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시대 의과시험의 실제 사례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Actual Case of Medical Examination in the Joseon Dynasty

  • 국수호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 Sooho Kug (College of Korean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투고 : 2021.04.30
  • 심사 : 2021.05.17
  • 발행 : 2021.05.31

초록

The appointment of medical offici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conducted through medical testing. To date, most of the research done on these tests has focused on the testing system and its formal qualities without any study of actual test cases. This paper considers the significance of the medical examination format and contents through a test paper contained in the book "Joseonuihaksageupjilbyeongsa (朝鮮醫學史及疾病史)" by MikiSakae (三木榮). The literature confirms that the medical exam paper is the same format as "Gangji (講紙)," and that the test format called "Gangseo (講書)" is a very high-level test. Therefore, analysis of the case suggests that the format of the medical examination reflects the demand for high-quality medical learning for applicants. This consideration is meaningful because existing medical test papers are very rare.

키워드

참고문헌

  1. 「承政院日記」
  2. 「朝鮮王朝實錄」 
  3. 「纂圖方論脈訣集成」 
  4. 「醫學入門」
  5. 「銅人腧穴鍼灸圖經」
  6. 「新刊仁齋直指方論」
  7.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8. 「黃帝內經素問」
  9. 「醫學正傳」
  10. 「東垣十書.脾胃論」
  11. 「大典會通」
  12. 「經國大典」
  13. 「續大典」
  14. 김두종. 「한국의학사」. 서울:탐구당. 1981. 
  15.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東京:醫齒藥出版株式會社. 1962. 
  16. 孫弘烈. 「韓國中世의 醫療制度硏究」. 서울:修書院. 1988. 
  17. 한국학중앙연구원. 「시권: 국가경영의 지혜를 듣다」. 서울: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18.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동양의학대사전」. 서울:경희대학교출판국. 1999. 
  19. 김진. 「조선시대 의관선발 - 영조 정조시대 의과방목 분석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1999;104:1-93. 
  20. 이남희. 「조선후기 잡과 교육의 변화와 특성」.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14;13(1):33-63. 
  21. 한미경. 「조선시대 의과 입격자 기록물의 계보적 연구」. 서지학연구. 2018;75:193-212. 
  22. 이남희. 「조선후기 의과팔세보의 자료적 특성과 의미」. 조선시대사학보. 2010;52:231-262. 
  23. 박훈평. 「조선시대 의학교과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29(2):1-16.  https://doi.org/10.15521/JKMH.2016.29.2.001
  24. 이남희. 「조선후기 잡과교육의 변화와 특성-잡학 생도와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14;13(1):33-63. 
  25. 박권수. 「조선후기 관상감 입속자 연구」. 한국사연구. 2019;187:289-324. 
  26. 박훈평. 「19세기 후반 典醫監 醫學生徒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2013;26(1):1-7.  https://doi.org/10.15521/JKMH.2013.26.1.001
  27. 李洪烈. 「雜科試取에 對한 一考」. 白山學報. 1967;3:323-377. 
  28. 정지연. 「조선 초기 문과 강경과목 연구」. 교육사학연구. 2010;20(1):83-110.  https://doi.org/10.18105/HISEDU.2010.20.1.004
  29. 박훈평, 안상우. 「혜민서 관청지 「惠局志」 편제와 내용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4;27(1):119-133.  https://doi.org/10.15521/JKMH.2014.27.1.119
  30. 이태형, 정원모, 고병호, 박히준, 김남일, 채윤병. 「팔요맥을 중심으로 살펴본 「동의보감」 27맥 속성 연구」.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15;32(4):151-159.  https://doi.org/10.14406/ACU.2015.027
  31. 정긍식. 「대전회통의 편찬과 그 의의」. 서울대학교법학. 2001;41(4):323-345. 
  32.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URL:http://sjw.history.go.kr/help/inspection.do). 
  33.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URL:http://sillok.history.go.kr). 
  34.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URL:http://kostma.korea.ac.kr/). 
  35.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URL:https://www.nl.go.kr/). 
  36.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URL:https://kyu.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