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연구는 2021년도 부산교육대학교 학술연구과제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참고문헌
- 교육부(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
- 김규성, 소금현(2021). 지열에너지에 관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에너지 문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1(1), 37-47. https://doi.org/10.22368/KSECCE.2021.11.1.37
- 김덕호, 고동국, 한명재, 홍승호(2014).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1), 43-5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1.1.00043
- 김맹범, 홍승호(2019). 내진설계를 주제로 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STEAM 태도에 미치는 효과. 에너지기후변화교육, 9(2), 125-135. https://doi.org/10.22368/KSECCE.2019.9.2.125
- 김영롱, 신동훈(2012). 북미 지역의 에너지 기후 변화 교육 내용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2(1), 75-84.
- 김정아, 김병수, 이지훤, 김종훈(2011).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IT 기반 STEAM 교수.학습 방안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3(3), 445-460.
- 류재규, 소금현(2019). 대체에너지에 관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에너지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9(2), 137-148. https://doi.org/10.22368/KSECCE.2019.9.2.137
- 박용진, 소금현(2020). 풍력에너지에 관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에너지소양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2), 111-120. https://doi.org/10.22368/KSECCE.2020.10.2.111
- 박일수, 장유운, 정경원, 이강웅, Owen, Jeffrey S, 권원태, 윤원태(2014). IPCC 제5차 과학평가보고서 고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30(2), 188-200. https://doi.org/10.5572/KOSAE.2014.30.2.188
- 손경옥과 이형철(2021). 학교 내 무한상상실을 활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40(1), 55-65.
- 신원섭, 장기범(2018). 동화를 활용한 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에너지 소양에 미치는 효과. 에너지기후변화교육, 8(2), 207-218. https://doi.org/10.22368/KSECCE.2018.8.2.207
- 심현진(2016).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디자인 교육 수업모형 개발과 그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엄승표, 이동원(2020). 메이커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26(4), 161-180.
- 유일환, 이경택(2018). 중학교 기술.가정과 '신.재생에 너지' 내용요소를 위한 풍력.수력 체험활동 과제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8(3), 41-61.
- 윤회정, 나지연(2021). 초등 예비교사의 대체에너지에 대한 이해도와 대안개념 분석. 초등과학교육, 40(1), 36-54.
- 이상균, 김순식(2018). 초등학생들의 지구환경 인식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3), 212-223.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3.212
- 이성희, 신동훈(2012). 융합인재교육의 관점에서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선 방안. 과학교육연구지, 36(1), 22-34.
- 이성희, 안원석, 임정수(2014). 초등학생의 에너지기후변화 개념도 분석 연구. 에너지기후변화교육, 4(2), 161-167.
- 이영기, 손장호(2016). '실과-STEAM-환경'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실과교육연구, 22(2), 15-31.
- 임수민, 윤회정, 방담이(2019). 에너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3(3), 284-299. https://doi.org/10.21796/jse.2019.43.3.284
- 정경욱과 임채성(2021).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 흥미와 과학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40(2), 239-252.
- 조보람, 이정민(2014).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87-105.
- 조영철, 김윤태, 최성민, 문민호, 정진실(2017). 에너지신 산업 교육 활동이 고등학생의 환경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7(2), 183-192. https://doi.org/10.22368/KSECCE.2017.7.2.183
- 차경훈(2011). 태양광/풍력/수력발전 및 수소에너지에 대한 에코효율성 평가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천은주(2008). 초등학교 교과서의 신재생에너지교육 내용 분석 및 교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은영(2017). 학습자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미술과 중심 STEAM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미술교육연구논총, 48, 187-224.
- 현명주(2016). 에너지 일기쓰기가 초등학생의 에너지소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광표, 조준오(2015).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 고학년의 과학적 태도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3(1), 77-99.
- 황성진(2016). 앱 인벤터의 활용이 초등정보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Cheong, I., Johari, M., Said, H., & Treagust, D. F. (2015). What do you know about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and use of a diagnostic instrument for upper secondary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2), 210-236. https://doi.org/10.1080/09500693.2014.976295
- Celikler, D. & Aksan, Z. (2015). The opinion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urkey regarding renewable energy. Renewable Energy, 75, 649-653. https://doi.org/10.1016/j.renene.2014.10.036
- Dias, R. A., Mattos, C. R., & Balestieri, J. A. (2004). Energy education: Breaking up the rational energy use barriers. Energy Policy, 32(11), 1339-1347. https://doi.org/10.1016/S0301-4215(03)00100-9
- Petrovic, S., Munukutla, L., & Robertson, J. (2007). Experiences and teaching tools in alternative energy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2007 annual conference & exposition,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Honolulu, Hawaii.
- Sandall, B. R. (2011), Using STEM to Investigate Issues in Alternative Energy: Middle Grades, Mark Twain Media.