되었다. 현재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처벌법은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개념을 규정하여 아동학대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였고, 아동보호전문기관 설치와 의무규정을 마련하여 피학대아동을 위한 긴급 조치 및 보호 체계 등과 관련된 조항 신설과 제도를 마련하였다. 또한 현행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처법은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상황과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일부 수정 및 개정해 나가고 있다[52].

아동복지법에서는 아동학대의 유형을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 방임 등 4가지로 구분[48]하였다. 첫째, 신체적 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우발적인 사고가 아닌 상황에서 신체에 손상을 주거나 또는 신체의 건강 및 발달을 해치는 모든 행위이다. 둘째, 정서적 학대는 보호자, 성인이 아동에게 행하는 언어적 모욕, 정서적 위협, 감금이나 억제, 기타 가학적인 행위로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것으로 언어적ㆍ정신적ㆍ심리적 학대라고도 한다. 셋째, 성적 학대는 보호자 및 성인이 자신의 성적 충족을 목적으로 아동에게 행하는 모든 성적 행위로 아동에게 음란한 행위를 시키거나 이를 매개하는 행위 또는 아동에게 성적수치심을 주는 성희롱 등의 성적학대행위를 말한다. 그리고 넷째, 방임은 자신의 보호ㆍ감독을 받는 아동에게 위험한 환경에 유기하거나 아동에게 필요한 의식주를 포함한 기본적인 보호ㆍ양육ㆍ치료 및 교육을 소홀히 하는 행위로 물리적 방임, 교육적 방임, 의료적 방임, 유기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아동학대의 문제는 아동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3][53][54], 재학대와 아동학대가 대물림되는 악순환을 겪게 된다는 것이다[55], 심지어 영유아 기관의 교사가 된 후에도 아동학대 행위가 나타날 수 있으며, 학대행위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체벌에 대해서 높은 허용도를 가지게 된다[44][56][57]. 따라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상황과 관련하여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감소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가 당면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해소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직무 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인성과 아동학대 간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4. 보육교사 인성, 직무스트레스, 아동학대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는 높은 상관을 나타낸다. 박윤조, 임명희, 안정숙(2015)은 보육교사 인성이 높을수록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많다고 지적하면서, 인성이 높은 보육교사로 인한 학대 발생률이 적을 수 있음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보육교사 인성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와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긍정적이고, 이는 아동학대 발생률을 낮출 수 있음으로 해석하였다[16].

보육교사 인성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보육교사 인성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58], 인성의 하위요인인 인간애, 긍정적 자아개념, 창의ㆍ인성이 직무만족도, 동료관계, 원장과의 관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59][60], 인성이 원장의 운영방식과 태도,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61]. 이는 보육교사 인성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적은 것으로 이해된다[62].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와 아동학대 및 아동학대 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42][44]는 이들 요인이 관계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높은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사고 예방 인식이 낮으나 실제 연구결과는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으로 인해 예방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였고, 높은 직무스트레스는 오히려 문제를 사회적 지지 추구와 문제해결 중심의 대처보다 문제 상황을 회피하기도 하였다[63-65]. 최근의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효과인 연구는 박선미, 장용언 (2019)[66], 김근혜(2018)[67], 김은경, 곽경화(2019)[68], 구민주, 신여울, 박다은(2018)[69], 김정희, 조숙영 (2019)[70] 등이 있다.

끝으로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 직무스트레스 간의 매개효과 연구의 경우, 직무스트레스와 아동학대 간에 매개효과가 없거나[66], 아동학대와 인권감수성[67] 간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 간에 매개효과 및 조절 효과가 유의미하기도 하였다[44][68].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각 요인에 대한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가정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모형에서 개인의 연령, 결혼유무, 경력, 근무시간, 급여, 담당아동 연령, 학력, 시설유형 등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변수는 통제변수로 하였다[그림 1].

