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arental Over Involvemen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Youth - the Mediated Effect of Friend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

과잉양육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우와 교사 관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김봉금 (한세대학교 간호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권오용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평생교육원)
  • Received : 2020.09.14
  • Accepted : 2020.10.26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and teachers in the effect of parental over-involvemen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The research method is analyzing 1,964 high school students in 2016 from the 4th panel survey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2010-2016) by AMOS 22.0. First of all,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youth was 2.972 points out of 4, 2.234 points for parental over-involvement, 3.211 points for peers and 3.080 points for teacher relations,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over-parent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and teachers. Second, parental over-parent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and teach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and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over-parent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과잉양육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와 교사 관계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초4패널 조사(2010년~2016년)에서 2016년 고1 1,964명을 AMOS 22.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972점, 과잉양육 2.234점, 교우 관계 3.211점, 교사 관계 3.080점이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과잉양육은 교우와 교사 관계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과잉양육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우와 교사 관계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우와 교사 관계는 과잉양육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Ⅰ. 서론

1. 필요성

청소년은 입시 위주의 교육환경과 무한경쟁 체제 속에서 학업 스트레스를 받아 행복지수는 점점 낮아지고 있다. 2018년도 OECD 회원국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72개 회원국에서 한국 청소년이 6.6점(10점 만점)으로 최하위권을 차지하고 있다[1]. 우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낮은 원인은 입시 위주의 경쟁으로 하루에 많은 학습량이 차지하여 수면시간과 여가활동 시간이 감소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청소년은 입시 위주 교육으로 개인의 개성, 관심, 특기가 완전히 무시된 환경에서 치열한 경쟁에 의한 압박으로 학업 스트레스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하면서 청소년 문제는 폭행, 자살 등의 사회문제로 확대되는 것이 더 큰 문제이며, 이로 인하여 청소년들은 자신이 ‘행복하지 않다.’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다른 나라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2].

이는 경제 수준과 각 개인의 학업성취 수준이 과거보다 비약적으로 높아졌음에도 실제로 청소년이 체감하는 삶의 만족도는 현저히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4].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평생에 걸쳐서 청소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점에서[5],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에 시작한 초기 연구는 개인적 요인으로 나이, 성별 소득수준 등 객관적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되었으나, 이는 삶의 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이 매우 적은 것으로 보고되어서, 개인의 주관적이고 내적인 변인들이 강조하게 되고 있다[6]. 이에 따라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경제적인 측면보다는 개인의 내적 측면 (자아 인식), 가정(부모 양육), 학교(교우, 교사)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들을 통해서 삶의 만족도의 원인을 밝히는 것이 더 적절하다[7].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스트레스 [7], 자아 인식[8], 사회적 관계[9][10], 부모 양육[11], 학교생활 적응[12][13] 등 개인적 특성과 환경 변인에 관계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들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영향을 개별적으로 탐색하는 연구가 대부분이고 개인, 가족 환경에 대한 통합적인 인과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삶의 만족도를 향상하는 요인은 자아 인식, 부모 관계, 사회적 관계, 학업 성취 등이 계속하여 보고되고 있다[14]. 이런 요인에서 부모 양육 태도, 친구, 교사 관계가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들 수 있다.

우리 청소년은 과다한 입시경쟁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며, 부모의 높은 기대와 간섭으로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다[15]. 이런 부모의 높은 기대와 간섭은 산업화 및 과학화로 풍부해진 생활수준과 핵가족화로 한두 명의 자녀를 낳아서 훌륭하게 양육하는 풍토가 형성되어가면서 그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과잉기대와 과잉간섭 등 부모의 과잉보호로 인하여, 청소년은 외형적으로는 성장하였으나 정신적으로는 응석받이로 성장하여 다른 사람의 관점과 입장에 대하여 이해하지 못하는 이기주의적 청소년들이 많아지고 있다[16]. 이는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발전을 저해하고 자살, 폭력 등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원인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잉양육은 청소년의 스트레스의 원인이며, 삶의 만족도를 저하하는 심각한 문제행동을 유발하게 된다[17]. 또한, 부모 과잉양육은 청소년의 발달 심리 및 사회적 적응 요인의 성장에 지속하여 영향을 미친다[18][19]. 이런 과잉양육은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20]. 따라서 청소년의 심리적 안정에 관한 연구에는 과잉기대, 과잉간섭과 같은 과잉양육에 대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의 성장 과정에서 주목해야 또 다른 측면은 청소년이 속한 집단인 학교생활에서 친구와 교사를 들 수 있다.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교사와 친구집단에서 적응하는 정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교사와 교우 관계는 사회적 관계망을 통해서 촉발되고, 자신의 기능향상과 자신이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부정적인 사건에서 보호받을 수 있는 지지 행동에 대한 자신의 지각을 말한다[21].

