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fine dust generated at the construction waste intermediate treatment plants, and to propose engineering data and measures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fine dust to cope with the expected strengthened environmental regulations of the government. The following study conclusions are drawn. 1) T he maximum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workplace was measured as 160㎍/m3 from the crushing operation followed by the point of waste unloading, where focused suppression plan of the fine dust generation is needed in the future. 2) Fine dust concentrations of 113㎍/m3 in wet road conditions and 50㎍/m3 in dry conditions were measured, indicating that fine dust could be reduced by 50% with watering alone. 3) The effect of distancing from the dust source was studied. PM10 during operation of the workplace was measured as about 25㎍/m3 higher than those of the neighboring area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se of PM2.5 between workplace and neighboring areas. 4)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heavy metal contents showed that these metals did not affect neighboring areas.
본 연구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환경영향을 조사하여, 향후 예상되는 정부의 강화된 환경규제에 공학적 자료 및 미세먼지 발생 억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사업장 내의 미세먼지 농도측정 결과, 파분쇄 작업이 이루어지는 지점에서 최대치인 160㎍/m3가 측정되었으며, 폐기물 하적되는 지점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나, 향후 집중적인 발생 억제 방안의 적용이 필요하다. 2) 사업장 내 젖은 도로 상태는 113㎍/m3, 건조된 상태 때는 50㎍/m3의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되어, 살수만으로도 미세먼지를 50% 정도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이격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작업장 가동 중의 PM10은 사업장에서 인근 지역과 비교하여 약 25㎍/m3 높게 측정되었으며, PM2.5의 경우는 인근 지역과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중금속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는 인근 지역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