CCTHCV_2021_v21n2_31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배경에 따른 연구모형에서 독립변수는 보육교사 인성, 매개변수는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종속변수는 아동학대로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에 따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1. 보육교사 인성은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보육교사 인성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직무스트레스는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 사이를 매개할 것이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 어린이집 50개소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조사 이전에 20 일간어린이집 5개소의 보육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내용을 수정ㆍ보완하였다. 본 조사는 350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24부를 제외한 326부를 최종 분석 및 해석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2. 측정도구

2.1 보육교사 인성

보육교사 인성 검사도구는 전재선(2011)이 개발[69] 한 인성자기평가도구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은 인간애(10문항), 긍정적 자아개념(10문항), 사회관계(10문항), 직무수행(10문항), 창의 인성(12문항) 등 5개요인(총 5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의 척도는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평가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바람직한 인성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52 문항 신뢰도는 Cronbach’s α .91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9 ~ .94이었다,

2.2 직무스트레스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는 김정자(2014)가 수정ㆍ보완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70], Clark(1980) 개발[71], D'Arienzo, Moracco와 Karajeuski(1982)가 수정한 교사 직무스트레스 요인 [72], 신혜영(2004)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척도 [73])와 양안숙(2008)이 개발한 보육교사 직무 스트레스[74]를 본 연구를 위해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은 업무과부하(8문항), 동료와의 관계(8문항), 학부모와의 관계(8문항), 원장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8문항), 보육활동(8문항) 등 총 40문항이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평가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40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α .93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2 ~ .94이었다,

2.3 아동학대

아동학대검사는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제시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아동학대검사 하위요인은 신체적 학대(1, 2, 3*, 4*; 4문항), 정서적 학대(5*, 6*, 7*, 8*, 9*, 10; 6문항), 방임(11*, 12*, 13, 14*, 15; 5문항), 성적 학대(16*, 17, 18; 3문항) 등 총 18문항(*은 역채점 문항)이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평가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학대가 많은 것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18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α .82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75 ~ .86으로 나타났다.

3.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알아보았고,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각 변인의 회귀분석을 위한 분석 자료의 정규분포 가정 여부 판단을 위해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왜도 및 첨도를 산출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보육교사의 인성과 아동학대 간에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78]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검증을 위해 Sobel의 Z검증을 실시하였다. Sobel의 Z검증은 p< .05 수준에서 1.96보다 크고 –1.96보다 작으면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해석된다.

Ⅳ. 연구결과

1. 보육교사 인성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 인성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보육교사 인성 5개 하위요인을 투입한 회귀분석 결과를 [표 1]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선 전체 회귀모형의 설명력과 모형의 적합성을 살펴보면,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인 아동학대의 설명력은 14%(R²= .14) 로나타났다. 연구에서 설정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F= 8.74, p= .000). 또한, 독립변수 간 선형관계를 갖고 있을 때 발생하는 다중공선성이 의심되어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검증한 결과, 공차한계는 모두 1.0 이하이며, 분산팽창요인(VIF)은 10.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으므로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다고 판단된다.

표 1. 보육교사 인성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21_v21n2_315_t0001.png 이미지

***p< .001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중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수행(β= -.43, t= -4.46)으로 나타났다 (p <.05). 이는 보육교사가 직무수행을 잘 수행할수록 아동학대가 감소한다는 의미이다.

2. 보육교사 인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 인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전체 회귀모형의 설명력과 모형의 적합성을 살펴보면, 설명력은 5.3%(R²= .053)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에서 설정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F= 2.82, p= .001). 또한, 독립변수 간 선형관계를 갖고 있을 때 발생하는 다 중공선 성이 의심되어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검증한 결과, 공차 한계는 모두 1.0 이하이며, 분산팽창요인(VIF)은 10.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으므로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다고 판단된다.

표 2. 보육교사 인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21_v21n2_315_t0002.png 이미지

*p <.05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중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은 인간애(β= -.17, t= -1.98), 사회관계(β= .21. t= 2.27), 직무수행(β= .24. t= 2.31), 창의ㆍ인성(β= -.22. t= -2.16)으로 나타났다(p< .05).

3.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직무스트레스 5개 하위요인을 투입하여 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전체 회귀모형의 설명력과 모형의 적합성을 살펴보면, 설명력은 12%(R²= .12) 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에서 설정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F= 7.10, p= .000). 또한, 독립변수 간 선형관계를 갖고 있을 때 발생하는 다 중공선 성이 의심되어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검증한 결과, 공차한계는 모두 1.0 이하이며, 분산팽창요인(VIF) 은 10.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으므로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다고 판단된다.

표 3.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21_v21n2_315_t0003.png 이미지

*p<.05, ***p<.001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은 보육활동(β= .24, t= 2.87), 학부모와의 관계(β= -.47. t= -4.99)로 나타났다(p< .05).