특히 청소년들의 친구와 교사 관계는 긍정적 피드백인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적응에 도움을 주어서 문제 및 스트레스를 극복하여 사회적응과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22][23].

또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직접 효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24][25], 과잉양육이 교우와 교사 관계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잉양육이 교우와 교사 관계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과잉양육이 교우와 교사 관계를 통하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잉양육은 교우와 교사 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과잉양육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교우와 교사 관계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과잉양육은 교우와 교사 관계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는 개인의 생활에서 경험한 주관적인 삶의 질에 대하여 자신이 느끼는 만족의 정도를 의미한다 [26]. 사람들은 자기 스스로 지각한 삶의 여건들이 자신이 설정한 기준에 일치하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행복하다고 느끼게 된다.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가정과 학교생활에서 느끼는 전반적인 생활의 만족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가정과 학교생활에서 행복한 삶을 구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김신영·백혜정[27]은 청소년의 행복감의 요인을 자신에 대한 만족감, 학업성취, 경제적 안녕, 정서적 안녕, 사회적 관계에 대한 만족감으로 분류하였다.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가정환경요인으로 부모와 의사소통은 개방적일수록[28], 부모 관계가 긍정적일수록[29][30] 삶의 만족도가 향상된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청소년은 학교생활에서 교사와 교우들 간에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의 수준은 향상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1]. 이와 같은 청소년의 환경요인에서 가정과 학교 요인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32], 환경적 변인의 가정과 학교요인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가정과 학교생활에서 삶이 행복하며, 자신이 느끼는 주관적인 행복감 및 주관적인 생활만족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2. 선행연구 고찰

2.1 과잉양육과 삶의 만족

한국 부모들은 자녀의 성공이 자신의 성공적인 삶이라는 인식하여 자녀에 대한 높은 기대와 희망을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하여 자녀에 대한 교육열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부모는 자녀를 자기 전유물처럼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자녀 양육에서도 매우 다양하게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부모의 양육 태도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설명하는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보고되고 있다[11][17]. 또한, 현대사회의 풍부해진 생활 수준과 핵가족화로 한 두 명의 자녀를 낳아서 훌륭하게 양육하는 풍토가 형성되어서 과잉양육의 정도가 깊어지고 있다.

과잉양육이란 자녀에 대한 불안과 염려가 지나쳐 필요 이상으로 보호하거나 도와주며, 지나치게 보호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는 과잉기대, 과잉 간섭 등이 있다 [33]. 이런 과잉보호로 인하여 청소년은 외형적으로는 성장하였으나 정신적으로는 응석받이로 성장하여 타인의 관점과 입장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이기주의적 청소년이 많아지고 있다[15]. 이는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발전을 저해하고 자살, 폭력 등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원인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17]. 조호운·강종대[11] 의 ‘부모 과보호, 청소년의 행복감 학교적응의 구조 관계’에 관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청소년기에 과도하게 간섭하거나, 지나친 규칙을 강요하는 것은 정서적으로 부모와 의사소통을 방해하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11]. 반면에, 박주희[34]가 한 부모 가정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방식과 삶의 만족도 관계를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부정적 양육(과잉기대, 과잉간섭, 비일관성)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과잉양육은 청소년의 스트레스의 원인이며, 삶의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심각한 문제행동을 초래하고 있다[17].

2.2 교우와 교사 관계의 매개 효과

사회적 관계는 가족, 친구, 동료와 같은 중요한 다른 사람의 관계로 제공되는 긍정적인 자원을 뜻하며, 또한, 이는 많은 변화와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어 개인의 사회적응과 정신건강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이다[35]. 따라서 사회적 관계는 삶의 만족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36][37].

정문경[36]이 연구한 청소년 정서조절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에 의하면, 부모 애착, 교사 애착, 친구 애착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를 통해 사회적 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필요한 변인임이 강조되었다[25].

허영선[37]은 청소년의 가족, 친구, 학교, 사회적 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청소년 집단에서 친구의 관계가 좋을수록 행복감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교우들과 우정을 나누고 잘 어울리면서 관계에 만족하면 정서적인 평온함과 안정감을 느끼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관계가 높아지면 행복 정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보고되기도 하였다.

