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두승.이경아(2004).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학습양식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0(2), 25-48.
- 김경애(2016). 플립러닝과 전략적 텍스트를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방법 모색. 공학교육연구, 19(1), 21-30.
- 김동률(2018). 대학교양수학의 플립러닝과 플립 PBL 효과성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6), 209-215. https://doi.org/10.15207/JKCS.2018.9.6.209
- 김은정(2002). 인지적 학습양식과 교수학습내용영역의 관계. 교육학연구, 40(3), 203-226.
- 김정아(2018). 대학생의 전공별 HEXACO 성격유형, 학습유형, 교수법 성과인식과 교수법 선호도 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14(4), 217-238.
- 김재엽(2019). 플립러닝과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건축공학종합설계 교육과정 개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21(1), 89-95.
- 문경자.조성욱(2009). 학습자의 학습양식 유형 분류와 지리교육에서의 시사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1), 1-15.
- 유재하(2017). 신호처리 교과목에 대한 플립러닝 적용사례. 실천공학교육논문지, 9(2), 125-132. https://doi.org/10.14702/JPEE.2017.125
- 유정아(2011).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2), 51-72.
- 유하나.윤연서.김옥분(2020). 간호대학생의 전공교과목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경험: 질적연구.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2(1), 11-21. https://doi.org/10.14702/JPEE.2020.011
- 윤성호(2019). 공과대학의 고체역학 교과목에 플립러닝의 적용사례. 공학교육연구, 22(3), 68-77. https://doi.org/10.18108/jeer.2019.22.3.68
- 이성혜.김은희(2019). 플립러닝 기반 공학수업 개선 방안연구 - 국내 C대학 공학수업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2(2), 3-15. https://doi.org/10.18108/JEER.2019.22.2.3
- 임경화.안정현.(2016). 공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질문생성 전략 활용 플립러닝 수업설계. 실천공학교육논문지, 8(2), 75-81 https://doi.org/10.14702/JPEE.2016.075
- 임경화.허선영.(2019). 코칭 기반 플립러닝을 활용한 기계공학교육 사례. 기계저널, 59(6), 46-51.
- 임정훈(2016).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사례 연구. 교육공학연구, 32(1), 165-199.
- 임지영.김세영(2019). 공학교육에서 교수 으뜸원리를 적용한 플립러닝 모델 및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22(1), 39-47.
- 전은영(2017). 대학 전공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학습동기와 수업만족도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 1-21.
- 전현경(2002). 학습양식과 대학전공과의 상관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정지원(2015). 교수유형, 학습양식, 매체 동시성의 상호작용이 지식이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조보람.이정민(2018). 국내 플립러닝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6(3), 59-73. https://doi.org/10.14400/JDC.2018.16.3.059
- 한지영(2019). '창의적문제해결방법론' 교과목의 플립러닝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22(1), 22-28. https://doi.org/10.18108/jeer.2019.22.1.22
- 허준영.한수민.(2016). 공학전공기초실습에 플립러닝 적용사례. 실천공학교육논문지, 8(2), 83-89. https://doi.org/10.14702/JPEE.2016.083
- 허지숙.황윤자(2020). 공학 융합역량에 대한 산업체와 대학생의 인식 비교분석. 공학교육연구, 23(4), 3-13. https://doi.org/10.18108/JEER.2020.23.4.3
- Felder, R. & Silverman, L.(1988). Learning and teaching styles in engineering education. Engineering Education, 78, 674-681.
- Gage, N. L. (Ed.)(1963).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A Project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Department of the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Chicago: Rand McNally.
- Kim, S., Jin, M. & Lim, K.Y.(2015). Research Trends on Flipped Learning in South Korea. In S. Carliner, C. Fulford & N. Ostashewski (Eds.), Proceedings of EdMedia 2015--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pp. 1251-1255). Montreal, Quebec, Canada: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AACE). Retrieved August 19, 2020 from https://www.learntechlib.org/primary/p/151400/.
- Kolb, D.(1984). Experiential learning-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Roberton, M.A.(1987). Developmental level as a function of the immediate environment. In J. Clark & Humphrey (Eds.), Advances in motor development research (Vol. 1, pp. 1-16). New York: AMS Press.
- Sams, A., & Bergmann, J.(2013). Flip your students' learning. Technology-Rich Learning, 70(6), 16-20.
- Snow, R.(1977). Individual differences and instructional theory. Educational Researcher, 6, 11-15. https://doi.org/10.3102/0013189X006010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