4.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분석 절차에 따랐다. 첫째, X와 Y간의 상관관계, X와 M간 상관관계, M과 Y간 상관관계가 유의하여야 한다. 둘째, 만약 X와 Y사이에 M이 개입된 상태에서 X와 Y관계가 유의하지만 약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변하면 부분매개가 되며, X와 Y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상태로 변하면 완전매개가 된다고 보았다.

또한, 연구가설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의 Z 검정을 사용하였다. Sobel의 Z검정은 계수값 a와 b가 다변량 정규분포를 보여야 하고, 곱(a x b)이 다변량 정규분포를 나타난다는 가정을 만족해야 한다.

Sobel의 Z검정식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z=\frac{a \times b}{\sqrt{b^{2} \times s_{a}^{2}+a^{2} \times s_{b}^{2}}}\)

a=비표준화 계수, Sa=a의 표준오차,

b=매개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비표준화 계수, Sb=b의 표준오차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가설검증을 실시할 수 있다.

H0: X1과 X3의 간접효과(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다.

H1: X1과 X3의 간접효과(매개효과)는 유의하다.

4.1 직무스트레스의 보육활동 매개효과 검증

독립변수들이 아동학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독립변수 중 직무수행(β= -.44, t= -4.70)만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5). 매개변수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 (β= .20, t= 3.58)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표 4]에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의 하위요인 보육 활동을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경로 중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직무수행의 유의성 정도가 약간 줄어들어 매개변수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은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직무수행과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부분 매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직무수행이 높은 보육교사는 아동학대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로는 직무수행이 높으면, 보육활동이 높아지고 아동학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표 4. 직무스트레스의 보육활동 매개효과 검증

CCTHCV_2021_v21n2_315_t0004.png 이미지

***p< .001

CCTHCV_2021_v21n2_31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직무스트레스 보육활동의 부분매개효과

4.2 직무스트레스의 학부모와의 관계 매개효과 검증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학부모와의 관계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회귀모형의 설명력과 모형의 적합성을 살펴보면,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인 아동학대에 대한 설명력은 12%(R²= .12)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에서 설정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F= 6.18, p= .000).

[표 5]에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중 학부모와의 관계를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경로 중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직무수행이 유의하지만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학부모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아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3].

표 5. 직무스트레스의 학부모와의 관계 매개효과 검증

CCTHCV_2021_v21n2_315_t0005.png 이미지

***p< .001

CCTHCV_2021_v21n2_315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직무스트레스 학부모와의 관계 부분매개효과

위의 결과를 이용하여 보육교사의 인성과 아동학 대간에 직무스트레스의 부분매개효과를 Sobel의 Z 검증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표 6]과 같이 제시하였다.

표 6. 부분매개효과 경로계수와 Sobel 검정 결과

CCTHCV_2021_v21n2_315_t0006.png 이미지

Sobel의 Z검증결과, 보육교사 인성 중 직무수행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 중 보육 활동의 부분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이 .05수준에서 확인되었다(Z= 1.80, p= .04).

Ⅴ.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보육교사 인성이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로는 보육교사 인성을 설정하여 인간애, 사회관계, 긍정적 자아개념, 직무수행, 창의ㆍ인성을 하위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는 아동학대로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 방임을 하위요인으로 하였다. 매개변수는 직무스트레스로, 직무수행, 업무과부하,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원장의 지도력과 행정적 지원, 보육활동을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조사대상은 인천광역시 50개소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보육교사 350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ㆍ회수하여 수집된 설문지 중 326부를 부호화하여 분석처리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Sobel의 Z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 인성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직무수행이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아동학대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직무수행은 자신이 맡은 사무를 하는 것으로, 보육교사의 직무는 보육활동과 유아보호 관련 업무이다. 보육교사가 보육업무를 성실하게 이행함으로서 영유아의 신뢰를 높이고 영유아와 교사간 긍정적 상호관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긍정적 상호관계는 아동학대와는 거리가 멀다. 즉 보육교사의 책무인 아동의 보호와 교육에 성실히 임하는 자세와 태도가 아동학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최미곤(2016)의 연구[58]에서 인간애, 긍정적 자아개념, 직무수행, 창의성이 영유아와 교사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인간애, 직무수행, 창의성이 행동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수행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최미곤의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직무수행이 아동학대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는 아동학대를 감소시키기 위해 인성교육 중 어느 부분을 더 강조해야 하는지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보육교사 인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인간애, 창의 ㆍ인성, 사회관계, 직무수행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다. 즉 인간애와 창의ㆍ인성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 감소하고, 사회관계와 직무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박윤조, 임명희, 안정숙(2015)의 연구 [16]에서 창의ㆍ인성을 제외한 인성의 하위요인들이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와도 일부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다른 하위요인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보육교사 인성 요인 중 인간애와 창의ㆍ인성, 사회관계와 직무수행은 의미하는 바가 조금 다르다. 인간애와 창의ㆍ인성은 따뜻한 마음 또는 공감능력이라 할 수 있으며, 사회관계와 직무수행은 인내, 성실, 책무, 신뢰 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 이러한 차이가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정도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원만한 사회관계를 이루기 위해서 지속적인 긴장과 많은 인내가 필요하며 직무수행을 잘하기 위해서는 성실성, 근면성, 책임감 등이 따른다. 업무의 성과는 효과적으로 잘 이룰 수 있지만 과다한 업무에서 오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가 어려울 수 있다고 본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 학부모와의 관계 등이 아동학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활동과 학부모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아동학대수준이 높다는 의미이다.