이은주[38]가 연구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과 주관적 안녕감’ 연구결과에 의하면, 고등학생의 경우는 사회적 관계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이 중에서 선배와 또래 관계가 다른 관계보다 삶의 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미경[39]의 ‘남녀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에서 청소년은 교사나 친구에게 정적인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삶의 만족도는 향상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청소년은 교우와 교사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고, 사회적 지지를 높게 받고 있다고 지각하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의뜸[40]이 연구한 전환기 아동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학업 요인과 관계적 요인 연구에 의하면, 교사와 관계가 친밀할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며 삶의 만족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인 교우와 교사 관계가 과잉양육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역할을 살펴본다. 김영민임영식[41]이 연구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과잉양육과 학교생활 적응의 구조 관계를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과잉양육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생활 적응(교우, 교사)은 과잉양육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보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는 부모의 양육에서 자녀에 대한 지나친 간섭이나 기대는 자녀들에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모로부터 받는 스트레스가 가중되어서 자녀의 자율성과 사회성 발달에 저해를 받아서 사회적응력이 떨어져서 청소년의 삶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사회적 측면에서 학교생활에서 교우와 교사와 상호작용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박영준[42]이 연구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방식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학교생활 적응의 매개 효과를 연구한 결과는 부모의 과잉간섭과 과잉기대와 같은 부정적인 양육방식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교우와 교사와 상호작용을 하는 학교생활 적응은 과잉간섭과 과잉기대와 같은 부정적 양육방식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들은 교우와 교사 관계를 학교생활의 하위변인으로 함께 분석하여서 이들의 순수한 영향을 규명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분리하여 독립된 변인으로 매개역할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잉양육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와 교사 관계의 매개 효과를 검증이 필요하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은 2020년 3월 현재 제공되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 초4 데이터는 1차(2010년)부터 7차(2016년)까지이며, 본 연구에서는 7차 데이터를 이용한다 [43]. 한국아동청소년패널 7차(2016년) 자료에서 과잉양육과 삶의 만족도에 응답한 1, 964명에 대한 인구 사회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별은 남자 1, 030명 (52.4%), 여자 934명(47.6%)이며, 부모구성은 친부모 1, 673명(85.2%), 편부모 156명(7.9%), 부모 없음과 무응답 135명(6.9%)으로 대부분 친부모가 모두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수준은 잘 산다. 246명(12.5%), 약간 잘 산다. 316명(16.1%)이며, 보통 1, 149명 (58.5%)이며, 약간 못 산다. 180명(9.2%)이며, 못 산다. 73명(3.7%)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연구모형

연구모형은 과잉양육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와 교사 관계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다.

CCTHCV_2021_v21n2_290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독립변수는 과잉양육, 매개변수는 교우와 교사 관계, 종속변수는 삶의 만족도로 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3. 연구가설

연구모형을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1. 과잉양육은 교우와 교사 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과잉양육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교우와 교사 관계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과잉양육은 교우와 교사 관계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측정 도구

4.1 독립변수 : 과잉양육

과잉양육의 척도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에 사용한 허묘연[44]이 개발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변인 중에서 과잉보호와 과잉양육에 해당하는 과잉기대 4문항, 과잉간섭 4문항으로 총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리커트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균값이 높을수록 과잉양육의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척도의 신뢰도인 Cronbach’s α는 0.843이었다.

4.2 매개변수 : 교우와 교사 관계

매개변수인 교우와 교사 관계 척도는 민병 수[45]가 개발한 학교생활 적응 척도를 정화실[46]이 재구성한 것이며, 이는 청소년의 일상생활 중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보내는 학교에서 교우 관계 5문항, 교사 관계 5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척도는 ‘매우 그렇다. (1점)’, ‘그런 편이다. (2점)’, ‘그렇지 않은 편이다(3점)’, ‘전혀 그렇지않다(4점)’ 4점 척도로 되어 있다. 본 연구는 교우와 교사 관계를 평균할 때 역 문항으로 처리하여 평균이 높을수록 교우와 교사 관계의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척도의 신뢰도인 Cronbach’s α는 0.819이었다.

4.3 종속변수 : 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 척도는 김신영[47]이 개발한 삶의 만족도 문항에서 청소년 삶의 만족도 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의 평가를 위한 구성요소를 삶의 즐거움, 걱정거리 없음, 행복감 등 세 가지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4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는 0.805이었다.

