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gration Application of Node-Link Data Using Open LR Method

Open LR 기법을 이용한 노드-링크 데이터의 통합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권태호 ((주)에이치투넷) ;
  • 최윤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Received : 2021.09.10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1.10.30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range and attributes of th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between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companie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joint application of node-link information for each company and the possibility of joint use of private traffic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condition and attributes of domestic and foreign traffic information node-links (link length, node ID number, U-turn information, lane information, left turn information, right turn information, etc.) were analyzed. The analysis targets, the node-link of the national standard node and the two companies were analyzed. The area of the experiment was selected in Jongno-gu, Seoul, where standard-link information is complex, traffic volume is high, and various standard-links exis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affic information attributes of three types of node-links and performing node-links overlapping matching (utilizing encoding_decoding method), and the possibility of matching node-links and attribut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was analyzed using Open LR technique.

본 논문에서는 국내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 범위 및 속성 현황을 분석하고, 각 회사별 노드-링크정보의 공동 적용 가능 방안과 민간 교통정보의 공동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교통정보 노드-링크의 현황과 속성(링크길이, 노드 ID번호, 유턴정보, 차선정보, 좌회전 정보, 우회전 정보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국가 표준노드링크와 2개 회사의 노드-링크를 분석하였다. 실험 대상 지역으로는 표준-링크정보가 복잡하고 교통량이 많으며 다양한 표준-링크가 존재하는 서울시 종로구 일대를 선정하였다. 실험은 3종의 노드-링크의 교통정보 속성을 비교 분석하고, 노드-링크 중첩 매칭을 수행(인코딩_디코딩 방법 활용)하여, 서로 다른 규격의 노드-링크의 위치와 속성 매칭의 가능성을 Open LR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가표준노드-링크는 1, 3, 6, 7의 분류 체계를 사용하였으며 2개 회사 노드링크는 1, 3, 4, 6, 7의 분류 체계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2개 회사 노드링크 분류 체계가 국가 노드링크 분류 체계보다 세부적인 교통정보를 수집함을 알 수 있었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인 수소 튜브트레일러의 수소용기의 압력, 온도, 고정 등과 차량상태의 병행적인 안전 운행이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2012), 「스마트 녹색교통실현과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지능형교통체계(ITS) 발전전략」
  2. 국토해양부(2011),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020」
  3. 국토해양부(2012), 「자동차‧도로교통분야 지능형교통체계(ITS)계획 2020」
  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사고피해 예측기법에 관한 기술 지침", KOSHA GUIDE P-102(2016)
  5. P국토해양부(2014),「민간과 함께하는 교통정보 대토론회」
  6. 빈미영 외(2005), 「경기도 교통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7. 빈미영(2011), 「공공교통정보의 민간유통 활성화 방안연구」, 경기개발연구원.
  8. 서울특별시(2013), 「서울시 지능형교통체계(ITS) 기본계획」
  9.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14), 「주요국의 오픈 데이터 정책 추진 현황 분석」, 「해외 ICT R&D 정책동향」
  10. 천승훈(2014), 「2013년도 국가교통조사 및 DB구축사업 성과발표: 차량이동궤적을 활용한 전국교통혼잡지도」, 국토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