보육활동은 영유아와 같이 있는 시간동안 쉴 틈 없이 진행되는 보호와 교육활동이다. 영유아 특성상 예기치 않은 일들이 발생함으로 해서 오는 정신적ㆍ신체적 스트레스가 아동학대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학부모에게 받는 스트레스는 학부모의 지나친 참견과 지나친 요구, 영유아에게 어떤 일이 발생할 시에 상당한 압력과 피해가 돌아올 수 있다는 지각이 영유아를 더 조심스럽게 대하게 될 수도 있다. 이진영(2016)의 연구[71]에서 직무 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그중 학부모와의 관계가 하위요인들 중 아동학대에 가장 적게 영향을 미치는 결과에서도 이해할 수 있다.

넷째,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 사이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직무수행이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수행이 높을수록 아동학대가 감소하는 관계에서 보육활동으로 인해 아동학대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의 다른 하위요인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보육교사 인성이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무수행이 아동학대를 감소시키는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인 보육활동의 매개효과로 아동학대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직무수행 자체는 아동학대를 감소시키는 요인이지만 보육 활동으로 발생한 스트레스로 인해 아동학대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직무수행을 잘 한다는 것은 일이 많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일이 많아지면 보육활동이 많아지며, 보육 활동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아동학대를 유발시키게 된다. 결국 직무수행은 아동학대 감소 효과를 낮추게 되는 것이다. 직무수행을 잘하면 영유아와 교사 간에 긍정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좋은 관계가 이루어지지만 보육 활동이 많아짐으로 해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육체적ㆍ정신적 피로감과 소진현상을 불러일으킨다. 이는 곧 아동학대로 이어질 수 있다. 직무수행 능력이 있는 교사가 더 많은 일을 소화하도록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명확한 업무분장을 통해 정해진 업무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주어져한다. 이는 유능한 보육교사의 소진 및 이직 현상을 방지하는 일이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영유아의 안전한 보육생활을 보장하는 것이 될 것이다. 현재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여 비교가 가능하지 않으나 본 연구를 시작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 인성,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 인성,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간의 영향을 살펴보고,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 인성교육과 직무스트레스 감소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인천광역시 50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기에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표본추출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조사는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의 평가 방법을 자기기입식으로 하였기에 실제 타인이 보는 인성과 피학대 영유아의 피학대 경험과의 괴리가 있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영유아나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양적연구 뿐만 아니라 보육 교사의 학대 경험과 피학대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연구의 폭과 깊이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의 원인을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스트레스에만 한정하였기에 아동학대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차후 보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 요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보육교사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의 필요성이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인성이 높을수록 아동학대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학대 감소 및 예방을 위한 보육교사 인성교육을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보육교사 인성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시 한 번 보육교사를 위한 인성교육이 필요함을 제기한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중 보육 활동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최근 어린이집 평가는 보육교사의 업무 및 보육 활동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평가영역, 평가지표, 평가항목의 수를 줄여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의 보육인력에 비해 보육교사가 체감하는 업무와 보육 활동에 대한 부담은 여전하다. 따라서 보육교사를 위한 인성교육 및 관련 교육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대체 인력 지원, 보육교사가 보육활동 본 업무에 충실할 수 있는 서류업무의 간소화와 보육활동 지원,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 제시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 이 논문은 채신영의 박사학위논문을 재구성한 것임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아동보호전문기관, 2018 아동학대 주요통계, 보건복지부, 2019.
  2. 오삼광, "아동학대 현황과 대응방안," 젠더리뷰, 제58권, pp.52-60, 2020.
  3. 보건복지부, 아동보호전문기관, 2017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2018.
  4. 정선아, 장화정, 김경희, 김미경, 박보영, "어린이집 아동학대 발생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연구," 아동과 권리, 제22권, 제3호, pp.351-382, 2018.
  5. 유성연, 유아교사의 직무환경 만족도와 자아개념의 아동학대경향에 대한 관계,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 한진원,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유치원내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신고태도," 유아교육학논집, 제21권, 제1호, pp.237-261, 2017.
  7. 이명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대응방안," 아동보호연구, 제2권, 제1호, pp.99-120, 2017.