5. 자료 분석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7차에 응답한 청소년 1, 964명을 SPSS 22.0 와 AMO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하였다. 둘째,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셋째, 주요변수의 평균, 표준편차 등은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는 피어슨의 상관분석을 하였다. 넷째, 연구모형의 검증은 AMOS 22.0으로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변수의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본 연구대상 청소년들에 대한 변수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은 [표 1]과 같다.

표 1. 주요변수의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CCTHCV_2021_v21n2_290_t0001.png 이미지

각 변수는 4점 만점에 과잉양육 2.234점(SD 0.568), 교우관계 3.211점 (SD 0.426), 교사관계 3.080점(SD 0.557), 삶의 만족도 2.972점(SD 0.594)으로 ‘만족’ 3 점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Maximum Likelihood Method를 이용하여 추정할 경우 왜도 절댓값 2.0 이하, 첨도 절댓값이 7.0 이하이면, 정규분포 적용에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을 한다. 각 변수의 왜도는 -0.207∼0.162, 첨도는 -0.116∼ 0.240 안에 있으므로 절댓값이 2 이하에 있으므로 정규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48].

다음으로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삶의 만족도와 과잉양육(r=-.131, p<.01), 삶의 만족도와 교우 관계(r= .361, p<.001), 삶의 만족도와 교사 관계(r= .333, p<.001)의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모형 검증

2.1 측정모형 검증

연구모형을 분석에 앞서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측정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X2=729.040 (p<.001)로 측정모형이 적합하다는 귀무가설이 기각되었다. 그러나 X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므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적합도 지수를 검토한 결과 TLI=0.927, CFI=0.942, RMSEA=0.063(LI=0.058, HI=0.067)으로 나타나서 측정모형은 경험적 자료에 부합하였다.

2.2 구조모형 검증

과잉양육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와 교사 관계에 대한 매개역할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그림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TLI= 0.952, CFI=0.968, RMSEA=0.066 등으로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CCTHCV_2021_v21n2_290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구조모형 분석

[표 2]에 제시된 구조모형의 적합성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변수에서 각각 측정변수들의 경로는 모두 유의수준 p<.001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각 변수 간의 경로를 살펴보면, 과잉양육(β =-0.106, p <0.001)은 교우와 교사 관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잉양육(β= -0.124, p< .001) 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우와 교사 관계(β= .506, p<.001)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

CCTHCV_2021_v21n2_290_t0002.png 이미지

*** p<.001

2.3. 매개 효과 검증

과잉양육이 교우와 교사 관계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교우와 교사 관계의 매개효과

CCTHCV_2021_v21n2_290_t0003.png 이미지

*** p<.001

이에 대한 Sobel test 결과 과잉양육이 교우와 교사 관계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매개 효과(β =-.054, t=-4.219, p<.001)는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결론 및 제언

1. 결과 요약 및 논의

본 연구는 과잉양육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와 교사 관계의 매개 효과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한국 아동·청소년 초 4 패널 7차(고1)에서 1, 964명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변수들의 기술통계를 살펴보면, 청소년 삶의 만족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972점(SD 0.594), 과잉양육 2.234점(SD 0.568), 교우 관계 3.211점(SD 0.426), 교사 관계 3.080점(SD 0.557)으로 나타났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잉양육은 교우와 교사 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1>. 이런 결과는 김영민· 임영식[41]의 연구에서 과잉양육은 학교생활에서 교우와 교사 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박영준[42]의 연구에서 부정적 양육방식이 학교생활에서 교우와 교사 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여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이는 부모가 자녀에게 사소한 일에 간섭하거나 능력이상으로 기대하는 과잉양육은 자녀들이 위축을 받아서 교우와 교사 관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 과잉양육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2>. 이런 결과는조호운·강종대[11] 연구에서 부모의 과보호는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반면에 박주희[34] 연구에서 부정적 양육방식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 본연구결과와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부모가 자녀에게 사소한 일에 간섭하거나 능력이상으로 기대하는 과잉양육은 청소년의 삶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셋째, 교우와 교사 관계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3>. 이런 결과는 정문경[36]과 최미경[39]의 연구에서 청소년은 교우와 교사의 관계가 좋아서 이들의 지지를 받으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밝혔으며, 허영선[37]과 이은주[38]는 청소년은 교우와 우정을 나누면서 잘 어울리고 만족하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으뜸[40]은 교사 관계가 친밀할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서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는 청소년들의 교우 관계가 좋아서 잘 어울리고, 교사 관계가 친밀할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교우와 교사 관계는 과잉양육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4>.

