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산화물 상용화제 첨가가 생분해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Peroxide Compatibiliz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iodegradable Plastic Film

  • 투고 : 2021.09.27
  • 심사 : 2021.12.17
  • 발행 : 2021.12.31

초록

바이오플라스틱의 니즈는 계속 증가중이며 생분해 바이오플라스틱이 실제 현장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물성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플라스틱에 과산화물 첨가제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산한 복합화 필름의 신장율, morphology, TGA 변화를 조사하였다. 신장율과 TGA는 과산화물 상용화제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화제 첨가량에 따라서 압출성형공정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며, 과산화물은 적정량을 첨가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화 필름의 morphology를 분석한 결과 수지별로 결정화 속도가 달라이형분산배열을 관찰할 수 있었고, 표면물성은 4%의 과산화물 첨가구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복합화 생분해 필름 제조 방법으로 과산화물 상용화제를 4% 첨가한 시험구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need for biodegradable plastic continues to increase, improvement of physical properties is necessary for actual use in the market. In this study, composite film was produced by adding peroxide additives to bioplastic according to concentration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melt index, elongation, morphology, and TGA of the composite film. The addition of peroxide compatibilizer showed superior elongation of film and TGA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The added amount of compatibilizer affected the extrusion process, and it was revealed that adding an appropriate amount of peroxidizer is important. Analysis of the composite film's morphology revealed a heterogeneous dispersion sequence due to different rates of crystallization depending on the resin, and surface physical properties were best in the group added with 4% peroxide. The results above showed that the test group added with 4% peroxide compatibilizer was superior in the production of composite biodegradable film.

키워드

참고문헌

  1. Han, S. O., Kim, H. S., You, Y. J., Kim, H. Y. and Jeong, N. J. 2009. Biomass Based Nano Materials and Its Applicati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434-435.
  2. 한정구. 2015. 비 식용계 식물체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 플라스틱의 물성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석사논문.
  3. 박병욱. 2013. 연물을 이용한 생분해성 blow 필름 및 전자제품 용기 개발. (주)우성케미칼 부설 연구소 연구보고서. 19-51.
  4. 소규호, 임동규, 성기석, 권순익, 신중두, 유영선. 2005. 복합분해성 플라스틱의 농업적 활용에 따른 효과 평가. 농업진흥청 연구사업 보고서.
  5. 임수정. 2018. 생분해성 농업용 친환경 멀칭필름 적용기술 (1). 월간친환경 7월호.
  6. 정헌태. 2017. 분해 조절이 가능한 플라스틱 제조방법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논문.
  7. Formela, K., Zedler, L., Hejna, A. and Tercjak, A. 2018, Reactive Extrusion of Bio-based Polymer Blends and Composites - current Trends and Future Developments. Express Polymer Letters. 12(1): 24-57. https://doi.org/10.3144/expresspolymlett.2018.4
  8. 한정구, 박승준, 이범수, 박형우. 2021. 상용화제 첨가가 화이트 바이오 생분해 플라스틱의 인장강도, 토출량과 비중에 미치는 영향. 한국포장학회지. 27(3): 1-6.
  9. 강경수, 김봉식, 장우열, 신부영. 2009. Polylactic Acid/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CMPS 블렌드 형태학, 열적 및 기계적 특성. Polymer(Korea). 33(2): 164-168.
  10. 이지목, 권은진, 이선영, 정현민. 2013. 아미노실록산이 그래프팅된 폴리(이미드 실록산) 공중합체 제조와 필름 모폴로지 및 점착 특성 연구. Polymer(Korea). 37(4): 547-552. https://doi.org/10.1016/0032-3861(96)83140-5
  11. 함신균, 정민혜, 장진해. 2006. 폴리(비닐 알코올) 나노복합체 필름(II): 열적-기 계적성질 및 모폴로지. Polymer(Korea). 30(6): 545-549.
  12. 한지연, 원종찬, 이재홍, 서경도, 김용석. 2005. 알킬기가 도입된 올리고 아믹산 구조를 가진 고 내열 친유기 층상 실리케이트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나노복합 재의 특성평가. Polymer(Korea). 29(5): 451-456.
  13. 박윤준, 유덕만, 최종호, 안정호, 홍영택. 2011. 다양한 조성변화에 따른 4성분계 폴리이미드 필름 제조와 물성분석.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2(6): 623-626.
  14. 안태광, 손상진, 김혜태, 김명호, 주공명, 진덕진. 2008. 무기 충진제 첨가에 따른 재생 폐비닐의 특성 분석 (I); 중탄과 칼펫의 첨가에 따른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17(3): 10-20.
  15. 김보연. 2014. Effect of Nanocellulose and Aminated Starch on Tensile and Thermal Properties of Plasticized Starch Film.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4): 376-384. https://doi.org/10.5658/WOOD.2014.42.4.376
  16. 장서원, 장진해. 2008. 셀룰로오스 블렌드 필름의 특성연구: 모폴로지, 기계적 성질 및 가스 투과도. Polymer(Korea). 32(1): 63-69.
  17. 이 수, 성은숙. 2014. 폴리 아닐린을 함유한 도전성 복합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1).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31(2): 218-224. https://doi.org/10.12925/JKOCS.2014.31.2.218
  18. 윤두수, 최재곤, 조병욱. 2010. PAA/PHA/Organo Clay 나노복합재료의 제조 및 특성. PAA/PHA/Organoclay 나노복합재료의 제조 및 특성. Polymer(Korea). 34(4): 326-332.
  19. 여종호, 이종훈, 박찬석, 이기준, 남재도. 2000. 이축연신 PP/EVOH 블렌드 필름의 차단 성질 및 모폴로지. Polymer (Korea). 24(6): 820-828.
  20. 김성현, 김성우, 차 상. 2016. 두 단계의 반응을 통해 개질된 카다놀 유래 바이오폴리올 기반의 폴리우레탄 필름의 합성 및 특성 분석. Polymer(Korea). 40(6): 1005-1014. https://doi.org/10.7317/pk.2016.40.6.1005
  21. 남상용, 박지순, 임지원, 박병길, 공성호. 2005. Chitosan/Clay 나노복합재료 필름의 제조와 기체투과 특성. Membrane Journal. 15(3): 247-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