  8. 이용주, 조숙영,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인성, 아동학대 예방행동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12호, pp.235-243, 2019.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12.023
  9. 김경호, 차은진, "보육교사의 역할 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4권, 제4호, pp.231-262, 2012. https://doi.org/10.22944/KSWA.2012.14.4.009
  10. 이근주, 영아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자율 장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1. 이경민, 최윤정, 박정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2권, 제2호, pp.73-96, 2013.
  12. 김영은, 이희선,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육아정책연구, 제10권, 제1호, pp.49-72, 2016.
  13. C. Kyriacou, "Teacher stres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Review, Vol.53, pp.27-35, 2001. https://doi.org/10.1080/00131910120033628
  14. 이종각,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 정서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조직 몰입간의 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5. 이경숙, 박진아, 최명희,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1권, 제4호, pp.227-252, 2015.
  16. 박윤조, 임명희, 안정숙,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제15권, 제3호, pp.129-149, 2015.
  17. 전재선, 최종욱, "유아교사의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49-174, 2012.
  18. 전재선,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한국보육학회지, 제13권, 제4호, pp.305-327, 2013.
  19. 이미자, 강은주, "보육교사의 인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2019권, 제11호, pp.67-87, 2019.
  20. 이민태, "초등학교교사의 인성에 관한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公州敎大論叢, 제4권, 1967.
  21. 김용성, 교사의 인성특성이 아동 인성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5.
  22. 조경자, 특수 유아교사의 자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국내석사논문, 1995.
  23. 김애련, 유아교육기관 원장을 통해서 본 유아교사 자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24. 계영애, 강정원, "유아 인성 교육을 위한 인성적 덕목과 교수 전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5권, 제1호, pp.55-75, 2001.
  25. L. J. Stone and J. Church, Childhood and Adolescence: A Psychology of Growing Person, 2nd ed., rev., N.Y.: Random House, Inc. pp.348-350, 1968.
  26. S. H. Leeper, D. S. Skipper, and R. L. Witherspoon, Good Schools for Young Children, 4th ed., rev. N.Y.: Macmillan Publishing Co., pp.83-85, p.119, p.139, 1979.
  27. C. Seefeldt, A Curriculum for Preschools, 2nd ed. Columbus: Charles E. Merrill Publisching Company, p.62, 1980.
  28. 김영은,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9. 이영림, 유아교사가 지각한 인성 덕목 실천을 위한 법구경 탐색,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0. 염은하,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31. 이혜진, 이수경, "유아교사의 인성, 행복감, 공감능력과 교사: 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 관계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4권, 제1호, pp.7-42, 2020.
  32. 정은희, 유치원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전문성과의 구조적 관계,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3. 김숙미, 구광현, 김보현, "영유아교사의 인성, 그릿,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제20권, 제3호, pp.91-104, 2020.
  34. 서현, 임지윤, 박미자,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인성에 대한 예비유아 교사와 현직 유아교사의 의식 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 제77호, pp.41-71, 2013.
  35. C. Kyriacou and J. Sutcliffe, "Teacher stress: prevalence, source and symptom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pp.2-13, 1978.
  36. J. C. Moracco and O. Mcfadden, "The counselor's role in reducing teacher stress," Th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Vol.60, No.9, pp.549-552, 1982. https://doi.org/10.1002/j.2164-4918.1982.tb00719.x
  37. 도명애, 유현숙,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7권, 제2호, pp.261-289, 2011.
  38. 장성예, 이주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25, 2018. https://doi.org/10.21213/kjcec.2018.18.1.1
  39. 김리진, 홍연애,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직무스트레스가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제7권, 제2호, pp.263-282, 2013.
  40. 김성원, 구본명,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제20권, 제3호, pp.41-55, 2020.
  41. 서의석, 김미숙, "어린이집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제124권, pp.93-116, 2020.
  42. 홍인실, 전정민,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자치행정학보, 제34권, 제2호, pp.189-205. 2020. https://doi.org/10.18398/KJLGAS.2020.34.2.189
  43. 조형숙, 정우영, 길민영.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연구동향분석," 유아교육학논집, 제22권, 제6호, pp.121-146, 2018.
  44. 김영미, 강지연, "보육교사가 아동기에 경험한 부모양육태도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한국아동복지학, 제51호, pp.133-161, 2015.