이런 결과는 김영민·임영식[41]의 연구에서 과잉양육은 교우와 교사 관계를 부분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매개 영향을 미치며, 박영준[42]의 연구에서 부정적 양육방식이 교우와 교사 관계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완전 매개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여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이는 부모가 자녀에게 능력 이상으로 기대하고, 자녀가 하는 것을 간섭하는 과잉양육은 학교에서 교우와 교사 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런 결과가 삶의 만족도를 감소하게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 한계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시사점 및 한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이론적 사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사회는 핵가족으로 한두 자녀를 지닌 부모들의 과잉보호가 만연한 시기에 부모의 과잉양육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살펴본 것은 학문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부모 양육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정적 양육 태도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부정적 양육 태도에서 과잉양육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사소한 간섭이나 능력이상으로 기대하는 양육태도 자녀의 삶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힌 점이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과잉양육이 교우와 교사 관계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청소년기에 교우와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밝힌 것이 본 연구의 의의가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

다음으로 실천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과잉양육과 과잉보호는 부모의 의도와는 다르게 자녀 자신을 간섭과 통제하는 것으로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잉양육과 과잉보호는 청소년기 자아 정체감의 발달 시기에 올바른 자아 정체감의 형성에 저하를 가져갈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부모는 자신의 과잉양육과 과잉보호가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 정체감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인지하여 자율성과 애정 어린 관심으로 지지할 수 있는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이다. 청소년기의 자아 정체감이 바르게 형성된 사람은 자신의 인생에서 스스로 주인이 되어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부모는 지나친 과잉양육이나 과잉보호, 간섭이 아닌 자녀를 독립성과 자율성을 인정하며 지지해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기 학교생활에서 교우와 교사의 사회적 관계 역할이 긍정적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의 과잉양육과 과잉보호는 청소년기 공동체 의식의 함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런 결과가 삶의 만족도를 감소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교우와 교사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한 것은 청소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교우와 교사의 긍정적 사회관계가 삶의 만족도 질 향상에 중요함을 시사한다. 교우와 교사의 정서적 유대감과 신뢰를 높일 수 있도록 학교 현장에서 함께하는 협동, 협력 학습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의 긍정적 지지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친밀한 교우 관계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학교 중심의 동아리 활동,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등 활성화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이 될 것이다.

셋째, 청소년의 사회 정서적 발달은 가족, 학교의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학교는 청소년의 교우, 교사와 같은 부모 이외의 대상과 관계를 형성하며 공동체 의식과 정서적 유대감을 배우는 공간이다. 청소년은 입시 위주의 교육환경과 무한경쟁 체제는 부모 과잉양육·과잉보호가 지나친 통제와 간섭을 부추이고 교우와 관계를 경쟁상대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부모의 편파적인 과잉양육과 과잉보호, 그리고 입시 결과와 성과 중심의 치우친 불균형적인 교육이 아닌 청소년이 건강하고 성숙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가족환경과 교육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잉양육과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에서 교우, 교사 관계를 포함하였으나, 지역사회 관계를 제외한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관계를 포함한 사회적 관계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 사용한 과잉양육의 측정도구는 과잉보호의 부정적 면을 측정하고 긍정적인 과잉보호가 제외되어서 과잉양육의 측정도구에 한계가 있다. 향후연구에서는 과잉보호의 긍정적 면을 포함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과잉양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셋째, 연구모형에서 부모의 관련 통제변수를 사용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향후에는 부모 관련 통제변수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모형으로 과잉양육과 교우 교사 관계에 대한 정밀한 연구를 할 필요성이 제기한다.

