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of Middle-aged Employees on Retirement Preparation and Job Satisfaction

중년직장인의 퇴직태도가 퇴직준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경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 Received : 2021.01.11
  • Accepted : 2021.01.26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to verify whether the attitude toward retirement perceived by middle-aged work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tirement prepara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middle-aged workers in their 40s to 50s work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orced frustration during the retirement attitude of middle-aged worke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ly on the finances and family of retirement preparation. A new sta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ll sub-variables of retirement preparation. In the second hypothesis,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old-age breaks and new start of retirement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attitude toward retirement of middle-aged workers who are about to reti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tirement preparation and job satisfaction.

이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에 근무 중인 40~50대의 중년직장인을 대상으로 중년직장인이 인지하는 퇴직에 대한 태도가 퇴직준비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것 중 회수된 362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두 개의 가설을 세워 가설검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중년직장인의 퇴직태도 중 강요된 좌절은 퇴직준비의 재정과 가족에만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출발은 퇴직준비의 모든 하위변인(재정, 가족, 건강, 여가와 봉사)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가설인 직무만족도의 영향에선 퇴직태도의 노년휴식과 새로운 출발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퇴직을 강요된 좌절이라고 인지할수록 재정과 가족에 대한 퇴직준비가 낮았고,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인지할수록 퇴직준비의 모든 항목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퇴직을 노년의 휴식과 새로운 출발이라고 인지할수록 직무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퇴직을 앞둔 중년직장인들의 퇴직에 대한 태도가 퇴직준비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은희(2016), "사무직 근로자의 퇴직태도와 퇴직준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장재덕(2019), "직업군인의 퇴직태도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라이프스타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고영우(2019), "소방공무원의 퇴직태도 및 기대가 퇴직준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정경화(2020), "중년재직자의 명리직업선천성, 회복탄력성, 퇴직태도, 퇴직준비 간의 인과관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오병철(2012), "베이비붐 세대 남성 직장인들의 퇴직태도, 노후준비, 노년기 사회참여 의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Hornstein. G. A. & Wapner. S.(1985) "Modes of Experiencing and Adaption to Retirement", International Aging and Human Development, 21(4), 291-315. https://doi.org/10.2190/4NRA-2UY5-UVA3-4RPQ
  7. 한귀례(2017), "중년기 노후준비유형 분석 연구", 동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성원(2016), "시민들의 노후준비 정도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Locke. E. A.(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Chicago: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mpany.
  10. 심정원(2010),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안경진(2018), "공무원의 퇴직준비교육과 퇴직에 대한 태도 및 노후준비도", 한서대학교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수경(2018), "공공부문 임금피크제만족도와 임금피크제수용도가 퇴직예정자의 퇴직태도와 퇴직준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