  45. 정영실,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6. 이기영, 교사의 보육신념, 보육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및 영아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47. Davaa Munkhzaya,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성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온석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48. 법제처, 아동복지법, 제3조(정의) 제7호, 제17조(금지행위), 법률 제17206, 2020. 4. 7., 일부개정 기준.
  49. 朝鮮通信社, 兒童虐待防止法案: 朝鮮父母の警醒すべき事, 朝鮮通信, 제1331호, pp.124, 1930.
  50. 府邑面雜誌社, 法令通牒, 府邑面雜誌, 제3권, 제5호, pp.51-52, 1933.
  51. 朝鮮社會事業協會, 兒童虐待防止法. 朝鮮社會事業, 제11권, 제10호, pp.78-79. 1933.
  52. 이세원, "한국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입법적사법적 관점에서의 변화과정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3호, pp.217-246, 2018. https://doi.org/10.15709/HSWR.2018.38.3.217
  53. 문영희, "아동학대와 영유아발달," 아동보호연구, 제4권, 제1호, pp.1-31, 2019.
  54. K. Walsh, R. Schweitzer, and R. Bridgestock, Critical Factors in Teachers' Detecting and Reporting Child Abuse and Neglect: Implications for Practice. Brisbane,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2005.
  55. 유비, 최진영, 김기현, 김경희, "아동학대행위자의 양육행동 영향요인연구: 아동기 학대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64호, pp.107-143, 2018.
  56. 김경민, 이현진,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기 학대경험 및 인권감수성과 아동권리인식과의 관계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제10호, 제2권, pp.183-203, 2018.
  57. C. S. Tucker, Home-career conflict in dual-career women: an examination of the contribution of role conflict,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factor, 1986.
  58. 최미곤,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김해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가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9. 김수현, 이경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보육효능감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9권, 제3호, pp.105-124, 2018.
  60. 강은주,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소한 비행청소년의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애착관계와 우울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61. 박혜영, 유아교사의 인성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62. 한진원,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유치원내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신고 태도," 유아교육학논집, 제21권, 제1호, pp.237-261, 2017.
  63. 김희영, 윤현석,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제7권, 제4호, pp.547-566, 2016.
  64. 신용숙, 문영희,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 신고 및 예방인식에 미치는 영향," 아동보호연구, 제3권, 제2호, pp.55-87, 2018.
  65. 권성민, 권화숙, "유아교사의 아동학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인성, 교사전문성,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4호, pp.219-241, 2020.
  66. 박선미, 장용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공공정책연구, 제36권, 제2호, pp.253-269, 2019.
  67. 김근혜, "유아교사의 감정노동과 행복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제109호, pp.1-19, 2018.
  68. 김은경, 곽경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8권, 제4호, pp.271-292, 2019.
  69. 구민주, 신여울, 박다은,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제39권, 제5호, pp.81-92, 2018. https://doi.org/10.5723/kjcs.2018.39.5.81
  70. 김정희, 조숙영, "영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이직의 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멜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8호, pp.11-23, 2019.
  71. 윤선영,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를 중심으로,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72. 이진영,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아동학대와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73. 김영미, 보육교사의 아동기 부모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 조절효과,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74. 전재선,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5. 김정자.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아동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76. E. H. Clark,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1980.
  77. R. V. D'Arienzo, J. C. Moracco, and R. J. Krajewski, Stress in teaching: A comparison of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classroom teachers, Washington, D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2.
  78. 신혜영,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교사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79. 양안숙,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정책분석," 평가학회보, 제18권, 제4호, pp.455-477, 2008.
  80. R. N.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doi:10.1037//0022-3514.51.6.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