넷째, 종단분석 자료인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을 이용하여 횡단자료 분석한 한계가 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종단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종단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유민상, 통계 플러스 2019 가을호, 2019.
  2. 서선숙, 부모의 양육 태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3. 박성희, 최은영, "부모의 양육 태도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소득계층 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35권, pp.53-83, 2016.
  4. 최형임, 문영경,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 제45권, pp.189-209, 2013.
  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8권, pp.415-442, 2003.
  6. E. S. Huebner, "Research o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66, No.1-2, pp.3-33, 2004. https://doi.org/10.1023/B:SOCI.0000007497.57754.e3
  7. 김연화, "아동 청소년의 일상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12호, pp.287-307, 2010.
  8. 김경민, "부모의 양육 태도와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25권, pp.40-74, 2010.
  9. 박영신, 김의철, 민병기,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2호, pp.63-92, 2002.
  10. 신미, 전성희, 유미숙, "청소년의 삶의 만족과 안녕에 관한 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9호, pp.131-150, 2010.
  11. 조호운, 강종대, "부모의 과보호, 청소년의 행복감,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시설환경, 제14권, 제2호, pp.139-146, 2016.
  12. 문은식, "중학생의 또래 애착, 자아정체감 및 진로정체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제22권, 제1호, pp.21-35, 2015.
  13. 이현응, 곽윤정, "초기 청소년의 학교생활 및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7호, pp.59-83, 2011.
  14. 이기혜, 김경근, "중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제23권, 제3호, pp.139-168, 2013.
  15. 이응택, 이은경, "부모 자아존중감과 청소년 자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부모의 삶의 만족과 양육 태도의 매개 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27-146, 2020.
  16. 정은영, 장성숙,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척도개발 :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2호, pp.293-312, 2008.
  17. 신현균, "청소년의 학업 부담감,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 불능증 및 지각된 부모 양육행동과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1권, 제1호, pp.171-187, 2002.
  18. 김재엽, 정윤경, "부모의 양육 태도와 청소년의 공격성 발달궤적 및 예측요인," 청소년학연구, 제14권, 제5호, pp.169-197, 2007.
  19. 임혜림, 김서현, 정익중, "긍정적 부모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4호, pp.1-27, 2014.
  20. 석말숙, 구용근, "가족 요인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제17권, 제1호, pp.55-74, 2015.
  21. 백수진, 아동의 이타성, 사회적 지지 및 삶의 만족도 관계 : 다중매개모형의 적용,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2. 문은식,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9권, 제4호, pp.1087-1108, 2005.
  23. 고태용,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대학생들의 진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4. 백수진, 임영진, "친절한 청소년은 왜 행복한가?: 친절성, 사회적 지지 및 삶의 만족도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제21권, 제2호, pp.25-36, 2013.
  25. 정문경, 오은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제14권, 제2호, pp.83-93, 2016.
  26. 백진아, "융복합시대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팬덤활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요인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제13권, 제9호, pp.453-461, 2015.
  27. 김신영, 백혜정, "한국 청소년 행복지수 개발 연구," 한국사회학, 제42권, 제6호, pp.140-173, 2008.
  28. 김혜원, 조성연, 김민,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대한 공부 중요성 인식, 공부압력과 성공압력의 영향력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중재효과," 대한가정학회, 제48권, 제5호, pp.49-60, 2010. https://doi.org/10.6115/khea.2010.48.5.049
  29. 김정연, 정현주,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리뷰, 제13권, pp.171-190, 2008.
  30. 황혜원,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 체계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3호, pp.1-26, 2011.
  31. 황용관, 청소년의 가정 학교 지역사회 환경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2. 조성연, 김혜원, 김민, "생태학적 맥락에 따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제49권, 제3호, pp.87-98, 2011. https://doi.org/10.6115/khea.2011.49.3.087
  33. 이선혜, 과잉양육 태도 및 자아 탄력성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34. 박주희, "한 부모 가정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및 정서적 문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22, 2018.
  35.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36. 정문경, "청소년기 정서조절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2호, pp.49-72, 2014.
  37. 허영선, 청소년이 지각한 행복감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8. 이은주,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9. 최미경, "사회적 지지가 남녀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 효과," 가정환경연구, 제52권, 제6호, pp.651-668, 2014.
  40. 김으뜸, 전환기 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업요인과 관계적 요인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41. 김영민, 임영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잉적 양육, 자아탄력성,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2호, pp.343-366, 2013.
  42. 박영준, "부모의 양육방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 적응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제22권, 제3호, pp.21-234, 2018.
  43. 한국청소년정책연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제1-7차 조사 유저가이드, 서울, 2017.
  44.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 행동 척도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45. 민병수,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46. 정화실, 초등학생의 모 애착과 학교생활 적응이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7. 김신경, 박민경, 안지선, "학교생활 적응과 부모의 양육 행동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모양육 행동유형의 조절 효과 검증,"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2호, pp.163-182, 2014.
  48. 정명섭, "부모 학대.방임이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교우.교사 관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3호, pp.106-115,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3.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